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이윤추구와 사회적 책임(존슨&존슨 사례 중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의 이윤추구와 사회적 책임(존슨&존슨 사례 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정의
2. 존슨&존슨의 사회적 책임 기업선정 이유

II. 타이레놀 사건과 존슨&존슨의 대응자세
1. 타이레놀 사건 발생
2. 타이레놀 사건에 대한 존슨&존슨의 대응

III. 존슨&존슨의 위기극복 가능 이유
1. 윤리강령을 기초로 한 경영
2. 고객 신뢰에 기초한 경영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린 결정이나 행동을 자기 가족에게 얼굴을 붉히지 않고 설명할 수 있을 만큼 윤리적이었는지 자문하는 것이다.
생각의 속도로 돌아가는 시대에 윤리성을 고려함으로써 의사결정 과정이 늦어져 기업의 경쟁력에 차질이 생기지는 않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이에 대해 존슨&존슨의 매뉴얼은 윤리적 문제를 고려할 만큼 중요한 사항을 결정해야 할 때, 그때가 바로 속도를 늦출(slow down) 때라는 것이다.
고객 신뢰에 기초한 경영
소비자들로부터 기업이나 상품(서비스 포함)이 신뢰를 획득한다는 것은 대단히 어려운 문제다. 더욱이 일반대중이 기업이나 그 기업의 상품에 의해 물질적, 육체적, 정신적 피해를 당한 적이 있다면, 피해를 준 기업이나 상품이 그들로부터 다시 신뢰를 확보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잃어버린 신뢰를 다시 회복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만이 기업의 살길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존슨&존슨이 자기들의 생산라인에 문제가 없고 불 보듯 많은 손실에도 불구하고 절량 타이레놀을 신속하게 리콜하고 리콜 한 이후에 모든 부분에 대해 언론과고객에게 정보를 다 공개하였고 독극물 범인이 검거 된 이후에도 많은 비용을 투자해 타이레놀의 안정성을 더 높이는 등의 대응방식은 사내에서는 타이레놀 브랜드를 포기하자는 주장도 나왔지만 소비자들이 우리를 믿어줄 것이라고 판단에 고객은 영원한 신뢰로 보답해주었다.
IV. 결론
오늘날 막중한 사회적 기능을 떠맡고 있는 곳 중에 하나가 기업이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지금의 시대는 기업 활동의 모든 것에 대해 기업이 직접 윤리의식을 갖고 대처하지 않으면 그 기업이 생존하거나 번영할 수 없는 시대가 되고 있고 그렇게 실천하고 있다. 외형적 성장(몸집 키우기)에서 오히려 고객에게 진정한 가치를 주는 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그 대가로 얼마나 수익을 얻었는지 등 질적이고 내실 있는 성장이 보다 중요시 되고 있다. 질의 경영과 가치경영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정부정책이나 다른 환경요인 보다는 무엇보다도 소비자인 대중이 보다 까다로워지고 현명해 지면서 발생하는 역학관계의 소산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최근의 생쥐머리 새우깡, 커터칼 참치, 철심 박힌 햄버거 등 최근 잇따른 먹거리 오염 사고로 홍역을 치른 국내 식품업체들과 소비자를 무시한 도요타 사례는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막대한 힘과 부를 가진 자가 사회적 책임을 기피하고도 오래 살아남은 경우는 많지 않다. 기업들만이 예외가 되지는 못할 것이라고 한다면, 사회적 책임에 대한 기업의 주체적 인식이 필요가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1. 김경해, “Let's PR”, 매일경제신문사, 2003
2. 성영신, “윤리경영 이끄는 윤리적 소비자”, 중앙일보, 2010
3. 강미현, “존슨앤존슨 솔직한 대응 기업존폐 위기를 기회로“, 아시아 경제, 2008
4. 박충환, 오세조 마케팅관리박영사. 1993
5. 김영규, 경영학원론박영사, 1999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5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