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밀링머신(milling machine)
2.밀링 머신의 종류
3. 밀링 머신의 형태
4. 수직 밀링 머신의 구조
5. 밀링 바이스
6. 밀링머신의 작업 종류
7. 밀링의 부속 장치
8. 절삭 공구와 절삭 이론
9. 밀링 절삭 방법 및 분할
10. 밀링 작업
11. 참고 문헌
2.밀링 머신의 종류
3. 밀링 머신의 형태
4. 수직 밀링 머신의 구조
5. 밀링 바이스
6. 밀링머신의 작업 종류
7. 밀링의 부속 장치
8. 절삭 공구와 절삭 이론
9. 밀링 절삭 방법 및 분할
10. 밀링 작업
11. 참고 문헌
본문내용
P)
단 N는 밀링 절삭의 유효 마력, K는 단위 절삭량당 소요 마력(HP/Cm3/min)이다.
9. 밀링 절삭 방법 및 분할
1. 밀링 절삭 방법
- 상향절삭: 커터의 절삭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반대이며, 칩의 얇은 부분에서 절삭하기 시작하므로 공작물이 먹어들어갈 때에 다소의 미끄럼
이 생겨 마찰에 의하여 날끝도 상하기 쉽고 다듬질 정도도 좋지 않다.
- 하향절삭: 커터의 절삭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같으며, 처음에 두껍게 먹어 들어가고 차차 그 두께가 감소하므로 상향절삭과 같은 결점은 없다.
2. 분할 작업
(1) 직접 분할법
-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볼트, 너트의 다각두 분할이나 키홈 등 비교적 단순한 분할을 할 때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 분할판의 구멍수는 24 구멍이기 때문에 24의 약수에 한하므로 응용 범위가 비교적 좁다.
- 분할판의 크랭크 회전수: X = 24/N 단 N는 등분수이다.
(2) 단식 분할법
- 스핀들 작업을 하기 위하여 40개의 이빨이 달린 웜기어와 스핀들 웜, 웜축을 돌리기 위한 크랭크 및 분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분할 크랭크 40회전은 스핀들을 1회전 시킨다.
- 분할판의 공수는 브라운 샤프 분할판과 신시내티 분할판으로 사용된다.
- 분할판의 크랭크 회전수: X = 40/N 단 N는 등분수이다.
(3) 차동 분할법
- 직접 분할법이나 단식 분할법으로 분할할 수 없는 67, 97, 121 등 61 이상의 소수나 특수한 수의 분할을 하는 방법이다.
- 변환 기어가 1단인 단식 차동 분할법과 변환 기어가 2단인 복식 차동 분할법으로 나눈다.
10. 밀링 작업
1. 공구 고정 방법
(1) 정면 밀링 커터의 장치 방법
1) 아버에 의한 고정 방법
① 아버와 커터는 먼저 설치한다.
② 정면 밀링 커터를 테이블 위에 얹고 니의 기둥 이송으로 주축 구멍에 오게 한다. 테이블 위에는 커터 파손 방지를 위해 보호구를 준비해 둔다.
③ 테이퍼 부의 접촉면과 먼지 등을 잘 점검한다. 채터링과 거칠기의 원인이 된다.
④ 드로잉 볼트는 확실하게 죈다.
2) 주축 끝면에 고정 볼트로 고정하는 방법
① 센터링 플러그를 사용한다.
② 접촉면을 깨끗이 한다.
③ 주축에 체결하는 볼트는 균등하게 죄고, 과도하게 죄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이 방법은 센터 스윙이 생기기 쉬우므로 인로우브 등의 상처, 휨에 대한 주의를 한다.
⑤ 장치한 후에는 커터 날끝의 스윙을 점검하여 스윙을 0.01∼0.02mm 이내로 억제한다.
(2) 퀵 체인지(Quick change)에 의한 방법
- 드로잉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주축 전단의 나사를 풀고 공구를 장치하며 분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종류의 공구를 병용하며 작업에는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
(3) 롱 아버(long arbor)에 의한 방법
① 컬러는 깨끗하고 정밀하게 맞는 칼러와 아버를 사용한다.
② 아버는 되도록 굵고 짧은 것을 사용한다.
③ 밀링 커터는 죔너트의 죔이 마음대로 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④ 밀링 커터는 되도록 볼베어링에 가깝게 장치한다.
⑤ 밀링 커터의 체결은 아버서포트를 고정하고서 한다.
⑥ 비틀림날의 밀링 커터는 되도록 스러스트가 주 베어링 방향으로 향하도록 장치한다.
2. 공작물 고정 방법
(1) 바이스에 의한 고정
① 바이스를 테이블 위에 설치한 후 다이얼 게이지로 평행도를 측정한다.
② 가공물과 마우스 피스에 틈새가 있을 때는 함석판이나 구리판을 사용한다.
③ 가공물이 바이스에 물려 있는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많을 때는 클램프로 보강한다.
④ 긴 공작물을 작업할 때는 바이스 2대를 테이블과 직각으로 설치하여 안전하게 작업한다.
⑤ 둥근 환봉 형상을 바이스에 물릴 때에는 가공물이 V홈 부분에 물리게 한다.
(2) 테이블에 직접 고정하는 법
① 볼트, 너트 죄기는 전부를 가볍게 균등한 죄기로 하고, 엇갈리게 서서히 더 죈다.
② 클램프의 위치 및 볼트의 죔 위치는 가능한 이송 방향으로 체결한다.
③ 6각 지지대, 클립 등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고정할 때는 항상 수평 위치에 온 상태에서 체결한다.
④ 테이블 위에 공작물을 직접 장치할 때는 테이블에 흔적이 나지 않게 하고, 절삭칩의 부착이 없도록 깨끗하게 한다.
⑤ 절삭력에 의한 가공물에 변위가 생길 위험이 있을 때에는 테이블 홈에 블록을 넣거나 스토퍼를 가공 물의 측면에 댄다.
(3) 부속 장치에 의한 작업
① 마그네틱 척에 의한 방법으로 바이스로 고정할 수 없는 얇은 공작물이나 복잡한 외주의 가공물과 대량 생산시의 두께의 고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② 처킹 바이스에 의한 방법은 표준 바이스로는 고정이 불가능한 가공물을 형상에 맞추어서 사용한다.
③ 가공물의 기준면을 테이블과 수직면에 장치하여 가공할 때 사용하는 앵글 플레이트가 있다.
④ 분할 작업 및 회전 테이블에 의한 방법도 있다.
11. 참고 문헌
공작기계/ 포인트 도서출판 .최이수 오명석 김동호 김건호 공저
http://www.hnkkorea.com
http://www.hnkkorea.com
http://mech1004.cyberu.co.kr/gongjak/gj03.htm#제%20%20%206%20절%20밀링
12. 결론<나의 생각>
이번 레포트를 하게 되면서 밀링머신이 이렇게 많은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저번학기 기계제작법에서 배운 밀링머신은 조금 간단한게 배워서 그런지 자세히 알수가 없었지만, 이번의 계기로 많은 그림을 통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실제로 본 것처럼 자세히 알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았다.
또한 구조를 조사하면서 이런 많은 구조들이 있는 것을 알았고 밀링 바이스라는 것도 알게 되어서 많은 것이 통해서 하나의 기계를 만드는 기계가 완성되는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를 통해서 절삭공구를 통해 여러 가지 공구를 이용하여 절삭을 함으로써 우리에게 기계를 주어 우리의 일상생활에 편리하게 도와 줄수 있는 기계가 탄생되는 기초가 되는 기계를 알게 되었다. 밀링 작업에도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기술 또는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단 N는 밀링 절삭의 유효 마력, K는 단위 절삭량당 소요 마력(HP/Cm3/min)이다.
9. 밀링 절삭 방법 및 분할
1. 밀링 절삭 방법
- 상향절삭: 커터의 절삭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반대이며, 칩의 얇은 부분에서 절삭하기 시작하므로 공작물이 먹어들어갈 때에 다소의 미끄럼
이 생겨 마찰에 의하여 날끝도 상하기 쉽고 다듬질 정도도 좋지 않다.
- 하향절삭: 커터의 절삭 방향과 공작물의 이송 방향이 같으며, 처음에 두껍게 먹어 들어가고 차차 그 두께가 감소하므로 상향절삭과 같은 결점은 없다.
2. 분할 작업
(1) 직접 분할법
-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볼트, 너트의 다각두 분할이나 키홈 등 비교적 단순한 분할을 할 때에 사용하는 방법이다.
- 분할판의 구멍수는 24 구멍이기 때문에 24의 약수에 한하므로 응용 범위가 비교적 좁다.
- 분할판의 크랭크 회전수: X = 24/N 단 N는 등분수이다.
(2) 단식 분할법
- 스핀들 작업을 하기 위하여 40개의 이빨이 달린 웜기어와 스핀들 웜, 웜축을 돌리기 위한 크랭크 및 분할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분할 크랭크 40회전은 스핀들을 1회전 시킨다.
- 분할판의 공수는 브라운 샤프 분할판과 신시내티 분할판으로 사용된다.
- 분할판의 크랭크 회전수: X = 40/N 단 N는 등분수이다.
(3) 차동 분할법
- 직접 분할법이나 단식 분할법으로 분할할 수 없는 67, 97, 121 등 61 이상의 소수나 특수한 수의 분할을 하는 방법이다.
- 변환 기어가 1단인 단식 차동 분할법과 변환 기어가 2단인 복식 차동 분할법으로 나눈다.
10. 밀링 작업
1. 공구 고정 방법
(1) 정면 밀링 커터의 장치 방법
1) 아버에 의한 고정 방법
① 아버와 커터는 먼저 설치한다.
② 정면 밀링 커터를 테이블 위에 얹고 니의 기둥 이송으로 주축 구멍에 오게 한다. 테이블 위에는 커터 파손 방지를 위해 보호구를 준비해 둔다.
③ 테이퍼 부의 접촉면과 먼지 등을 잘 점검한다. 채터링과 거칠기의 원인이 된다.
④ 드로잉 볼트는 확실하게 죈다.
2) 주축 끝면에 고정 볼트로 고정하는 방법
① 센터링 플러그를 사용한다.
② 접촉면을 깨끗이 한다.
③ 주축에 체결하는 볼트는 균등하게 죄고, 과도하게 죄지 않도록 주의한다.
④ 이 방법은 센터 스윙이 생기기 쉬우므로 인로우브 등의 상처, 휨에 대한 주의를 한다.
⑤ 장치한 후에는 커터 날끝의 스윙을 점검하여 스윙을 0.01∼0.02mm 이내로 억제한다.
(2) 퀵 체인지(Quick change)에 의한 방법
- 드로잉 볼트를 사용하지 않고, 주축 전단의 나사를 풀고 공구를 장치하며 분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종류의 공구를 병용하며 작업에는 조작이 쉽고 편리하다.
(3) 롱 아버(long arbor)에 의한 방법
① 컬러는 깨끗하고 정밀하게 맞는 칼러와 아버를 사용한다.
② 아버는 되도록 굵고 짧은 것을 사용한다.
③ 밀링 커터는 죔너트의 죔이 마음대로 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④ 밀링 커터는 되도록 볼베어링에 가깝게 장치한다.
⑤ 밀링 커터의 체결은 아버서포트를 고정하고서 한다.
⑥ 비틀림날의 밀링 커터는 되도록 스러스트가 주 베어링 방향으로 향하도록 장치한다.
2. 공작물 고정 방법
(1) 바이스에 의한 고정
① 바이스를 테이블 위에 설치한 후 다이얼 게이지로 평행도를 측정한다.
② 가공물과 마우스 피스에 틈새가 있을 때는 함석판이나 구리판을 사용한다.
③ 가공물이 바이스에 물려 있는 부분보다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많을 때는 클램프로 보강한다.
④ 긴 공작물을 작업할 때는 바이스 2대를 테이블과 직각으로 설치하여 안전하게 작업한다.
⑤ 둥근 환봉 형상을 바이스에 물릴 때에는 가공물이 V홈 부분에 물리게 한다.
(2) 테이블에 직접 고정하는 법
① 볼트, 너트 죄기는 전부를 가볍게 균등한 죄기로 하고, 엇갈리게 서서히 더 죈다.
② 클램프의 위치 및 볼트의 죔 위치는 가능한 이송 방향으로 체결한다.
③ 6각 지지대, 클립 등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고정할 때는 항상 수평 위치에 온 상태에서 체결한다.
④ 테이블 위에 공작물을 직접 장치할 때는 테이블에 흔적이 나지 않게 하고, 절삭칩의 부착이 없도록 깨끗하게 한다.
⑤ 절삭력에 의한 가공물에 변위가 생길 위험이 있을 때에는 테이블 홈에 블록을 넣거나 스토퍼를 가공 물의 측면에 댄다.
(3) 부속 장치에 의한 작업
① 마그네틱 척에 의한 방법으로 바이스로 고정할 수 없는 얇은 공작물이나 복잡한 외주의 가공물과 대량 생산시의 두께의 고정이 필요할 때 사용된다.
② 처킹 바이스에 의한 방법은 표준 바이스로는 고정이 불가능한 가공물을 형상에 맞추어서 사용한다.
③ 가공물의 기준면을 테이블과 수직면에 장치하여 가공할 때 사용하는 앵글 플레이트가 있다.
④ 분할 작업 및 회전 테이블에 의한 방법도 있다.
11. 참고 문헌
공작기계/ 포인트 도서출판 .최이수 오명석 김동호 김건호 공저
http://www.hnkkorea.com
http://www.hnkkorea.com
http://mech1004.cyberu.co.kr/gongjak/gj03.htm#제%20%20%206%20절%20밀링
12. 결론<나의 생각>
이번 레포트를 하게 되면서 밀링머신이 이렇게 많은 종류를 가지고 있는지 알게 되었다. 저번학기 기계제작법에서 배운 밀링머신은 조금 간단한게 배워서 그런지 자세히 알수가 없었지만, 이번의 계기로 많은 그림을 통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실제로 본 것처럼 자세히 알게 되어서 좋았던 것 같았다.
또한 구조를 조사하면서 이런 많은 구조들이 있는 것을 알았고 밀링 바이스라는 것도 알게 되어서 많은 것이 통해서 하나의 기계를 만드는 기계가 완성되는 알게 되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를 통해서 절삭공구를 통해 여러 가지 공구를 이용하여 절삭을 함으로써 우리에게 기계를 주어 우리의 일상생활에 편리하게 도와 줄수 있는 기계가 탄생되는 기초가 되는 기계를 알게 되었다. 밀링 작업에도 여러 가지 방법에 따라 기술 또는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추천자료
독일의 공작연맹( Deutscher Werkbund )
기계설계 레포트 (32장~34장)
인장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Parameter와 실제 현상 LD Scan Speed 비교 공작물과 CAD데이터와의 오차 분석 RP에 대한 전...
기계공학(선반가공)
기계인장실험
기계설계 축, 축이음, 마찰전동장치 및 무단변속기
[기계 공학 응용 실험] 11. 절삭력 측정 실험 (A+자료)
[기계설계][기계설계의 소음제거][기계설계의 축이음][기계설계의 베어링]기계설계의 개념, ...
기계설계 - 기어 가공 방법
기계공학 실험 - 정밀 측정
[기계시스템, 물류시스템, 인공지능시스템]기계시스템과 물류시스템, 기계시스템과 인공지능...
기계공학실험 - 계측기기 종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절삭력 측정실험 & 링 압축에 의한 마찰상수 측정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