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H. Lawrence의 이원론-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2p~5p)

Ⅱ. 본론 (6p~19p)

Ⅱ-1. D.H Lawrence의 이원론
(6p~12p)
Ⅱ-2. 채털리 부인의 사랑 -성을 통한 남녀평등의 성취 (13p~14p)
Ⅱ-3. 채털리 부인의 사랑에 나타난 이원론 (15p~18p)

Ⅲ. 결론 (18p~19p)

※참고문헌 (20p~21p)

본문내용

조화시켜 극복함으로써 조화로운 남녀간의 평형 상태를 모색하려 한 것이 로렌스의 문학 세계의 핵심적인 사상이라고 볼 수 있다.
최후의 걸작인 Lady Chatterley's Lover는 다른 작품들에서는 극에 달했던 자아의 유지를 피하고 인간 본능의 부드러움을 찬미하게 된다 이 작품에서도 여전히 Clifford로 대변되는 정신의식의 세계와 Mellors의 남근의식의 세계를 양극화시킨 가운데 그 양 세계를 Connie가 오가면서 종내에는 멜러스의 남근적인 부드러움에 그녀는 귀의하게 된다. 그녀는 자신의 개별성과 독립성이라는 강한 자아 대신에 인간 본래의 원초적인 생명의 따스함을 받아들이기로 결심을 하게된다. Scott Sanders가 “Poor in health, keenly sware of his own approaching death, he restated his myth of Eros in a last attempt to persuade men that throuth sexuality they could renew not only themselves but their world" Scott Sanders, p.176.
라고 말한 것처럼 로렌스는 말년에 남녀 관계에 있어서 갈등과 투쟁을 통한 평형상태가 아니라 남녀 쌍방에 흐르는 부드럽고 따뜻한 생명의 불꽃을 강조한다. 이것이 로렌스가 최후에 도달한 이원론의 결론이며 이와 같은 신념은 그의 최후 중편인 The Man Who Died에서는 육체의 부화로까지 발전한다.
이와 같은 로렌스의 이원론 사상은 현대 산업 사회의 물질 문명으로 인하여 상실된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경고와 항의의 산물인 반 산업주의 사상과 더불어 그의 사상의 양대산맥을 형성하고 있다. 이 양자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이다. 로렌스는 현대 문명에 의해서 상실된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한 방편으로서 이원론에 입각한 건전한 양성 관계를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어쨋든 그의 작품의 분석과 이해에 접근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사대 소설을 일관성 있는 사상과 구성 원리를 가지고 수마상응(首尾相應)하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거기에 수반되는 공통 분모가 있어야 한다. 이 공통분모가 바로 이원론으로서 그의 이원론은 그의 문학 사상과 예술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요체가 된다.
따라서 로렌스의 이원론은 남녀 관계의 문제에만 결코 국한된 것은 아니다. 그는 남녀 관계를 이원론을 표현하는 매체로 사용하고 있을 뿐, 그의 본질적인 의도는 인간의 본원적인 문제의 제기에 있다. 그는 남녀 관계의 상징적인 관계는 조화와 균형에 있다고 보고, 이를 우주의 삼라만상의 조화와 균형의 의미로 확대하고 있다. 그의 양극성의 이론은 바로 동양의 음양 이원론의 논리와도 합치된다. 그는 여성을 Great Mother로 격상시키고, 여성의 자궁을 우주의 이미지로 비유함으로써 천지 창조의 의미로 확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light와 dark의 속성은 천지 창조의 의미로 승화된다. 그러나 로렌스는 분명히 하늘 보다는 땅에 더욱 가치를 부여하여, 그의 현대적인 도그마로써 암흑의 신을 창조한 것이다.
이와 같이 로렌스는 독특한 이원론이라는 구성원리와 철학 사상을 예술적으로 표현하는데 탁월한 재능을 발휘하였다. 로렌스야 말로 20세기의 위대한 예술가요 사상가로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있어서 손색이 없는 작가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참고문헌※
Lawrence의 이원론적 문학세계 ( 임정옥, 임윤수, 원광대학교출판부, 1996)
D.H Lawrence의 「Lady Chatterley's Lover」 연구: 산업사회와 생명주의를 중심으로( 박찬현, 석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1995)
D.H 로렌스 문학연구( 조일제, 한국문화사, 1995)
D.H Lawrence의 작품에 나타난 이원론적 비전( 배상정, 석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대학부)
Lawrence D.H , Reflections on the Death of a Porcupine and Other Essays(Blooming-ton and London : Indiana University Press, 1963)
Richard D. Beards, "D.H Lawrence and the Study of Thomas Hardy, His victorian Predecessor," in The D.H Lawrence Vol.2 (Fall, 1969)
Edward Nehls, ed. D.H Lawrence : A Composite Biography Vol. Ⅲ(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59),
Lawrence D.H "Study of Thomas Hardy," in Selected Literary Criticism, ed. Anthony Beal (Lond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1967)
John Burnet, Early Greek Philosophy (London: Adam & Charles Black, 1892)
H.M.Daleski, The Forked Flame : A Study of D.H Lawrence (London : Faber and Faber, 1965)
Grahan Hough, The Dark Sun : A Study of D.H.
Walter Allen, The English Novel (London : Pelican Books Ltd, 1978)
M.L.Filding, Notes on Lawrence's Sons and Lovers (London : Methuen Paperbacks Ltd., 1976)
Lawrence D.H., "Study of Thomas Hardy", in hoenix
E.T.(Jessie Chambers), , D.H. Lawrence : A Personal Record(London : Jonathan Cape, 1935)
Lawrence D.H, "The Novel" in Phoenix Ⅱ
Lawrence D.H , Selected Literary Criticism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05.10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