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표준원의 공산품 관련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술표준원의 공산품 관련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2005년 이후의 기술표준원의 공산품 관련 정책과 활동들
2. 안전인증제도 (제품검사+공장심사)
3. 자율안전확인제도 (신고 및 표시)
4. 안전·품질표시제도 (표시)
5. 어린이보호포장 제도 (신고 및 표시)
6. 신속조치제도
7. 제품안전관리제도로의 소비자들의 참여를 도모하는 활동들
8. 느낀 점 및 제언

본문내용

도의 강제적 안전관리의 문제점 보완하고 있으며, 사전에 위험한 공산품의 시장 유입을 차단하는 사전예방형 안전관리 , 건전기업-소비자-정부가 함께 만드는 자율적 안전관리를 지향하고 있다.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의 발전단계에서 보자면, 05년이후의 기술표준원의 공산품 관련 제도와 활동들은 정보제공의 2단계적 성향과 3단계인 의견교환의 중간단계에 위치하고 있는 것 같다. 05년 공산품안전관리법과 제도의 개정은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해서 교육, 선전, 해설, 설득의 방법 등으로 많은 부분 정보제공자(기술표준원)에서 일방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는 부분이 많았고, 개정된 제도들의 대한 홍보가 주가 되었기 때문에 장점만이 부각되는 모습도 보였다. 또한, 의견교환의 3단계적 부분도 가지고 있었는데, 제도의 개정과 함께 그것을 이끌어 나가기 위한 주체가 일방적인 것이 아니라, 책임있는 참가를 도모하는 활동들을 많이 추진했다. 민간을 통한 안전모니터링 제도(제품안전 감시단, 대학생 안전 지킴이)나 제품안전포탈시스템 ‘safety korea’ 사이트는 제품안전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품안전인증정보 검색 ,불법제품신고센터와 설문조사 등을 참여할 수 있게 하여 의사교환의 장을 마련되었다.
참고사이트
지식경제부 표준기술원 - http://www.kats.go.kr/
제품안전포탈시스템 - http://www.safetykorea.kr/
네이버 블로그 kps - http://blog.naver.com/kpsblog
오마이뉴스 블로그 해피바이러스 - http://blog.ohmynews.com/happyvirus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16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10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