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50~100mm
측벽 : 30mm
없음
Ⅳ
불량한
암반
21~40
-상하 단면굴착
-상단굴진 1.0~1.5m
-굴착 동시지보
-막장에서 10m 굴착동시 지보
-천반에 벽면에 wire
mesh사용
-길이 4~5m
간격 1~1.5m의 체계적인 록볼트
천반 :
100~150mm
측벽 : 100mm
필요한 곳에 1.5m 간격의 경보통 철재지보
Ⅴ
매우불량한 암반
20~0
-분활 굴착
-상단굴진 1.0~1.5m
-굴착 동시 지보
-발파후 최단시간에 숏크리트
-천반과 벽면에 wire mesh 사용
-길이 5~6m, 간격 1~1.5m의 체계적인 록 볼트 인버트에도 볼트 시공
천반 :
150~200mm
측벽 : 150mm
막장 : 50mm
0.75m 간격의 지보중 철재 지보 필요시 철재
lagg-ing,forepoling, 인버트 폐합
14.RMR에 의한 터널 폭과 유지시간 관계표에서 얻을 수 있는 사항
-RMR 값에 따른 최대 안전 폭과 자립 시간을 산출 할 수 있다.
-굴착 막장면의 암질 상태가 양호한 암석과 불량한 암석으로 섰여 있을 경우 암반의 평가는 “가장 결정적인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개의 막장면에 암반 특성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부분이 존재할 경우 각 부분에 대한 RMR 값을 산정하고 각각의 지역이 전체 굴착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며 전체 영역에 대한 각 부분의 면적 가중치로서 총체적인 영향을 판단 할 수 있다.
15.Q시스템의 지수 계산식과 항목 설명
Q 법(Q system) : 1974년, Barton, Lien and Lunde 개발, 212개의 터널 굴착을 분석하여 제안. 6개의 매개변수 이용
(1) RQD
(2) 절리군의 수
(3) 절리의 거칠음 정도
(4) 절리의 충진물이나 변질 정도
(5) 지하수의 용출
(6) 응력의 상태
RQD : 100(매우 양호) ~ 0 (매우 불량)
Jn : 절리군의 수[0.5(괴상)-20(파쇄상태)]
Jr : 절리면의 거칠음 정도[4(불연속적인 절리)- 0.5 (경면 상태)]
Ja : 절리면의 변질 정도[0.75(밀착, 풍화없음)-20(두께 5 mm 이상의 충진물)]
Jw :지하수의 용출계수(1.0(건조, 간극수압<1kg중/㎠-0.05(용수량 많음, 간극수압>10kgf/㎠)
SRF: 응력저감계수[0.5(높은 응력)-15(암석이 팽창할 정도의 높은 응력)
- Q : 1000 (틈이 거의 없는 단단한 암석) ~ 0.001 (지극히 연약한 팽창성 암반)
측벽 : 30mm
없음
Ⅳ
불량한
암반
21~40
-상하 단면굴착
-상단굴진 1.0~1.5m
-굴착 동시지보
-막장에서 10m 굴착동시 지보
-천반에 벽면에 wire
mesh사용
-길이 4~5m
간격 1~1.5m의 체계적인 록볼트
천반 :
100~150mm
측벽 : 100mm
필요한 곳에 1.5m 간격의 경보통 철재지보
Ⅴ
매우불량한 암반
20~0
-분활 굴착
-상단굴진 1.0~1.5m
-굴착 동시 지보
-발파후 최단시간에 숏크리트
-천반과 벽면에 wire mesh 사용
-길이 5~6m, 간격 1~1.5m의 체계적인 록 볼트 인버트에도 볼트 시공
천반 :
150~200mm
측벽 : 150mm
막장 : 50mm
0.75m 간격의 지보중 철재 지보 필요시 철재
lagg-ing,forepoling, 인버트 폐합
14.RMR에 의한 터널 폭과 유지시간 관계표에서 얻을 수 있는 사항
-RMR 값에 따른 최대 안전 폭과 자립 시간을 산출 할 수 있다.
-굴착 막장면의 암질 상태가 양호한 암석과 불량한 암석으로 섰여 있을 경우 암반의 평가는 “가장 결정적인 상태”를 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개의 막장면에 암반 특성을 달리하는 2개 이상의 부분이 존재할 경우 각 부분에 대한 RMR 값을 산정하고 각각의 지역이 전체 굴착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며 전체 영역에 대한 각 부분의 면적 가중치로서 총체적인 영향을 판단 할 수 있다.
15.Q시스템의 지수 계산식과 항목 설명
Q 법(Q system) : 1974년, Barton, Lien and Lunde 개발, 212개의 터널 굴착을 분석하여 제안. 6개의 매개변수 이용
(1) RQD
(2) 절리군의 수
(3) 절리의 거칠음 정도
(4) 절리의 충진물이나 변질 정도
(5) 지하수의 용출
(6) 응력의 상태
RQD : 100(매우 양호) ~ 0 (매우 불량)
Jn : 절리군의 수[0.5(괴상)-20(파쇄상태)]
Jr : 절리면의 거칠음 정도[4(불연속적인 절리)- 0.5 (경면 상태)]
Ja : 절리면의 변질 정도[0.75(밀착, 풍화없음)-20(두께 5 mm 이상의 충진물)]
Jw :지하수의 용출계수(1.0(건조, 간극수압<1kg중/㎠-0.05(용수량 많음, 간극수압>10kgf/㎠)
SRF: 응력저감계수[0.5(높은 응력)-15(암석이 팽창할 정도의 높은 응력)
- Q : 1000 (틈이 거의 없는 단단한 암석) ~ 0.001 (지극히 연약한 팽창성 암반)
추천자료
교정(correction)에 대하여
5.18 광주민중항쟁의 발자취...
보수주의와 일본의 우경화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
[김남주][김남주시인][김남주시인에 있어 시의 의미][김남주시인의 연보][김남주시인의 역사...
영산강유역 전방후원형고분의 성격
casestudy(ICH)
CASE STUDY(류마티스관절염)
성인간호학 케이스, 담관암 케이스, 5가지 간호진단
대학기록관의기록물관리
[문헌정보학과, 교육프로그램]문헌정보학과의 역사, 문헌정보학과의 분류, 문헌정보학과의 성...
[인간관계]인간관계(대인관계)의 정의, 중요성, 인간관계(대인관계)의 형성요인, 발달단계, ...
[문헌정보학과][문헌정보학 교과과정]문헌정보학과의 목적,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문헌정...
대입추천서 수시추천서 학생부종합전형 교사추천서 수시모집 일반전형 특기자전형 고른기회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