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마음과 행동의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뇌, 마음과 행동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심신론 (mind-body problems) - 마음과 신체는 어떤 관계에 있는가?

2. 뇌와 마음의 관계를 연구하는 방식과 그 결과

3. 뇌의 구성과 그 작업 원리 - division of labor/ divide and conquer

4. 스트레스에서 관찰되는 뇌와 마음의 밀접한 관계

5. 행동의 뇌 기제 (brain mechanism) - 유기체의 행동에 따라 뇌의 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가?

6. 다층화된 성 생활 (multi-layers of sex)

본문내용

를 내면, 학습이 잘 일어난다. 예를 들어, 어떤 소리 다음에 불쾌한 사건이 잇따르고 동물의 어떤 행동이 그 사건의 효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면? 그 동물 은 그러한 적응행동을 재빨리 배울 것이다. 눈까풀 조건형성(eyelid conditioning)이 그 한 예이다. 짧은 소리(조건자극)를 제시한 후, 눈의 각막을 훅 불면 (무조건자극), 동물은 눈을 감는다(무조건반응).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을 여러번 짝지우면 짧은 소리만 들려주어도 동물이 눈을 감는다. 이러한 눈까풀 조건 형성은 학습된 적응반응이다.
Thompson(1985)은 토끼가 소리를 듣고 그 왼쪽 눈까풀을 감도록 훈련시켰 다. 그 다음 소뇌의 좌측 깊숙이 위치한 중핵 일부를 절제했다. 그 결과, 이미 학습된 눈까풀 조건형성이 사라졌다. 이 토끼는 같은 행동을 다시 학습하지 못하였다. 그 오른쪽 눈까풀이 소리에 반응하도록 조건형성 시켰을 때 이 토끼는 제대로 학습할 수 있었다. 다른 여러 실험들도 소뇌가 불쾌한 자극을 피하는 적응반응 배후의 기억흔적(memory trace)을 갖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공포조건형성. 종소리나 어떤 자극 다음에 전기충격과 같은 불쾌한 자극이 잇따르면, 심박수(heart rate)와 같은 자율신경반응이 조건형성된다. 이를 공포조건형성이라한다. 동물이나 사람에게 소리나 빛을 제시한 후 피할 수 없는 불쾌한 쇼크를 제시하면, 쇼크 그 자체가 심박수의 증가를 초래한다. 소리와 쇼크를 짝지으면 소리만으로도 심박수의 변화가 있게 된다. 이는 공포가 학습됨을 보여 준다.
물음 1. 사람들이 보통 뱀을 두려워하는 행동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가?
6. 다층화된 성 생활 (multi-layers of sex)
임신 후 2 - 4 개월 사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호르몬 대사에 의해 개인의 성 정체감이 형성되기 시작한다. 사람들의 성생활 (erotic life)은 다섯 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그 중 1, 2 층은 잘 변하지 않으며, 3, 4 층은 중간층인데 다소 바꾸어질 수 있음. 성 역기능은 표면 문제로서 적절한 치료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Seligman, 1993).
l 층: 성 정체감과 성불명 (transsexuality) - 나는 남자인가 여자인가?
2 층: 성 오리엔테이션 - 남자를 사랑하는가 여자를 사랑하는가?
이성애 남자의 시상하부 INAH 3 핵은 동성애 남자의 그것보다 2 - 3 배
더 크며, 동성애 남자와 이성애 여자의 핵 크기는 비슷하다 (Levy, 1993).
3 층: 성 선호 (sexual preference) - 남자는 구체적인 대상에 의해 흥분하지만,
여자는 미묘한 플럿, 친밀감, 또는 성격 등에 의해 흥분하는 경향이 있다.
4 층: 성 역할 - 사회적 행동 (예, 놀이, 직업 선택), 성격, 남녀 차이 (예, 수학
언어 등)
5 층: 성행위 (sexual performance) - 성 역기능 (dysfunction) 문제
물음 1.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공간지각 능력이 뛰어난 까닭은 무엇일까?
2. 성 선호는 어떻게 학습될까? 연합학습일까? 이 학습 이외 다른 유형의
학습도 관여할까?
바꿀 필요가 있는 인식의 틀
한 통합되고 단일한 의식이 존재한다는 입장을 통합된 의식이란 실제로 질적 으로 다른 의식 체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가능해진다는 생각으로 바꾸어야 한다. 마음은 한 단일한 것이 아니라 a society이다. 여러 마음들간의 connectivity가 매우 중요하다. 뇌와 마음은 질적으로 다른 구성물이라는 생각에서 마음의 특정 기능이 뇌의 특정 부위에 구현되어 있다는 생각으로, 마음과 뇌는 function으로 link되어있다는 생각으로 바꾸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5.15
  • 저작시기2005.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