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구의 민족주의에 대한 논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서론 - 한반도의 해방과정과 국내정치상황
ⅰ) 한반도의 해방과정 - 외세의 개입에 의한 광복
ⅱ) 국내 정치상황 - 냉전의 대결구도로 분단된 한반도
Ⅱ 본론 - 김구 선생의 민족주의, 그에 대한 논증
ⅰ) 한국민족주의의 표상, 김구 선생의 저항적, 통일 민족주의
ⅱ) 문화적 민족주의로의 발전

Ⅲ 결론 - 김구선생의 민족주의의 한계와 의의

본문내용

라가 남의 것을 모방하는 나라가 되지 말고 이러한 높고 새로운 문화의 근원이 되고 목표가 되고 모범이 되기를 원한다. ......중략......우리 민족이 주연 배우로 세계무대에 등장할 날이 눈앞에 보이지 아니 하는가’ 이처럼 김구선생의 민족주의는 앞에서 제기했던 저항적, 통일 민족주의 모습에서 통일 조국건설 이후의 한민족의 역할을 설정하면서 김구선생은 이러한 문화 민족주의의 발현은 국민 교육을 통해서 이뤄 질 수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내용은 ‘나의 소원’ 3장 내가 원하는 우리나라에서 살펴 볼수 있다.
전 인류의 진정한 평화와 복락을 꿈꾸었던 평화적인 문화 민족주의를 구상하였다.
Ⅲ 결론 - 김구선생의 민족주의의 한계와 의의
세계에서 가장 부강한 통일 조국을 꿈꿔왔던 김구선생의 민족주의는 당시의 냉전에 희생양이었던 조선의 상황과 국제정치현상을 인식하지 못한 무시한 이상주의적 민족주의의 모습을 볼 수 있고 이것은 순수한 민족감정에 의거한 소박성의 발로 정경환, 157p
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해방이후 한반도는 단순한 남북 간의 이념대립만 존재한 것은 아니었다. 바로 사회주의국가인 소련과 자본주의국가인 미국의 첨예한 대립이 나타나고 있던 냉전의 장이었다. 당시 김구 선생은 민족 간의 대립으로 인해 분단이 이뤄진 것이 아니라 외세의 개입에 의해 분단이 되어버린 한반도의 국제적인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였다. 아니 인식은 하였지만 당시 한반도의 현실은 무시한 채 남한의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북과의 남북협상을 성공시키면 조국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순수한 이상주의적인 정치적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할 수 있을 것이다.
해방 6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김구 선생만큼 자신의 안위보다는 조국과 민족의 미래를 치열하게 고민했던 지도자가 있었던가? 조국통일 보다는 자신들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친일파와 민족반역자처리를 미루고 미국에 사대주의적이었던 이승만 정권, 그리고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공을 국시로 삼고 국가안보 운운하며 통일 보다는 자신들의 정권유지에 총력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던 해방이후 지금까지 이어져온 질곡의 한국 근, 현대사의 모습 속에서 우리민족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통일조국의 정형을 보여준 김구선생의 민족주의, 세계평화와 전 인류의 미래에 대해서 논했던 문화 민족주의 사상은 우리민족이 나아가야 할 청사진을 제시한 것이라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 도서
정경환 (1999), 『백범 김구 연구』, 부산: 신지서원
차기벽 (1990), 『민족주의 원론』, 서울: 한길사
박현채 (1992), 『청년을 위한 한국 현대사』, 서울: 소나무
박세길 (2001), 『세계를 바꾸는 역사』, 서울: 민
김 구 (2002), 『백범일지』, 서울: 돌베게
조동걸 (2001), 『한국근현대사의 이상과 형상』, 서울: 푸른 역사
Ⅴ 참고 문헌
한호석 (1996), 『통일시대 민족주의와 통일 민족주의』, 미주 평화통일 연구소
김 구 (1947), 『나의 소원』
김 구 (1948), 『삼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