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중음악, 음반, 음악 산업
2. 대중음악의 역사 : 음악 산업과 음악적 트렌드의 역사
3. 대중음악의 생산과 소비(수용)
2. 대중음악의 역사 : 음악 산업과 음악적 트렌드의 역사
3. 대중음악의 생산과 소비(수용)
본문내용
않고 듣는 음악이라고 정의 했다. 대중음악이 대중문화의 일부로서 표준화된 음악이라는 그의 정의의 자연스러운 산물이다. 대중음악의 영역에서도 다수의 수동적 수용자와 대비되는 능동적 청취자가 탄생했다.
1) 능동적 청취자의 첫 번째 유형 : 유명한 스타들을 좋아하는 다수 집단과는 상이한 취향을 가지고 있다.
2) 능동적 청취자의 두 번째 유형 : 남들이 듣지 않는 음악을 찾아 듣는다.
이러한 집단들을 진지한 감식가들이자 음반 수집가이고 대중음악을 일시적 유행으로 듣는 수동적 수용자와 구분된다.
진지한 감식가와 구별되는 팬덤이라는 현상이 등장한 것도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점이다. 극성스러운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수동적 소비자와 구별되는 존재이다. 이들은 음반 수집가나 진정한 감상자는 아니라는 점에서 능동적 청취자와 구분된다.
청년문화 : 하위문화와 반문화
하위문화와 반문화는 전후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 사회에서 청년 문화의 새로운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하위문화라는 개념은 이들 각각의 하위 집단이 형성하는 특이한 문화를 가리킨다. 1950년대의 테디, 1960년대의 로커와 모드, 1970년대의 스킨헤드와 펑크들을 비롯한 하위문화들은 단지 청소년 비행이 아니라 지배 문화에 대해 상징적 반항을 수행했다는 것이 하위문화 이론의 중심적 테마이다.
한편, 1960년대 중반 미국에서는 히피라고 불리는 일군의 흐름이 전반적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운동으로 발전하는데 이를 반문화라고 부르게 된다.
하위문화와 반문화에 대해서는 몇 가지 비판점도 있다. 역엘리트주의이다. 거리의 소년들의 문화이며, 청년 세대에 속하는 여성과 흑인을 무시하는 경향을 갖는다. 반문화의 경우는 미국주의의 변종이라는 혐의가 추가된다.
한국의 경우 1970~80년대의 언더그라운드 음악은 히피 반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1990년대의 인디 음악은 펑크 하위문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지만, 청년 문화가 전개되는 양상은 미국이나 영국과는 많이 달랐다.
대중음악의 문화 정치
어덜트 컨템퍼러리는 성인의 음악, 아이돌 팝은 소녀의 음악, 헤비메탈은 청년의 음악, 힙합은 흑인의 음악이라는 것이다. 대중음악을 둘러싼 문화 정치가 매우 복잡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악의 의미는 생산자가 만든 음악적 텍스트에 최초로 표현되지만 이것이 투명하게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음악의 음악 산업과 대중 매체 등의 시스템을 통해 매개되고, 소비자가 음악을 경험하는 문학적 컨텍스트 속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현재 한국의 음악 문화의 문제점은 취향의 정치가 자연스럽고 유쾌하게 전개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분할 그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집단으로 고착되어 아무런 생산적 대화나 소통이 없는 것은 문제라고 하겠다.
대중음악의 산업적·경제적 측면을 무시하고 대중음악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것도, 대중음악의 문화적·예술적 측면을 무시하고 산업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도 모두 지양하면서 대중음악의 생산이 산업적이자 문화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1) 능동적 청취자의 첫 번째 유형 : 유명한 스타들을 좋아하는 다수 집단과는 상이한 취향을 가지고 있다.
2) 능동적 청취자의 두 번째 유형 : 남들이 듣지 않는 음악을 찾아 듣는다.
이러한 집단들을 진지한 감식가들이자 음반 수집가이고 대중음악을 일시적 유행으로 듣는 수동적 수용자와 구분된다.
진지한 감식가와 구별되는 팬덤이라는 현상이 등장한 것도 20세기 후반의 새로운 점이다. 극성스러운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수동적 소비자와 구별되는 존재이다. 이들은 음반 수집가나 진정한 감상자는 아니라는 점에서 능동적 청취자와 구분된다.
청년문화 : 하위문화와 반문화
하위문화와 반문화는 전후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 사회에서 청년 문화의 새로운 현상을 탐구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하위문화라는 개념은 이들 각각의 하위 집단이 형성하는 특이한 문화를 가리킨다. 1950년대의 테디, 1960년대의 로커와 모드, 1970년대의 스킨헤드와 펑크들을 비롯한 하위문화들은 단지 청소년 비행이 아니라 지배 문화에 대해 상징적 반항을 수행했다는 것이 하위문화 이론의 중심적 테마이다.
한편, 1960년대 중반 미국에서는 히피라고 불리는 일군의 흐름이 전반적 사회 질서를 위협하는 운동으로 발전하는데 이를 반문화라고 부르게 된다.
하위문화와 반문화에 대해서는 몇 가지 비판점도 있다. 역엘리트주의이다. 거리의 소년들의 문화이며, 청년 세대에 속하는 여성과 흑인을 무시하는 경향을 갖는다. 반문화의 경우는 미국주의의 변종이라는 혐의가 추가된다.
한국의 경우 1970~80년대의 언더그라운드 음악은 히피 반문화의 영향을 받았고, 1990년대의 인디 음악은 펑크 하위문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지만, 청년 문화가 전개되는 양상은 미국이나 영국과는 많이 달랐다.
대중음악의 문화 정치
어덜트 컨템퍼러리는 성인의 음악, 아이돌 팝은 소녀의 음악, 헤비메탈은 청년의 음악, 힙합은 흑인의 음악이라는 것이다. 대중음악을 둘러싼 문화 정치가 매우 복잡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음악의 의미는 생산자가 만든 음악적 텍스트에 최초로 표현되지만 이것이 투명하게 전달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음악의 음악 산업과 대중 매체 등의 시스템을 통해 매개되고, 소비자가 음악을 경험하는 문학적 컨텍스트 속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된다. 현재 한국의 음악 문화의 문제점은 취향의 정치가 자연스럽고 유쾌하게 전개되지 못한다는 점이다. 분할 그자체가 바람직하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집단으로 고착되어 아무런 생산적 대화나 소통이 없는 것은 문제라고 하겠다.
대중음악의 산업적·경제적 측면을 무시하고 대중음악의 예술성을 추구하는 것도, 대중음악의 문화적·예술적 측면을 무시하고 산업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도 모두 지양하면서 대중음악의 생산이 산업적이자 문화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추천자료
새로운 대중음악 CCM
[대중음악]비틀즈 (Beatles)
일본 대중 음악의 모든 것
한국의 락 음악, 대중화의 문제점에 대한 분석
후크 송(Hook Song) 대중음악
대중음악 레포트
음반산업(음악산업)의 역사, 음반산업(음악산업)의 규모, 음반산업(음악산업) 시장구조, 음반...
음악산업(음반산업)의 역사, 음악산업(음반산업)의 동향, 음악산업(음반산업)의 시장구조, 음...
[★★표절 문제 해결방안★★] 대중음악 표절 문제의 심각성과 원인 및 표절 문제 대책방안 발표자료
[문화선교] 『대중음악』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12~14주차 (현대 미술 트렌드 ...
대중음악의 탄생의 정의
대중음악인의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