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프로그램 설명
1) 프로그램 배경
2)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3) 프로그램의 구체적 활동
3. 평가모형
1) 평가모델의 선정 기준
2)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평가 모델: Brinkerhoff의 6단계 모델, IPO(Input, Process, Output) 모델, CIPP(Context, Input, Process, Output) 모델
4. 평가설계와 방법
1) 평가질문
2) 평가 대상 및 평가자
3) 평가방법
4) 평가절차: 평가단계, 평가 세부일정
5) 자료분석
2. 프로그램 설명
1) 프로그램 배경
2)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3) 프로그램의 구체적 활동
3. 평가모형
1) 평가모델의 선정 기준
2)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평가 모델: Brinkerhoff의 6단계 모델, IPO(Input, Process, Output) 모델, CIPP(Context, Input, Process, Output) 모델
4. 평가설계와 방법
1) 평가질문
2) 평가 대상 및 평가자
3) 평가방법
4) 평가절차: 평가단계, 평가 세부일정
5) 자료분석
본문내용
-Vision Center
프로그램 담당자강사 인터뷰
4차
2005년 10월 20일
OOOO
Hi-Vision Center
재보험 실무과정
교육 과정 평가
5차
2005년 12월 16일
OOOO
Hi-Vision Center
IBC
교육 과정 평가
6차
2005년 12월 28일
OOOO
Hi-Vision Center
영업스킬교육
교육 과정 평가
7차
2006년 1월 11일
코리안리 OJT 수업 현장
재보험사 OJT
교육 과정 평가
8차
2006년 2월 3일
OOOO
Hi-Vision Center
과제 발표
교육 과정 평가
9차
2006년 2월 24일
OOOO
Hi-Vision Center
해외연수
교육 과정 평가
10차
2006년 2월 28일
OOOO
인재개발원
프로그램 전체 과정 평가
참여관찰
1차
2006년 10월 18일
OOOO
Hi-Vision Center
재보험실무과정
수업 참관
2차
2006년 11월 30일
OOOO
Hi-Vision Center
IBC
수업 참관
3차
2006년 12월 27일
OOOO
Hi-Vision Center
Win Win 협상스킬
수업 참관
4차
2006년 1월 11일
코리안리 OJT 수업 현장
코리안리 OJT
수업 참관
과정 일기
2005년 9월 30일 참가자 대상 오리엔테이션
5. 자료 분석
이 평가의 분석과정은 Strauss & Corbin (1990)의 코딩 분석 단계를 따른다. 즉 분석을 위하여 개방코딩 - 축코딩 -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다.
질적 연구의 분석은 평가의 과정 중에서 마지막 단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료가 수집되는 시기에서부터 나선형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첫 번째 자료가 모아지는 즉시 빨리 시작해야 하는데 분석은 전체적으로 자료수집과 평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평가의 분석과정은 자료에 열중하고, 분류하고, 코딩하며, 비교하는 것을 거듭 반복하는 것이 그 기본이 될 것이다. 전체적인 분석 과정은 단순히 자료의 내용만을 코딩하는 것이 아니고 이 코딩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평가 방향과 연관 지어 어떠한 가설을 세울 것인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평가 과정 동안 평가자는 항상 프로그램의 목적과 그 내용 및 구성간의 관계 가설 형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구체적인 분석은 개개인의 단어, 어절, 문장으로 구성된 원문에 메모를 첨부하는 개방코딩으로 시작된다. Strauss와 Corbin은 개방코딩을 ‘자료를 조각내고(fracture) 조각난 자료들이 확인된 특정 범주에 속하는지, 속성과 차원은 어떠한지 생각해 보는 것’이라고 하였다(Strauss & Corbin, 1990, p.76). 참가자들의 언어는 ‘진술 그대로의 기호(in vivo codes)'라고 하는 방식으로 코딩되고, 범주에는 ’법인영업전문가 양성과정‘의 각 영역이 추구하는 목적 및 역량, 그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을 짧게 요약해 주는 이름을 붙인다. 이러한 코드와 범주는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범주를 밝힐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비교, 대조될 것이다.
이 개방코딩 다음에는 ’범주와 하위범주를 관련시켜‘ 새로운 방식으로 모두를 다시 축 코딩한다(Strauss & Corbin, 1990, p.97). 이 과정에서 범주가 나타날 것이며, 참여자의 진술 그대로(in vivo) 범주 명칭을 정한다. 축 코딩에 따른 표본추출에서는 축 코딩의 목적이 개방코딩 과정에서 발견된 범주들과 하위범주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시키고 그것들과 관련하여 관계 및 연결 과정의 증거를 일차적 자료에서 찾는 것이기 때문에 표본추출은 프로그램의 영역별 목적과 역량/구체적인 내용 및 구성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근거를 확실하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을 실시하는데, 선택코딩은 ’핵심범주를 선택하고, 다른 범주들과 핵심범주를 체계적으로 비교하며, 실례를 들어 증명하거나 부정하기 위하여 탐색함으로써 범주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좀더 재정의하고 개발할 범주를 채우는‘ 통합적인 과정이다(Strauss & Corbin, 1990, p. 116). 즉, 선택코딩에 있어서의 표본추출은 범주들의 통합과 확인과정을 위해서 어떤 사례를 선택할 것인지, 무엇을 표본 추출해야 할 것인지 주목하여 매우 직접적이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진다.
참고 문헌
박원우(1992). 인사평가의 새로운 방향: CIPP 모델을 중심으로 한 관리지향적 평가. 인사관리연구, 16: 137-146
정진국(2000). 교육 개선을 위한 CIPP 평가모형의 특징과 적용방법. 교육학논총, 21(2): 103-121
Brinkerhoff, R. O. (1988). "An Integrated Evaluation Model For HRD."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42(2): 66-68
Russ-Eft, D. & Preskill, H. (2001). Evaluation in Organizations: A Systematic Approach to Enhancing Learning, Performance, and Change. MA: Perseus Publishing
Bushnell, D. S. (1990). Input, Process, Output: a model for Evaluating Training.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41-43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Stufflebeam, D. L. (2003). The CIPP Model for Evaluation. In Kelleghan, T.,Stufflebeam, D. 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evaluation(part one). pp. 31-62. London: Kluwer Academic Pub.
프로그램 담당자강사 인터뷰
4차
2005년 10월 20일
OOOO
Hi-Vision Center
재보험 실무과정
교육 과정 평가
5차
2005년 12월 16일
OOOO
Hi-Vision Center
IBC
교육 과정 평가
6차
2005년 12월 28일
OOOO
Hi-Vision Center
영업스킬교육
교육 과정 평가
7차
2006년 1월 11일
코리안리 OJT 수업 현장
재보험사 OJT
교육 과정 평가
8차
2006년 2월 3일
OOOO
Hi-Vision Center
과제 발표
교육 과정 평가
9차
2006년 2월 24일
OOOO
Hi-Vision Center
해외연수
교육 과정 평가
10차
2006년 2월 28일
OOOO
인재개발원
프로그램 전체 과정 평가
참여관찰
1차
2006년 10월 18일
OOOO
Hi-Vision Center
재보험실무과정
수업 참관
2차
2006년 11월 30일
OOOO
Hi-Vision Center
IBC
수업 참관
3차
2006년 12월 27일
OOOO
Hi-Vision Center
Win Win 협상스킬
수업 참관
4차
2006년 1월 11일
코리안리 OJT 수업 현장
코리안리 OJT
수업 참관
과정 일기
2005년 9월 30일 참가자 대상 오리엔테이션
5. 자료 분석
이 평가의 분석과정은 Strauss & Corbin (1990)의 코딩 분석 단계를 따른다. 즉 분석을 위하여 개방코딩 - 축코딩 - 선택코딩의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다.
질적 연구의 분석은 평가의 과정 중에서 마지막 단계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료가 수집되는 시기에서부터 나선형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첫 번째 자료가 모아지는 즉시 빨리 시작해야 하는데 분석은 전체적으로 자료수집과 평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평가의 분석과정은 자료에 열중하고, 분류하고, 코딩하며, 비교하는 것을 거듭 반복하는 것이 그 기본이 될 것이다. 전체적인 분석 과정은 단순히 자료의 내용만을 코딩하는 것이 아니고 이 코딩 내용을 바탕으로 평가자의 평가 방향과 연관 지어 어떠한 가설을 세울 것인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평가 과정 동안 평가자는 항상 프로그램의 목적과 그 내용 및 구성간의 관계 가설 형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구체적인 분석은 개개인의 단어, 어절, 문장으로 구성된 원문에 메모를 첨부하는 개방코딩으로 시작된다. Strauss와 Corbin은 개방코딩을 ‘자료를 조각내고(fracture) 조각난 자료들이 확인된 특정 범주에 속하는지, 속성과 차원은 어떠한지 생각해 보는 것’이라고 하였다(Strauss & Corbin, 1990, p.76). 참가자들의 언어는 ‘진술 그대로의 기호(in vivo codes)'라고 하는 방식으로 코딩되고, 범주에는 ’법인영업전문가 양성과정‘의 각 영역이 추구하는 목적 및 역량, 그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을 짧게 요약해 주는 이름을 붙인다. 이러한 코드와 범주는 복합적이고 포괄적인 범주를 밝힐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비교, 대조될 것이다.
이 개방코딩 다음에는 ’범주와 하위범주를 관련시켜‘ 새로운 방식으로 모두를 다시 축 코딩한다(Strauss & Corbin, 1990, p.97). 이 과정에서 범주가 나타날 것이며, 참여자의 진술 그대로(in vivo) 범주 명칭을 정한다. 축 코딩에 따른 표본추출에서는 축 코딩의 목적이 개방코딩 과정에서 발견된 범주들과 하위범주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연결시키고 그것들과 관련하여 관계 및 연결 과정의 증거를 일차적 자료에서 찾는 것이기 때문에 표본추출은 프로그램의 영역별 목적과 역량/구체적인 내용 및 구성 간의 관계를 발견하고 근거를 확실하게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선택코딩을 실시하는데, 선택코딩은 ’핵심범주를 선택하고, 다른 범주들과 핵심범주를 체계적으로 비교하며, 실례를 들어 증명하거나 부정하기 위하여 탐색함으로써 범주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좀더 재정의하고 개발할 범주를 채우는‘ 통합적인 과정이다(Strauss & Corbin, 1990, p. 116). 즉, 선택코딩에 있어서의 표본추출은 범주들의 통합과 확인과정을 위해서 어떤 사례를 선택할 것인지, 무엇을 표본 추출해야 할 것인지 주목하여 매우 직접적이고 심층적으로 이루어진다.
참고 문헌
박원우(1992). 인사평가의 새로운 방향: CIPP 모델을 중심으로 한 관리지향적 평가. 인사관리연구, 16: 137-146
정진국(2000). 교육 개선을 위한 CIPP 평가모형의 특징과 적용방법. 교육학논총, 21(2): 103-121
Brinkerhoff, R. O. (1988). "An Integrated Evaluation Model For HRD." Training and Development Journal 42(2): 66-68
Russ-Eft, D. & Preskill, H. (2001). Evaluation in Organizations: A Systematic Approach to Enhancing Learning, Performance, and Change. MA: Perseus Publishing
Bushnell, D. S. (1990). Input, Process, Output: a model for Evaluating Training. Training & Development Journal 41-43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Stufflebeam, D. L. (2003). The CIPP Model for Evaluation. In Kelleghan, T.,Stufflebeam, D. L.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educational evaluation(part one). pp. 31-62. London: Kluwer Academic Pub.
추천자료
[교육평가론]평가인정모형의 이해
교육평가의 모형
교육평가 모형 요약
교육평가의 모형 (목표달성모형, 가치판단모형, 의사결정모형)
레지오에밀리아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평가와 누리과정에서의 평가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 ...
레지오에밀리아 유아교육 프로그램에서의 평가와 누리과정에서의 평가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
[디스타 유아교육 프로그램] 디스타 유아교육 프로그램 이론 배경, 디스타 유아교육 프로그램...
유아교육평가 - 레지오에밀리아와 누리과정 프로그램 평가 비교
[유아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B형] 뱅크 스트리트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 평가 C형] 프로젝트 접근법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