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성인의 비만사업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성인의 비만사업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한국성인의 비만 유병률 추이-------(03-04)
2) 보건소 비만관리 사업 추진이유----(04-04)

Ⅱ. 본론
1) 비만예방 및 비만관리 사업의 목적과 목표------------------(05-05)
2) 추진전략 및 추진체계--------------(05-06)
3) 세부 사업내용---------------------(07-09)
4) 보건소 비만관리 사업 사례 보고----(10-13)

Ⅲ. 결론
1) 현재 보건소사업의 보완점-----------(14-15)
2) 느낀점-----------------------------(15-16)
3) 참고문헌---------------------------(16-16)

본문내용

러스에는 모자영양밖에 실시하고 있지 않으며 비만영양에 대해서는 실시하지 않고 있었습니다. 비만은 운동뿐만이 아니라 식이도 중요한데, 이러한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었습니다. 비만자들의 경우 식단조절을 하지 않고 운동 만 하게 되면 있던 살은 빠지지 않고 그냥 그 상태로 건강해지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운동만으로는 생각보다 많은 체중이 빠지지는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체중 조절을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해야 합니다. 이런점 보완하였으면 좋겠습니다. )
2)추후 관리
(경산시 보건소에서는 운동전 체력검사를 하고 3개월 후 다시 재측정하여 성과정도를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최대 6개월까지 밖에 못하며 2년동안은 다시 등록을 하지 못하게 되어있습니다. 사람이 워낙 많아서 그런줄은 알겠지만 운동을 하다가 안하면 살이 더 찌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점을 보완하였으면 좋겠습니다.)
개선방향★★
1) 생활에서 자주 이용가능한 식단표제공
2)
인터넷과 SMS 메시지를 이용한 추후관리
: 6개월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마치신 이용자들께서는 빨라도 이년을 기다리시고 다시 이용이 가능하십니다. 그렇지만 인터넷이나 문자 메시지등을 통해 보건소에서 시행되는 비만 관리 프로그램등을 알려주고, 밑에제시한 모임회등을 주관하여 일정을 알려드리는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의 단기적인 관리가 아닌 꾸준히 유지하실 수 있는 그러한 환경을 제공해드리는 것또한 괜찮은 방법일것이라 생각됩니다.
비만성공 이용자의 모임회 개최
: 비만이시던 이용자들중 자신이 원하는 목표수준까지의 체중으로 도달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도와 드리면 좋겠습니다. 예를 들어 격주로 한번 만나서 같이 친목도모도 하시고, 나는 이러한 방법으로 어떻게 관리중이다,, 뭐 이런 정보도 교환하시고, 계획을 잡아 등산이나 볼링등 운동을 통한 여가시간을 보낼수 있도록 장려하는 방법도 좋을것 같습니다.
2) 느낀점
-보건소와 보건지소 실습
첫날부터 보건지소로 나갈줄 알고 있었던 지역사회실습이였지만, 우리의 생각과는 다르게 그냥 보건소에서 두주를 보냈습니다. 지난번 실습때 가보지 못했던 정신센터랑 방문보건을 나가게 되었습니다. 방문보건을 하는동안 선생님께서 많은 전화를 받고 묻는질문에 상세히 가르켜 주시고, 또는 찾아가 직접설명해 주시는 것을 보면서 ‘아 아직도 혼자서는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지신분이 참많구나’라는 생각을 가졌습니다. 그리고 큰개를 키우시던 할아버지 집 방문을 마치고 나오는 길에 원래 방문보건 대상자였던 어떤 할머니와 마주쳤는데 이분은 우리를 무척반겨 주시고, 이날이 추웠음에도 우리가 멀리 갈때까지 밖에서 마중을 해 주셨습니다. 그리고 대화를 해보니 할머니께서는 외로웠다고,,, 이렇게라도 좀 보자고 말씀하셨습니다. 이것을 보고 느낀점은 방문보건이 꼭 아픈곳이 어딘지 묻고 파스, 혈당, 혈압 체크등 건강체크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할머니들의 외로움또한 달래주기도 하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비록 자주 방문하지는 못하겠지만 전화나 문자메세지 등으로 연락이라도 취해서 외로움에 취하신 어르신들의 외로움을 달래주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주 실습을 마치고 보건지소로의 실습을 가게 되었습니다. 보건지소를 찾아가는 길이 그리 쉽지만은 않았습니다. 버스에서 내려서 보건지소가 어딨는질 물어도 다 모른다고 하셨고, 심지어는 읍사무소 안에 차를 세우고 계신분한테 물어도 모르신다고 하셨습니다. 보건지소는 지역상 보건소 이용이 불편하신 분들이 이용하실수 있도록 설치되었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그런데 그 지역분들이 거기가 어딘지 모를 정도면 이용을 하시는 분의 숫자가 그리 많지 않다고 생각되었습니다. 그리고 하양보건지소를 찾으시는 이용자중 건강진단증 등을 필요로 하시는 분들도 많았고, 원래 화, 금 오전 예방접종이 가능하지만 그 시간을 잘못 아셔서 다른 날짜에 오신 분들은 다시 돌아가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하양보건지소가 좀 더 홍보사업에 심여를 기울여 우선 그 주민들에게 사업내용, 위치등을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예방접종이 없는 날 등에는 딱히 할 일이 없었던 것 같은데, 일반 보건소와 같이 요일 구분없이 예방접종이 가능하게 하면 이용자들이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 이로써 화, 금요일에만 사람이 분비는 것을 막고 분배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번실습은 한 과목의 실습이었지만 두 군데 다른 곳을 가서 그런지 두 군데 실습을 한 것 같았습니다. 이렇게 해보니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사업 형태 등을 비교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던 것 같습니다. 솔직히 3주내내 보건지소만 갔다면 그냥 배우는 건 없었을 것도 같습니다. 보건소에서 내준 컨퍼런스를 한다고 보건소에 부족한 점 등을 알 수 있었고, 보건지소에서는 삼일로도 충분히 그곳 사업형태를 알 수 있었습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좀 더 넓은 영역의 지역사회를 겪었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컨퍼런스를 준비하면서
저는 비만사업과 관련된 주제로 컨퍼런스를 준비하였습니다. 사업 사례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문서화 된 자료를 참고로 볼 수 있었던 것 같고, 사업에 대해 제가 생각하는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개선방향에 대해서는 문제점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한번 생각해보았던 것 자체가 이 사업에 대해 한번 더 생각해 보게 된 계기 였던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3) 참고문헌
1) 이현진, “보건소 비만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 여성의 체지방율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 및 식생활 비교”, 서울: 단국대 대학원 논문,
200708, pp18-20, 38-54
2) 황인경 외, “보건소 건강생활실천사업 내용의 표준화 및 평가지표
개발”, 부산: 부산 대학교 의과대학 논문, 2004. pp 496-556
3) 보건복지부, 『건강증진사업 안내』, 과천 보건복지부, 2005,
pp12-254
4) 박종일, 강북구 보건소 가서 비만 탈출해볼까?. http://www.asiae.
co.kr/news/view.htm?idxno=2010031809265692154, 2010.03.23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10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89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