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기공조, Green Building,Clean Room,Bio-clean Room,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향기공조란 무엇인가?

2. Green Building

3. Clean Room과 Bio-clean Room

4. 전열교환기(Total Heat Exchanger)

5. 극저온 냉동기술

6. 열 저장기술

7. 오존층 파괴와 대체냉매

8.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현상

본문내용

냉각기의 냉매라든가 반도체 칩의 세정제, 또는 무스나 페인트 스프레이 통 안의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키는 충전제로 사용되고 있다.
③ CFC의 오존층 파괴 과정
- CFC는 매우 안정되어 대기 중에서 다른 물질과 반응하지 않고 대기층을 떠돌다가 상승기류를 타고 오존층까지 올라가게 된다. 여기서 자외선을 받으면 CFC의 염소원자 하나가 떨어져 나온다.
(CCl2F2 + 자외선 --> CClF2 + Cl)
떨어져 나온 염소 원자는 오존의 산소원자 하나를 빼앗아 일산화염소를 만든다.
(Cl + O3 --> ClO + O2)
일산화염소는 다시 오존 분자의 산소원자를 하나 떼어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산소원자와 결합시켜 산소분자를 만들고 혼자만 남게 된다.
(ClO + O --> Cl + O2)
혼자 남게 된 염소분자는 다시 오존 분자의 산소를 떼어내 위 과정을 되풀이한다. 이런 과정이 되풀이되면서 CFC는 연쇄반응을 일으켜 CFC한 분자는 오존 10만 분자 정도를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④ 오존층 파괴의 문제점
현재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은 우리 몸의 건강을 지키는데 알맞은 상태이다. 만일 오존층이 너무 두꺼워서 자외선이 약해지면 세균이 잘 죽지 않아 결핵이나 구루병에 걸리기 쉽다. 너무 얇아지면 자외선이 너무 강해 여기에 노출된 피부는 화상을 입게 되고 눈은 뻘겋게 충혈 되었다가 시력을 잃게 된다. 또 DNA분자에 영향을 주어 세포는 돌연변이를 일으키거나 죽게 된다. 그럼으로써 사람은 피부노화나 피부암이 증가하고 눈의 백내장이 증가하며 식물은 엽록소가 파괴되어 생육장애가 일어난다.
⑤ 오존층의 역할
오존층은 가시광선을 통과시켜 생태계 먹이 사슬의 기초를 이루는 식물의 생산을 돕고 생물체에 해로운 자외선을 걸러내어 우리를 보호한다. 즉 오존은 지상의 대기 중에 존재할 때는 여러 가지 오염을 일으키지만 성층권에서 층을 이루어 존재할 때는 태양 광선 중 해로운 자외선(UV)로부터 생명체를 건강 하게 지켜주는 보호막인 것이다.
오존층
8.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현상
① 온실 기체 :
- 온실가스·온실 효과 기체라고도 한다. 이산화탄소·메탄·아산화질소·프레온(염화불화탄소)·수소불화탄소·과불화탄소·육불화황 등이 있다.
지구상의 기후와 생태계에 적합한 환경을 유지해 주는 온실효과에 이바지하기도 하지만, 지나치게 증가하면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나쁜 영향을 끼친다. 수증기와 오존도 이에 속하지만, 수증기의 양은 기후체계 안에서 결정되며 인위적 요인으로 좌우되지는 않는다. 오존은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온실효과에 대한 영향은 다른 기체에 비하여 적다.
② 지구 온난화 현상
㉮ 자연적 요인
㉠지구 궤도 요인 - 지구 궤도 요인에는 태양활동의 변화, 지축 변화, 지구 공전 궤도 변화가 있다. 태양에 의한 기후 변화 요인 중 가장 주기가 짧은 것이 11년 주기의 태양 활동 변화이다. 이 태양 활동의 변화는 그 주기가 비교적 짧고, 이 주기 동안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에너지 양의 변화가 0.07%에 불과하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에 직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지구 자전축과 관련된 요인은 지구 공전축에 대한 지축의 기울기가 변한다는 것이다. 지축이 더 기울어질수록 계절 변화가 지금보다 더 클 것이며, 지축의 기울기가 작을 때는 계절 변화가 상대적으로 작을 것이다. 마지막 요인은 지구의 공전 궤도 변화인데, 지구의 공전 궤도는 약 10만 년 주기로 거의 완전한 원에서 타원으로 점차 편평화하였다가 원래대로 돌아간다. 지구 공전 궤도가 원일 때보다 타원일 때 계절적 기후 변화는 훨씬 더 크게 일어날 것이다.
㉡ 화산 분출 - 화산 분화는 어떤 성분의 가스와 먼지를, 얼마나 많은 양을, 얼마나 높이 분출시켰는가 하는 등의 요소에 따라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가령, 화산이 폭발할 때 함께 분출되는 SO2는 대기 중에서 작은 황산 물방울로 발전되어, 지상으로 내려오는 태양 광선을 차단, 산란함으로써 지상 기온을 떨어뜨린다. 16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 소빙하기는 그 기간의 많은 화산 활동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으며, 그 이후 20세기의 온난화는 비교적 적은 화산 활동의 결과로 설명하기도 한다.
소빙하기에 대한 또다른 설명으로는 conveyor belt이론이 있는데, 이것은 해수의 순환의 변화가 기후 변화를 가져온다는 설명이다. 수온이 높은 해수는 그 부근 지역의 기온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따라서 따뜻한 해수가 흐르는 지역 부근의 기온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해양에서는 차가운 해수가 가라앉으면서 따뜻한 해수와 찬 해수의 순환이 일어난다. 그러나 빙하기에서 간빙기로 넘어갈 때에는 빙하가 녹으면서 다량의 민물이 바다에 유입되어 해수의 밀도가 낮아져 차가운 해수가 제대로 가라앉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해수의 순환이 약해지게 되고, 따뜻한 해수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이 지역의 기온이 일시적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중세 유럽에서의 소빙기는 이러한 해수의 영향으로 설명되기도 한다.
㉯ 인위적 요인
온실기체의 증가 - 각 온실기체는 그들이 갖는 분자 구조의 특성에 따라 독특한 흡수 파장 영역을 갖는다. 온실기체는 외계로 방출되는 지구 장파 복사를 파장별로 선택 흡수하여 자신의 온도 4제곱에 비례하는 에너지를 외계로 방출하는 동시에 지구 표면으로 되돌려 보낸다. 외계로 방출되는 지구 장파를 가장 많이 흡수하는 기체는 수증기이며, 이 수증기가 온실효과에 기여하는 정도는 전체 대기 온실효과의 약 60∼70%에 달한다.
③ 지구온난화의 영향(피해사례)
- 극심하게 더운 날과 추운 날의 발생 빈도가 증가한다.
- 기온상승으로 물의 순환을 촉진시켜, 어느 특정지역에서 극심한 가뭄과 홍수를 발생시킨다.
- 열대와 적도 지역에서 기온상승에 의한 증발량 증가로 곡물재배를 할 수 없을 정도로 토양 수분 낮아져 곡물 생산량 감소가 예상되는 반면 북유럽, 소련, 북미지역에서는 곡물 생산 증가가 예상된다.
- 유럽서부, 미국 남부, 호주 서부, 남부 아프리카 지역 등에서 곡물 생산이 감소되어 세계 곡물 가격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5.18
  • 저작시기2005.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2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