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타 소나타 형식 분석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나타 소나타 형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SONATA의 기원과 음악에서 실제 사용의 예.................2

II. SONATA 형식과 음악에서의 응용과 실제 사용의 예...............3
1. 소나타형식의 구조.....................................3
2. 소나타 형식의 변형.......................................5
1) 론도 소나타 형식........................................5
2) 소나티네 형식..........................................6

III. 소나타와 소나타 형식의 차이점..........................6

본문내용

능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론도 소나타 형식과 소나타 형식의 뚜렷한 차이점중의 하나는 론도 소나타 형식의 제시부(A-B-A')중 A'부분이 소나타 형식처럼 딸림조나 병행조가 아니라 으뜸조로 분명히 제시되는 것이다.
론도 소나타 형식은 소나타에서 마지막 악장에 주로 쓰여졌다.
사용 예 - 베토벤 <바이올린 소나타, op.120>, <피아노 소나타, op.27>, <바이올린 협주곡, op.61>, <교향곡 제8번, op.93> 의 마지막 악장
2) 소나티네 형식
소나티네 형식은 소나타 형식의 축소 형식으로, 그 규모가 소나타 형식보다는 짧은 것이다. 특히 전개부가 짧으며, 심지어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
18세기 후반 클레멘티(Muzio Clementi)나 쿠라우(Friedrich Kuhlau)와 같은 작곡가들의 작품에서 많이 볼 수 있다.
III. 소나타와 소나타 형식의 차이점
본래 “울리다”라는 뜻을 가진 소나타라는 말은 중세기에 성악곡을 칸타타라고 하는데 대하여 기악곡이라는 뜻으로 쓰여졌다. 소나타 형식과 소나타는 구분되는 용어이다.
즉 소나타 형식은 악곡이 어떻게 전개되어 나가는가 하는 형식에 관한 것이고, 소나타는 몇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 기악곡의 한 형태이다. 그러나 대부분 소나타의 제 1 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되어 있고, 대개는 기본적인 4 또는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형태가 독주 악기를 위한 것일 경우는 그대로 독주소나타, 몇 개의 악기를 위한 경우는 실내악, 하나의 독주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것일 경우는 협주곡, 관현악을 위한 것일 경우는 교향곡이라 각각 불리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5.19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4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