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제목
-목적
-원리
2.이론
3.실험
-실험기구 및 시약
-시약제조방법
4.실험방법
-농도계산 및 검량선작성
-분석
5.결과 및 고찰
6.결론
-제목
-목적
-원리
2.이론
3.실험
-실험기구 및 시약
-시약제조방법
4.실험방법
-농도계산 및 검량선작성
-분석
5.결과 및 고찰
6.결론
본문내용
때 나머지 조원들은 실험기구 정리하고 그냥 쉬다시피 했는데 시 료채취 하는 동안 검량선을 작성할 것들을 만들어야 했었다. 다행히도 조교님이 알려줘 서 제때에 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하나는 위의 값들을 계산할 때 같은 조원들과 답을 비교해 봤는데 유독 내 답만 다른 것이었다. 분명히 검량선도 직선이 나오고 최소자승법 이랑 그래프의 식도 같은데 왜 답은 다를까 생각해봤다. 그 이유는 바로 단위환산을 안 해줬기 때문이었다. 책을 좀 더 꼼꼼히 읽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④ 흡광도를 측정하는 날이면 원자흡광광도계 앞은 사람들이 많이 붐비고, 기다리는데 시간 또한 오래 걸린다. 이번에 실험한 질소산화물의 시료같은 경우 처음에는 색이 분홍빛을 띄었으나 15분간 방치하고 줄을 기다리면서 점점 무색에 가까워졌고 결과는 (-)값이 나왔다. 만약 15분이 지나고 바로 채취했더라면 좀 더 (+)에 가까운 값이 나오지 않았을 까 하는 아쉬움과 함께 조원들끼리 좀 더 단합하고 분담해서 제때에 기계를 썼으면 좋겠 다는 생각을 해본다.
⑤ 이번에는 특이하게 대조액을 증류수가 아닌 흡수액으로 하였다. 별다른 어려운 점은 없 었고, 흡광도의 값에서 blank값을 빼주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서 계산과정이 좀 줄어든 점이 좋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 나온 시료가 안타까워 증류수를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을 했으면 값이 얼마가 나왔을지 궁금하기도 하다.
5. 결론
: 실험결과 둘 다 (-)값이 나왔으며, 값은 -442.1157025㎍/㎥ 와 -0.040ppm 이다.
*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 www.labbank.co.kr
④ 흡광도를 측정하는 날이면 원자흡광광도계 앞은 사람들이 많이 붐비고, 기다리는데 시간 또한 오래 걸린다. 이번에 실험한 질소산화물의 시료같은 경우 처음에는 색이 분홍빛을 띄었으나 15분간 방치하고 줄을 기다리면서 점점 무색에 가까워졌고 결과는 (-)값이 나왔다. 만약 15분이 지나고 바로 채취했더라면 좀 더 (+)에 가까운 값이 나오지 않았을 까 하는 아쉬움과 함께 조원들끼리 좀 더 단합하고 분담해서 제때에 기계를 썼으면 좋겠 다는 생각을 해본다.
⑤ 이번에는 특이하게 대조액을 증류수가 아닌 흡수액으로 하였다. 별다른 어려운 점은 없 었고, 흡광도의 값에서 blank값을 빼주지 않아도 된다는 것에서 계산과정이 좀 줄어든 점이 좋았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 나온 시료가 안타까워 증류수를 대조군으로 하고 실험을 했으면 값이 얼마가 나왔을지 궁금하기도 하다.
5. 결론
: 실험결과 둘 다 (-)값이 나왔으며, 값은 -442.1157025㎍/㎥ 와 -0.040ppm 이다.
* 참고 - 네이버 백과사전
- www.labbank.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