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엇을 해야 될지 진지하게 생각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었던 것 같다. 영화 내용 중, 세상을 느끼는 것은, 기적이 일어나는 것은 머리가 아닌 가슴으로 해야된다는 내용이 나온다. 나도 삶을 이렇게 살고 싶다. 최근에는 복학하고 나서 학업을 따라 잡기 위해 안절부절 하며 학점의 노예가 된 채로 각박하게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있어서 확 와닿는 부분이었다. 모 교수님께서 ‘학문적인 공부는 추후에 해도 되는 것이지만, 치료사로서의 인격을 갖추는 것이 더 중요한 일이다’ 라고 말씀하신 것처럼, 내가 몇 년 뒤에 작업치료사로 살아가면서도, 정말 그저 머리로써 환자를 치료하고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가슴으로, 마음으로 진정 환자를 위로해주고 아픔을 같이 느낄 수 있는 그런 치료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추천자료
[정신병]Good Will Hunting을 보고 정신 질환적 분석 (경계선 성격장애)
치매의 종류와 증상 - 퇴행성 장애, 뇌혈관 질환, 감염, 독성물질에 의한 치매, 인지기능 장...
시인 신동엽 - 생애, 민중을 사랑한 시인, 시정신과 시인 정신
[정신건강]나의 정체감 부모님 교육방침 사랑 학습 리더십
[정신간호] 남자가 사랑을 할 때
[정신보건서비스] 정신건강 및 질환 서비스의 역사와 개념, 정신장애의 진단과 관점
[성][성의 개념][성의 분류][성의 특성][성의 가치][성과 대인관계][성과 사랑][성과 정신건...
라캉, 여성의 성, 사랑, 하나됨의 환상, 남성성, 여성성, 라캉주의 정신분석 비판, 이라가라...
[정신건강론] 에리히 프롬(E. Fromm)의 사랑의 기술에 대하여
정신건강론(질병과 감염성 질환)
신경 및 골격계 질환(임상영양학, 치매, 정신분열증, 월경전증후군, 골다공증) PPT, 파워포인트
행복감과 정신건강(정신건강론, 사랑, 직업의성취, 자원봉사) PPT
케어 플렌 care plan - 김 (91세) 척추가 굽어 허리를 피기 힘들어 거동이 불편한 상태, 과...
[청소년기 정신장애 및 질병] 청소년 건강문제(청소년기 우울증, 물질남용, 청소년 자살문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