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범죄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이버 범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이버범죄의 개념
2. 사이버공간의 특성과 범죄
3. 사이버범죄의 실태 및 처벌
(1) 발생형태 (유형)
(2) 발생현황
(3) 법적 대응방안
4. 사이버범죄 관련 vod 자료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및 관련 사이트

본문내용

‘방법’을 당한 사람들 299회
방송일 : 2004 . 6 . 19
내용 1)지난 2월 전국을 떠들썩하게 만든 경남 창원의 한 중학교에서 일어난 소위 ‘왕따동 영상’ 사건.
2)교장선생님의 죽음, 학생들의 상처.. 인터넷 마녀사냥은 시작되는가?
<왕따동영상>이 ‘수업중 촬영’한 것이었다는 것이 네티즌들을 통해 새롭게 밝혀지면 서 사건이 다시 일파만파로 번져가고 있을 때, 갑작스럽게 자살했던 교장선생님.
3)인터넷으로 ‘방법’을 당한 사람들
최근 서울의 한 아파트에서 20대 남성이 스스로 투신, 사망한 사건이 발생했다
투신을 하게 된 정확한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경찰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한 달 가량
전부터 이 남성은 모 인터넷 사이트에서 개인적인 일로 다른 네티즌들과 격렬한 논쟁 을 하며 심한 스트레스를 받아 왔었다.
인터넷 얼짱 사이트에서 소위 왕따를 당한 김시은씨(25,가명).
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04_broadcast_view_board_type_sx.jsp?vProgId=1000082&vVodId=V0000010101&vMenuId=1001376&rpage=10&cpage=4#
10 ) 그것이 알고 싶다 - 연예인 비디오 파문의 진실...누가 주홍글씨를 새기는가 247회
방송일 : 2003 . 4 . 12
내용 : 2000년 11월, bomb69.com이라는 미국의 한 포르노 사이트가 한국 유명 여가수의 정사 장면이 담긴 동영상물을 게재한다. 곧 이 동영상물은 ‘B양 비디오’라는 이름으로 급속히 유포되어 당시 우리 사회에 큰 파문을 일으킨다. 그리고 비디오 파문의 당사자가 가수 백지영씨로 밝혀지고 백씨는 마지막 콘서트를 끝으로 사실상 가수 활동을 마감하게 된다.
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04_broadcast_view_board_type_sx.jsp?vProgId=1000082&vVodId=V0000010101&vMenuId=1001376&rpage=10&cpage=9#
11 ) 그것이 알고 싶다 - 온라인 게임의 세계 199회
방송일 : 2002 . 2 . 23
내용 : <힘과 돈이 지배하는 리니지 세계>
<리니지 게임의 절대 권력자>
<게임의 매력과 중독성>
리니지의 실사용자 수는 200만 명. 지금 이 시간에도 20만 명이 온라인에서 움직이 고 있다. 게임을 하지 않으면 불안하고 학교와 게임 중에 게임을 선택하는 청소년들. 게임상의 무기를 잃어서 자살과 폭력이 난무하는 현실. 장시간의 게임으로 아내를 잃 은 남편이 이제는 두 딸과 온 가족이 리니지 게임에 빠져 있다고 한다.
온라인 게임의 매력은 어디에 있고 중독성은 얼마나 심각한가?
이번주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정부의 게임산업 육성이라는 모토 아래 게임산업 5 년의 현주소를 알아본다. 외국에서는 한국 유저들의 저속한 게임 태도로 자국 게임 접속을 차단하고 현재 한국의 게임 열기를 가십거리로 삼고 있다.
급속한 인터넷망의 확산으로 500만 명 이상의 유저들이 만들어가는 온라인 게임의 새로운 실험장 한국. 이윤만을 추구하는 업체와 정부의 안일한 대응으로 멍들어가는 게임문화를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http://wizard2.sbs.co.kr/resource/template/contents/04_broadcast_view_board_type_sx.jsp?vProgId=1000082&vVodId=V0000010101&vMenuId=1001376&rpage=10&cpage=14
Ⅲ.결론
사이버공간은 앞으로도 계속 발전을 거듭할 것이다. 이러한 발전이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할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이다. 다만 한가지 확실한 것은 이미 우리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사이버공간으로 옮겨갔고 이제는 사이버공간을 무시하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하기가 어려운 지경이 되어 버렸다. 이러한 상황에 도달한 우리로서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생활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이 되도록 노력해야 할 책무가 있다.
사이버공간의 안전을 위한 이러한 노력은 어떤 특정한 계층의 사람들만이 해야하는 것은 아니다. 기본적으로 사이버공간에 참여하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공동작업에 의해서만이 사이버공동체의 생활을 안전하고 편안하게 유지시켜 줄 것이다. 특히 사이버공간의 질서를 교란시키는 해커(크래커)들은 인류의 공동 적이라는 관념 하에 국제적 공조를 이루어 나갈 때에만 해커(크래커)들의 준동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조는 무엇보다도 국내에서 사이버공간에 대한 확고한 치안질서가 확립되어 있을 때에만 실현 가능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서 우리 스스로가 사이버범죄에 대한 단호한 조치가 있을 때에 해외에서 침입한 해커에 대해서도 추적과 처벌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항상 예방이 최선의 방어책이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사이버공간을 구성하는 컴퓨터시스템과 네트워크망에 대한 지속적으로 점검을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 사이버생활의 기반을 위협하는 사이버테러를 막는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바탕 위에서 사이버공간은 우리의 미래를 밝게 해 줄 것이다.
Ⅳ.참고 문헌 및 사이트
- 사이버 범죄연구회(cybercrime research forum) http://cybercrime.re.kr/
-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http://ctrc.go.kr/main.jsp
- 서울지방경찰청 사이버범죄수사대 http://www.cybercrime.go.kr/index/index.htm
- 사이버 문화연구소 http://cyberculture.re.kr/
- 한국 인터넷진흥원 http://www.nic.or.kr/index.htm
- 한국 정보보호진흥원 http://www.kisa.or.kr/
- 정보통신윤리위원회 http://www.icec.or.kr/
- 사이버 경찰청 http://www.police.go.kr/
- 한국사이버범죄백서 2001, 전자신문사, 사단법인 사이버감시단, 출판일2001/12/01
사이버 경찰청(http://www.police.go.kr)
  • 가격1,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0.05.1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1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