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 신청 프로그램
1) 프로그램명 2) 프로그램 요약
3. 신청 프로그램 대상과 문제정의
1) 프로그램 대상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4. 신청 프로그램 목적, 목표, 하위목표
5. 프로그램의 형성기반
1)프로그램의 형태 및 구조
6.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1) 개입목표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행방법 2)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수행방법
3) 프로그램 수행인력 4) 프로그램 일정표
7. 프로그램 예산
1) 프로그램 예산 2) 자금조달계획
3) 서비스 단위생산량
8. 프로그램 과정 평가
9. 프로그램 효과 평가
1) 프로그램명 2) 프로그램 요약
3. 신청 프로그램 대상과 문제정의
1) 프로그램 대상 2) 프로그램 대상의 문제 및 원인
4. 신청 프로그램 목적, 목표, 하위목표
5. 프로그램의 형성기반
1)프로그램의 형태 및 구조
6. 프로그램 내용 및 실시방법
1) 개입목표별 프로그램의 내용 및 수행방법 2) 프로그램 세부내용 및 수행방법
3) 프로그램 수행인력 4) 프로그램 일정표
7. 프로그램 예산
1) 프로그램 예산 2) 자금조달계획
3) 서비스 단위생산량
8. 프로그램 과정 평가
9. 프로그램 효과 평가
본문내용
들기
2004년 1~12월
(매월마다 1회)
12명
1) 평가일시 : 612월 분기별 사업평가
- 자체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 참여율 파악
- 결연가족 형성과정상의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자조모임 결성
2004년 짝수월
(2,4,6,8,10,12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표 후 자체평가 실시
- 자체평가 / 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어르신들의 자조모임 결성에 있어 진행상의 어려움, 문제점 토론
3) 평가내용
- 자조모임원간의 신뢰, 친밀감의 정도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기념일 챙겨드리기
(어버이날 카네이션 달아드리기)
2004년 5월 8일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강사관련 평가
- 예산관련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기념일 챙겨드리기
(생신날에 잔치 열어드리기)
2004년
매 달마다
25명
경로잔치
2004년 2, 9월
25명
1) 평가일시 : 612월 분기별 사업평가
- 자체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강사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진행과업
공정표
평가방법
수행시기
목표량
재롱잔치 및 위문공연
2004년 5, 8월
25명
1) 평가일시 : 612월 분기별 사업평가
- 자체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매월 1회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강사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공연관람
2004년2, 3, 4월
8, 9, 10월
(월마다 1회)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공연이해도의 수준파악
- 어르신들의 호응도 평가
- 자원봉사자 섭외 관련 평가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채소나 야채 등의
모종 나눠드리기
2004년 3~6월
(월마다 2회)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 모종 기르기에 대한 참여율 파악
- 재배정도에 대한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영정사진 찍어드리기
2004년
8, 9, 10, 11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자원봉사자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8. 프로그램 효과 평가
평 가
목표1
목표2
목표3
목표4
평가지표
저소득 독거 어르신에게 결손가족과의 결연을 통하여 만남의 기회를 가짐으로서 역할상실에 처한 어르신에게 가족 내에서의 조부모 역할을 부여하여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모하며, 친구, 이웃 등의 동년배 자조모임을 결성하여 서로에게 의지하고 조언해주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노후생활의 즐거움과 활력소 제공하여 독거에 대한 외로움을 떨치고, 나를 위해주는 사람이 있음을 느끼게 함으로써 만족감과 더불어 자신은 혼자가 아니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문화활동과 생산적인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인 활동의 경험을 제공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노년기의 자아통합을 도모한다.
영정사진을 찍어드림으로써 인생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케 하고 여생을 편안하게 보낼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게 하여 노년기의 사회통합 기회를 제공한다.
측정도구
어르신의 역할찾기에 관한 프로그램 진행 후 평가회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느 정도 효과를 얻었는지를 평가한다.
프로그램 설문조사를 통
해 만족도 파악
구성원들의 프로그램 전, 후 변화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프로그램에 관한 인지도를 묻는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한 후 비교분석함은 물론 즐거움과 활력소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도록 한다.
프로그램 후 설문조사를 통해 만족도 파악
어르신들의 프로그램 전, 후 변화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프로그램 후 설문조사를 통해 만족도 파악
프로그램 후에 어르신들의 마음의 안정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한 후 비교분석 한다.
프로그램 설문조사를 통
해 만족도 평가
평가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
프로그램 진행 후, 어르신의 역할찾기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프로그램관련
만족도 조사
(70%이상 만족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 진행 후 프로그램 인지도를 묻는 설문조사 실시
교육 후 만족도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
(70%이상 만족을 목표로
한다)
어르신들의 프로그램 후, 변화정도를 묻는 설문조사 실시
프로그램 관련
만족도 조사
(70%이상 만족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 후 어르신들의 마음의 안정정도 비교분석(70%이상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진행 후, 설문조사 실시
(70%이상 만족을 목표
로 한다)
2004년 1~12월
(매월마다 1회)
12명
1) 평가일시 : 612월 분기별 사업평가
- 자체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 참여율 파악
- 결연가족 형성과정상의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자조모임 결성
2004년 짝수월
(2,4,6,8,10,12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표 후 자체평가 실시
- 자체평가 / 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어르신들의 자조모임 결성에 있어 진행상의 어려움, 문제점 토론
3) 평가내용
- 자조모임원간의 신뢰, 친밀감의 정도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기념일 챙겨드리기
(어버이날 카네이션 달아드리기)
2004년 5월 8일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강사관련 평가
- 예산관련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기념일 챙겨드리기
(생신날에 잔치 열어드리기)
2004년
매 달마다
25명
경로잔치
2004년 2, 9월
25명
1) 평가일시 : 612월 분기별 사업평가
- 자체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강사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진행과업
공정표
평가방법
수행시기
목표량
재롱잔치 및 위문공연
2004년 5, 8월
25명
1) 평가일시 : 612월 분기별 사업평가
- 자체중간평가 / 12월 종합평가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매월 1회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강사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공연관람
2004년2, 3, 4월
8, 9, 10월
(월마다 1회)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율 평가
- 공연이해도의 수준파악
- 어르신들의 호응도 평가
- 자원봉사자 섭외 관련 평가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채소나 야채 등의
모종 나눠드리기
2004년 3~6월
(월마다 2회)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참여자들과 함께 평가회를 갖는다.
- 모종 기르기에 대한 참여율 파악
- 재배정도에 대한 평가 실시
3) 평가내용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평가
영정사진 찍어드리기
2004년
8, 9, 10, 11월
25명
1) 평가일시 : 사업종료 후 자체평가 실시
2) 평가방법
- 평가보고서 작성
- 프로그램 종결 후 소감 듣기
- 자체적으로 운영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어려움과 문제점에 대해
토론한다.
3) 평가내용
- 전문자원봉사자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과정에 관한 평가
- 프로그램 홍보 내용, 홍보방법
홍보지역에 관한 평가
8. 프로그램 효과 평가
평 가
목표1
목표2
목표3
목표4
평가지표
저소득 독거 어르신에게 결손가족과의 결연을 통하여 만남의 기회를 가짐으로서 역할상실에 처한 어르신에게 가족 내에서의 조부모 역할을 부여하여 자존감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모하며, 친구, 이웃 등의 동년배 자조모임을 결성하여 서로에게 의지하고 조언해주며,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노후생활의 즐거움과 활력소 제공하여 독거에 대한 외로움을 떨치고, 나를 위해주는 사람이 있음을 느끼게 함으로써 만족감과 더불어 자신은 혼자가 아니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문화활동과 생산적인 여가활동을 통해 사회적인 활동의 경험을 제공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키고 노년기의 자아통합을 도모한다.
영정사진을 찍어드림으로써 인생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케 하고 여생을 편안하게 보낼 수 있는 마음가짐을 갖게 하여 노년기의 사회통합 기회를 제공한다.
측정도구
어르신의 역할찾기에 관한 프로그램 진행 후 평가회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어느 정도 효과를 얻었는지를 평가한다.
프로그램 설문조사를 통
해 만족도 파악
구성원들의 프로그램 전, 후 변화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프로그램에 관한 인지도를 묻는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한 후 비교분석함은 물론 즐거움과 활력소의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도록 한다.
프로그램 후 설문조사를 통해 만족도 파악
어르신들의 프로그램 전, 후 변화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한다.
프로그램 후 설문조사를 통해 만족도 파악
프로그램 후에 어르신들의 마음의 안정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한 후 비교분석 한다.
프로그램 설문조사를 통
해 만족도 평가
평가방법
(측정도구 및 방법)
프로그램 진행 후, 어르신의 역할찾기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프로그램관련
만족도 조사
(70%이상 만족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 진행 후 프로그램 인지도를 묻는 설문조사 실시
교육 후 만족도 파악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
(70%이상 만족을 목표로
한다)
어르신들의 프로그램 후, 변화정도를 묻는 설문조사 실시
프로그램 관련
만족도 조사
(70%이상 만족을 목표로
한다)
프로그램 후 어르신들의 마음의 안정정도 비교분석(70%이상 마음의 안정에 도움을 받았다는 응답이 있을 수 있도록 한다)
프로그램 진행 후, 설문조사 실시
(70%이상 만족을 목표
로 한다)
추천자료
소년소녀가정, 이혼자 가족, 독거노인, 미혼모가족의 정의와 문제점 및 통계현황, 실제사례, ...
[사회복지/지역사회복지A+]봉천10동 독거노인의 생활상 문제점분석 및 지역사회복지실천모델...
한부모가정, 장애인가족,재혼가족, 독거노인가족 등을 대상으로 여성가족부에서 건강가정 지...
독거노인 대상 사업계획서, 설문지
저소득 여성독거노인 자발적 네트워크 형성 기회제공과 능력향상을 위한 지지체계 구축과 정...
독거노인의 생활 실태조사 설문지
여성 독거노인 사례관리(방문상담일지 포함)
여성 독거노인 사례관리(재가복지)
독거 노인에 관한 보고서 최종 연구 보고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족의 문제(이혼가족, 장애인가족, 소년소녀가정, 독거노인가족 등)...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족의 문제(이혼가족, 장애인가족, 소년소녀가정, 독거노인가족 등)...
[가족복지론]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족의 문제(이혼가족, 장애인가족, 소년소녀가정, 독거...
사회복지조사론)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에서 아래의 논문을 찾아서 사회복지 조사연구의 7...
노인생태환경전문가양성프로포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