목차
1.산후운동의 필요성
2.산후운동의 효과
3.요일별 산후운동 방법
4.부위별 후유증 체조
5.산후조리시 일상생활 관리법
2.산후운동의 효과
3.요일별 산후운동 방법
4.부위별 후유증 체조
5.산후조리시 일상생활 관리법
본문내용
다. 엄마와 할머니
들이 요통과 좌골신경통을 호소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4.5kg의 아기를 몸에서 35cm 떨어진 걸이에서 들어올린다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사실상 67.5kg의 무게가 허리에 실리는 것과 마찬가지가 됩니다. 올바른 방법은 허리를 굽히지 말고 무릎과 골반 관절을 이용하고, 무릎을 거의 낮추고 몸에 붙여서 안는 것입니다. 아이를 몸 앞에 안는 것은 앞으로 무게가 실려 허리에 굉장히 많은 부담을 주므로 배낭 같은 아기 운반 대를 사용하거나 전통적인 방법으로 등에 업고 다니는 것이 허리에 좋습니다. 젖은 기저귀가 가득 찬 물통 등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도 이런 원리로 합니다.
4. 집안일을 하기 위해 서 있을 때에는 한쪽 발을 낮은 의자 또는 2-3권의 전화번호부 위에 올려놓거나 찬장의 가장 아랫단에 얹어 등이 편해지도록 합니다.
5. 아기를 옮겨주기 위해 띠나 유모차를 고를 때는 엄마의 등 문제에
유의해야 합니다. 띠는 아기 몸의 한가운데를 받쳐주는 것이어야 하며, 아기를 되도록 높이 올려서 엄마와 아기가 함께 편안할 수 있는 것으로 고릅니다. 유모차를 고를 때는 몸을 앞으로 굽히지 않고도 밀 수 있도록 손잡이가 높은 위치에 붙어 있는 것을 고릅니다.
6. 침대를 정리하거나 아기를 목욕시키거나, 옷을 입히는 등 집안일을
할 때에는 등을 보호하기 위해 양 무릎을 꿇고 해야 합니다. 물건을 바닥에서 집어 올릴 때에도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고 합니다.
7. 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앞에 내디딘 다리를 중심으로 몸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고 등을 똑바로 편 자세를 유지합니다. 몸을 앞으로 굽히고서 비트는 위험한 동작을 피합니다.
8. 아기의 기저귀를 갈아줄 때에는 적당한 높이의 위치에 아기를 누이
도록 합니다. 아기가 몸 뒤치기를 익히기 전의 수개월은 허리 높이정도가 이상적입니다. 그 이후에는 바닥에 양발을 벌리고 등을 똑바로 하고서 앉아 기저귀를 갈아주도록 합니다.
9. 침대가 지나치게 푹신푹신할 때에는 매트리스와 침대 밑 부분 사이
에 평평한 판자를 넣거나 방바닥에 매트리스를 깔고 자면 좋습니다.
■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산후 조리는 출산한 여성들에게 무척이나 중요한 일입니다. 아무쪼록 산후 조리 잘하시고 새로 태어난 예쁜 아기 잘 키우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 자료를 제공하는 저는 포천중문의대 학생간호사 이수민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산후 운동♡
들이 요통과 좌골신경통을 호소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만약 4.5kg의 아기를 몸에서 35cm 떨어진 걸이에서 들어올린다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사실상 67.5kg의 무게가 허리에 실리는 것과 마찬가지가 됩니다. 올바른 방법은 허리를 굽히지 말고 무릎과 골반 관절을 이용하고, 무릎을 거의 낮추고 몸에 붙여서 안는 것입니다. 아이를 몸 앞에 안는 것은 앞으로 무게가 실려 허리에 굉장히 많은 부담을 주므로 배낭 같은 아기 운반 대를 사용하거나 전통적인 방법으로 등에 업고 다니는 것이 허리에 좋습니다. 젖은 기저귀가 가득 찬 물통 등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도 이런 원리로 합니다.
4. 집안일을 하기 위해 서 있을 때에는 한쪽 발을 낮은 의자 또는 2-3권의 전화번호부 위에 올려놓거나 찬장의 가장 아랫단에 얹어 등이 편해지도록 합니다.
5. 아기를 옮겨주기 위해 띠나 유모차를 고를 때는 엄마의 등 문제에
유의해야 합니다. 띠는 아기 몸의 한가운데를 받쳐주는 것이어야 하며, 아기를 되도록 높이 올려서 엄마와 아기가 함께 편안할 수 있는 것으로 고릅니다. 유모차를 고를 때는 몸을 앞으로 굽히지 않고도 밀 수 있도록 손잡이가 높은 위치에 붙어 있는 것을 고릅니다.
6. 침대를 정리하거나 아기를 목욕시키거나, 옷을 입히는 등 집안일을
할 때에는 등을 보호하기 위해 양 무릎을 꿇고 해야 합니다. 물건을 바닥에서 집어 올릴 때에도 쪼그려 앉거나 무릎을 꿇고 합니다.
7. 청소기를 사용할 때에는 앞에 내디딘 다리를 중심으로 몸을 앞뒤로
움직이도록 하고 등을 똑바로 편 자세를 유지합니다. 몸을 앞으로 굽히고서 비트는 위험한 동작을 피합니다.
8. 아기의 기저귀를 갈아줄 때에는 적당한 높이의 위치에 아기를 누이
도록 합니다. 아기가 몸 뒤치기를 익히기 전의 수개월은 허리 높이정도가 이상적입니다. 그 이후에는 바닥에 양발을 벌리고 등을 똑바로 하고서 앉아 기저귀를 갈아주도록 합니다.
9. 침대가 지나치게 푹신푹신할 때에는 매트리스와 침대 밑 부분 사이
에 평평한 판자를 넣거나 방바닥에 매트리스를 깔고 자면 좋습니다.
■ 많은 도움이 되셨나요? 산후 조리는 출산한 여성들에게 무척이나 중요한 일입니다. 아무쪼록 산후 조리 잘하시고 새로 태어난 예쁜 아기 잘 키우시길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이 자료를 제공하는 저는 포천중문의대 학생간호사 이수민입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산후 운동♡
추천자료
임신에따른생리적변화- 모성간호학
(모성간호학)산전, 분만, 산욕 ,간호과정 CASE 총 정리
[모성간호학]분만실case
[모성간호학]난소암에대한 문헌고찰과 간호진단
(모성간호학)분만실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모성간호학]불임의 최신 치료 경향
[모성간호학] 자궁외임신(ectopic pregnancy)
[모성간호학]자연분만과 회음절개술
[모성간호학 실습] 분만 과정 - 분만 1기 케이스 스터디 (미래여성병원 모성병동+DR)
[모성간호학] 조기양막파수PROM(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케이스 스터디 (cas...
[모성간호학] 37장. 분만통증 완화법
[모성간호학] 폴리 카테터 (Foley Catheter) 적용과 제거
[모성간호학] 자연분만 케이스 CASE STUDY
간호학과 모성간호학CASE - 제왕절개술 (C-SEC) 최종수정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