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곽 수술 간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흉막강내, 폐 실질 조직, 기도의 염증, 무기폐나 흉막강내 공기의 축적 등을 관찰한다.
7. 진단방법
통상 진단은 단순흉부 X-선사진 만으로 진단이 가능하다.
단순흉부 X-선 사진만으로 정확한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나, 수술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 흉부단층촬영(CT)을 시행하기도 한다.
☞ 흉부X-선사진상 병변측 흉곽내에서 기흉이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기흉을 흔히 작은 기흉(20% 미 만), 중간 기흉(20~40%), 그리고 큰 기흉(40% 보다 클 때)으로 나누기도 한다.
8.합병증/예후
- 합병증: 약 15%의 환자에서는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일 수 있습니다.
- 기흉은 대체로 재발이 흔한 편이어서 첫번째 기흉이 발생했을 때는 재발률이 50% 정도이고 재발되는 기간은 평균 2~3년 정도입니다. 두번째, 세번째 기흉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재발률이 더욱 높아 각각 60%, 80%입니다.
Reference
최신임상간호 매뉴얼, 고일선 외, 현문사, 1999
기본 간호학 김명자 외 6명,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1, 김매자 외, 현문사
서문자외 7인, 성인간호학, 수문사, 1996
nurse.yonsei.ac.
krmembers.tripod.lycos.co.kr/popw195fa/adult.htm
내과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1997.
성인 내.외과 간호학Ⅰ, 최정신외, 형설출판사, 2002.
내과지침서, 김도경외 8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고려의학, 1999
병리학, 대한병리학회, 고문사, 1998
http://ts.pnuh.co.kr/domini/disease.htm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11
  • 저작시기200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09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