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관계>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관계의 기본원칙>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저항>
<전문적 관계의 기본요소>
<관계의 기본원칙>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저항>
본문내용
사회복지사가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에 대해 다양한 의견제시 가능
④법적으로 강제성이 부여되는 사회복지사의 기능에서도 존중
7.비밀보장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
1)기본적 원칙
2)한계
①다중문제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른 전문가와 정보 공유 불가피
②학생이나 초심자의 경우 지도감독을 위해 슈퍼바이저에게 보고 불가피
→클라이언트에게 더 나은 해결을 위한 것임을 이해시키고 이에 대한 고지된 동의 얻 어야 함
③동료들과의 사례회의
④타인과 클라이언트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⑤범죄행위와 관련된 경우
:현재 법적으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 모든 정보에 대해 비밀보장의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음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1.클라이언트의 불신
:사회복지사와의 관계 이전의 중요한 다른 관계로부터 유래
→살아온 과정에서 격려와 인정을 받아보지 못한 경우
2.전이
1)의미 :클라이언트가 어린 시절 가졌던 누군가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정들을 사회복지사에 게 보이는 것
2)부정적 감정
①상황에 맞지 않는 비현실적인 왜곡을 낳아 변화에 대한 강한 저항 일으킴
②긍정적 감정 역시 변화 일으키지 못함
3)장시간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통찰지향적, 장기적 개입에서 주로 일어남
3.사회복지사의 역전이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과거 어떤 인물인 것처럼 느끼고 무의식적으로 그렇 게 반응하는 것
<저항>
★의미
①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 변화를 방해하는 힘
②개입목표와 반대되는 클라이언트의 행동(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1.저항의 유형
-이희
1)침묵
2)핵심에서 벗어난 주제 말하기(쓸데없는 이야기 多, 중요한 이야기 Pass)
3)무력함(“난 해 봤자 뻔..하다.”등의 생각과 말)
4)문제를 축소하거나 마법적 해법 기대(문제를 직면하지 않음)
5)저항의 심리를 행동으로 표현(지각, 지루함 표출)
2.저항의 근원지
1)양가감정
헵워스와 라즌(Hepworth*Larsen) “인간은 변화를 원하여 도움을 청하면서도 동시에 익 숙한 것을 버리고 새로움 행동을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변화에 대한 저 항을 가지게 된다.”
→사회복지사는 양가감정을 자연스러운 것임을 수용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
2)서비스와 개입에 대한 잘못된 이해
→서비스와 기관에 대한 특성 등 제대로 설명
3)익숙하지 못한 상황 직면에 대한 두려움
→사회복지사의 시범이나 역할극으로 익숙하게...
④법적으로 강제성이 부여되는 사회복지사의 기능에서도 존중
7.비밀보장 “클라이언트의 비밀을 보장해야 한다”
1)기본적 원칙
2)한계
①다중문제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다른 전문가와 정보 공유 불가피
②학생이나 초심자의 경우 지도감독을 위해 슈퍼바이저에게 보고 불가피
→클라이언트에게 더 나은 해결을 위한 것임을 이해시키고 이에 대한 고지된 동의 얻 어야 함
③동료들과의 사례회의
④타인과 클라이언트 자신의 생명을 위협하는 경우
⑤범죄행위와 관련된 경우
:현재 법적으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 모든 정보에 대해 비밀보장의 권한을 갖고 있지 않음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
1.클라이언트의 불신
:사회복지사와의 관계 이전의 중요한 다른 관계로부터 유래
→살아온 과정에서 격려와 인정을 받아보지 못한 경우
2.전이
1)의미 :클라이언트가 어린 시절 가졌던 누군가에 대한 무의식적인 감정들을 사회복지사에 게 보이는 것
2)부정적 감정
①상황에 맞지 않는 비현실적인 왜곡을 낳아 변화에 대한 강한 저항 일으킴
②긍정적 감정 역시 변화 일으키지 못함
3)장시간 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통찰지향적, 장기적 개입에서 주로 일어남
3.사회복지사의 역전이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과거 어떤 인물인 것처럼 느끼고 무의식적으로 그렇 게 반응하는 것
<저항>
★의미
①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에서 변화를 방해하는 힘
②개입목표와 반대되는 클라이언트의 행동(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1.저항의 유형
-이희
1)침묵
2)핵심에서 벗어난 주제 말하기(쓸데없는 이야기 多, 중요한 이야기 Pass)
3)무력함(“난 해 봤자 뻔..하다.”등의 생각과 말)
4)문제를 축소하거나 마법적 해법 기대(문제를 직면하지 않음)
5)저항의 심리를 행동으로 표현(지각, 지루함 표출)
2.저항의 근원지
1)양가감정
헵워스와 라즌(Hepworth*Larsen) “인간은 변화를 원하여 도움을 청하면서도 동시에 익 숙한 것을 버리고 새로움 행동을 해야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변화에 대한 저 항을 가지게 된다.”
→사회복지사는 양가감정을 자연스러운 것임을 수용하고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
2)서비스와 개입에 대한 잘못된 이해
→서비스와 기관에 대한 특성 등 제대로 설명
3)익숙하지 못한 상황 직면에 대한 두려움
→사회복지사의 시범이나 역할극으로 익숙하게...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의 가치에 대해 서술하고 본인이 사회복지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와 가장 중요하...
군사회복지 - 군사회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및 우리나라 군사회복지 환경, 군사회복지프로그램...
사회복지실천론)아래 사례의 상황에서 내가 담당 사회복지사라면 어떻게 대응하는 것이 가장 ...
사회복지의 의미, 현대적 사회복지 발생원인, 제도적 사회복지의 기능, 사회복지 개념의 패러...
사회복지법제)사회복지급여 수급권을 보호하기 위한 내용에 대해 정리하고, 우리나라 사회복...
사회복지 실천방법(개별사회사업, 가족치료, 집단사회사업, 사례관리, 지역사회복지, 사회복...
사회복지의 목적(사회복지실천론 및 사회복지정책론적 관점에서 사회복지 목적)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발달과정(미국과 한국의 지역사회복지 역사), 지역사회복지의 실천모...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행정의 역사와 영역, 사회복지행정 연구의 필요성, 사...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사회복지행정의 이념, 사회복지행정 과정, 사회복지서비스 전달...
사회복지의 개념과 의미(사회복지의 어의적 의미, 협의의 사회복지, 광의의 사회복지, 윌렌스...
사회복지행정의 과정(사회복지기획, 사회복지조직, 사회복지인사관리, 지시, 조정, 보고, 사...
사회복지학의 위상 - 사회과학으로서 사회복지학, 사회복지학과 관련학문의 연관성, 사회복지...
사회복지법제-관심 있는 사회문제와 관련된 사회복지법 하나를 선택하여 법 내용과 본인의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