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요시한다. 이야기체 설교는 본문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들려주는 방식을 택한다. 이 설교의 방법론은 설화체 설교에 비해 설교 구성에 있어서 유연성과 융통성을 가지고 있다.
3) 상관 설교 , 인물 설교 , 예화 설교 , 대화 설교 , 독백 설교
(1) 상관 설교
또 하나의 설교 전개 형태는 주해 설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본 문의 진리를 강해하고 그 진리를 오늘의 현장에 바로 도입시키는 방법이다 .
(2) 인물 설교
인물 설교의 형태는 본문이나 주제가 어느 성경의 인물이 되었을 경우에 필요하다 . 즉 , 설교자가 본문으로 선택한 인물을 통하여 하나님이 무슨 메시지를 주시는지를 찾는 형태라고 보면 가장 적합하다 .
(3) 예화 설교
예화 설교는 요즈음 한국교회에서 연례행사처럼 계속되는 부흥회 에서 회중의 흥미를 돋우고 손쉬운 이해를 가져오기 위하여 시도한 설교 형태이다 . 이러한 설교는 주제 설교와 본문 설교에서 가장 왕성 하게 사용된 시대가 있었다. 그리고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더욱 즐기는 설교 형태로서 한때 한국의 강단에서 위력을 발하기도 하였다 .
(4) 대화 설교 (Dialogue Preaching)
대화 설교란 공중 예배 가운데서 이루어진 설교 행위로서 사람이 설교자로 동시에 등장하여 설교의 내용이나 메시지를 로 교환하면서 진행하는 설교 형태이다 .
(5) 독백 설교 (Monologue Preaching)
독백 설교는 설교 형태 중의 하나로 분류하지 않고 모노드라마 의 한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
4) 디지털 시대의 설교 형태들
설교는 설교자와 회중의 두 인격이 교류되는 순간이다 영상이란 언제나 간접적인 느낌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회중은 설교자의 눈앞에서 졸고 있는 것은 미안하게 생각하는 인격적 느낌이 있으나 영상 앞에서 졸고 있는 것은 당연한 휴식으로 이해함을 유의해야 한다.
4. 연역법적 전개론과 귀납법적 전개론
1) 연역법적 전개론
본 전개론은 기독교의 역사와 함께 설교 사역에서 뿌리를 내려온 설교의 전개 형태이다 수사학자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교리에 관하여」 4권에서 설교의 이론을 정립한 후 지금껏 이어진 설교의 일반적인 전개 형태이다.
2) 귀납법적 전개론
귀납법적 설교 전개는 설교자가 문제점의 발굴을 일방적으로 자신의 주관적인 주장에 의하여 진행하지 않고 회중의 삶에서 찾아나 서기에 회중은 자연적으로 제시된 주제가 설교자가 어디에서 가져온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삶의 한복판에서 발굴했다는 데 친근감을 느낀다. 그리고 다음에 이어질 단계에 호기심을 갖게 된다.
3) 두 전개론의 대비
연역법적 전개론이 일반적인 진리에서 구체적인 진리를 도출해 내는 추론 방법이라면, 귀납법은 구체적인 사례들로부터 일반적인 진리를 이끌어 내는 추론 방법이라는 사실은 이미 설명되었다. 이 두 가지 추론 방식 모두 논증이나 설교에 있어 아주 유용한 방법으로 현대 설교학에서는 인정하고 있다. 저자는 앞에서 때로 한 편의 설교에서 이 두 가지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이미 서술하였다.
3) 상관 설교 , 인물 설교 , 예화 설교 , 대화 설교 , 독백 설교
(1) 상관 설교
또 하나의 설교 전개 형태는 주해 설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본 문의 진리를 강해하고 그 진리를 오늘의 현장에 바로 도입시키는 방법이다 .
(2) 인물 설교
인물 설교의 형태는 본문이나 주제가 어느 성경의 인물이 되었을 경우에 필요하다 . 즉 , 설교자가 본문으로 선택한 인물을 통하여 하나님이 무슨 메시지를 주시는지를 찾는 형태라고 보면 가장 적합하다 .
(3) 예화 설교
예화 설교는 요즈음 한국교회에서 연례행사처럼 계속되는 부흥회 에서 회중의 흥미를 돋우고 손쉬운 이해를 가져오기 위하여 시도한 설교 형태이다 . 이러한 설교는 주제 설교와 본문 설교에서 가장 왕성 하게 사용된 시대가 있었다. 그리고 교육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더욱 즐기는 설교 형태로서 한때 한국의 강단에서 위력을 발하기도 하였다 .
(4) 대화 설교 (Dialogue Preaching)
대화 설교란 공중 예배 가운데서 이루어진 설교 행위로서 사람이 설교자로 동시에 등장하여 설교의 내용이나 메시지를 로 교환하면서 진행하는 설교 형태이다 .
(5) 독백 설교 (Monologue Preaching)
독백 설교는 설교 형태 중의 하나로 분류하지 않고 모노드라마 의 한 형태로 취급하고 있다
4) 디지털 시대의 설교 형태들
설교는 설교자와 회중의 두 인격이 교류되는 순간이다 영상이란 언제나 간접적인 느낌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회중은 설교자의 눈앞에서 졸고 있는 것은 미안하게 생각하는 인격적 느낌이 있으나 영상 앞에서 졸고 있는 것은 당연한 휴식으로 이해함을 유의해야 한다.
4. 연역법적 전개론과 귀납법적 전개론
1) 연역법적 전개론
본 전개론은 기독교의 역사와 함께 설교 사역에서 뿌리를 내려온 설교의 전개 형태이다 수사학자 아우구스티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 교리에 관하여」 4권에서 설교의 이론을 정립한 후 지금껏 이어진 설교의 일반적인 전개 형태이다.
2) 귀납법적 전개론
귀납법적 설교 전개는 설교자가 문제점의 발굴을 일방적으로 자신의 주관적인 주장에 의하여 진행하지 않고 회중의 삶에서 찾아나 서기에 회중은 자연적으로 제시된 주제가 설교자가 어디에서 가져온 것이 아니라 자신들의 삶의 한복판에서 발굴했다는 데 친근감을 느낀다. 그리고 다음에 이어질 단계에 호기심을 갖게 된다.
3) 두 전개론의 대비
연역법적 전개론이 일반적인 진리에서 구체적인 진리를 도출해 내는 추론 방법이라면, 귀납법은 구체적인 사례들로부터 일반적인 진리를 이끌어 내는 추론 방법이라는 사실은 이미 설명되었다. 이 두 가지 추론 방식 모두 논증이나 설교에 있어 아주 유용한 방법으로 현대 설교학에서는 인정하고 있다. 저자는 앞에서 때로 한 편의 설교에서 이 두 가지 방식이 모두 사용될 수 있음을 이미 서술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