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킨스쿠버 조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한국,세계 스킨스쿠버 역사조사
2. 국내 활동 중인 다이빙 교육 단체 및 단체 연혁 알아오기
3. 스킨스쿠버 장비의 종류 및 역할
4. 잠수표란 무었인가?
5. 스킨스쿠버 비젼에 대해 논해 보시오

본문내용

5 분간의 안전을 위한 정지를 할 것.
7.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잠수를 진행할 것.
8. 재 잠수를 할 경우는 30 미터를 초과해서는 안됨.
4. 잠수표란 무었인가?
공기 중에 포함된 질소 성분은 인체가 수중에서 경험하게 되는 고압 환경에서 빠른 속도로 체내 조직에 용해된다. 이렇게 용해된 질소가 적절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에서 갑자기 주변 압력이 낮아질 때 감압병이 발생할 수 있다. 질소 마취와 감압병을 일으키는 질소 기체는 다이빙 활동의 한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질소 기체가 가져오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다이빙을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가이드 라인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다이브 테이블, 즉 잠수표이다. 이 표는 다이버의 체내에 축적되는 질소의 양에 대한 일종의 수치화를 통하여 위험의 정도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며, 다이버는 이 자료를 통하여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다이빙 활동이 감압병의 위험에 노출되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다이빙 계획에 있어서도 이러한 위험 정도를 최소로 유지하면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준을 잠수표를 통해서 얻게 되는 것이다.
잠수표의 기본적인 원리는 수심이나 체류 시간에 따라 인체에 녹아 들어가는 질소의 양을 산술적으로 계산하고, 이렇게 녹아 들어간 질소의 양이 인체에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제한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다이버가 감압의 문제 없이 다이빙을 할 수 있는 한계, 그리고 그 선을 넘었을 때의 감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필수적인 용어]
감압(Decompression) - 다이빙 진행에 있어서 일단 신체 조직에 용해된 질소가 배출되도록 압력을 낮추는 과정. 다이빙을 마친 후 발생한 질소 기포를 배출시키기 위해 챔버에 들어가거나 다시 다이빙을 하는 것은 재압(Recompression)이라 말한다.
안전 감압(Safety Stop) - 매 다이빙의 상승 과정에서 질소의 배출을 돕기 위해 일정 수심에서 일정한 시간 동안 머무르는 것. 통상 5m에서 3분이 권고되며, 무감압한계를 넘지 않은 다이빙에서도 실시한다.
감압 정지(Decompression Stop) - 무감압한계를 넘어선 다이빙 활동에서 체내에 축적된 질소를 배출하기 위해 일정 수심에서 머무르는 것. 이런 과정이 포함된 다이빙을 감압 다이빙이라 하며, 스포츠 다이빙에서는 피해야 할 다이빙 방식. 잔류 질소 시간(Residual Nitrogen Time) - 다이빙을 한 후에 체내에 정상 상태보다 높게 축적된 질소를 잔류 질소라 말하며, 이런 잔류 질소의 양을 시간의 형태로 표현한 것이 잔류 질소 시간이다.
재잠수(Repetitive Dive) - 전회 다이빙 후 12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시 진행하는 잠수. 최근에는 18시간 이내를 재잠수로 보는 경우도 있다.
무감압 한계(No Decompression Limit) - 감압 정지가 필요없이 수면으로 상승할 수 있는 최대 허용 다이빙 시간. 각 수심별 허용 시간(분)으로 되어 있다. 스포츠 다이빙은 이 무감압 한계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해야 한다.
반복 그룹(Repetitive Group) - 다이빙을 마친 후 체내 잔류 질소의 정도를 알파벳으로 표시한 것. 반복 그룹이 A에 가까울수록 잔류 질소의 정도가 낮은 것이며 Z쪽으로 갈수록 잔류 질소가 많음을 나타낸다.
잠수 시간(Bottom Time) - 수면에서 하강을 시작한 순간부터 바닥에서 상승을 하는 때까지의 경과 시간을 분 단위로 나타낸 것. 그러나, 다이브 컴퓨터에 나타나는 잠수 시간의 개념은 이것과 다르다.
수면 휴식(Surface Interval) - 잠수 후 수면에 도착한 때부터 다시 다이빙을 위해 하강을 시작하는 순간까지의 경과 시간(분).
최대 수심(Maximum Depth) - 한번 다이빙에서 가장 깊이 도달한 수심. 다이브 테이블에 적용시키는 수심은 이 최대 수심이다.
상승 속도(Ascent Rate) - 다이버가 최대 수심을 출발하여 수면으로 상승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스쿠버 다이빙에서의 권장되는 상승 속도는 분당 9m이다. 이 권고 기준은 교육 단체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5. 스킨스쿠버 비젼에 대해 논해 보시오
우선 이번과제로 인해 스킨스쿠버를 자세히 조사하면서 너무너무 기대되고 설레었다. 이 엄청나게 멋있는 스포츠를 내가 이제 곧 하는 것인가? 라는 생각과 함께 과제하는 내내 내 얼굴엔 웃음꽃이 피었다. 우선 내가 스킨스쿠버에 비젼에 대해 논한다는 자체가 우습다고 할 수도 있겠다. 그래도 스킨스쿠버의 비젼에 대한 내 생각을 논해보겠다. 우리나라는 21세기 정보화시대를 맞아 여러 측면의 발전을 꾸준히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 GDP는 매년 상승하는 추세이다. 게다가 생산성의 효율, 자본의 순환,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주 5일제 도 아직 시험단계에 있어 격주로 실시하고 있지만 곧 완벽한 주 5일제로 바뀔 것이다. 경제적으로 풍요로워 지고 여가시간이 많아진다면 국민들은 무엇을 할까? 이 말은 즉 국민들이 1950~60년대와 기본적인 것들 먹고 사는 걱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삶 의질을 향상시키는 것에 포커스를 둘 것이란 것이다. 따라서 여가시간에 삶 의질을 높일 수 있는 레져스포츠는 엄청난 인기를 끌 것이다. 바로 그 중 레져스포츠의 꽃인 스킨스쿠버는 사람들을 매혹시키기에 아주 적합하다는 것이다. 현실과는 다른 또 다른 세상 바다 속을 탐험하면서 일상의 스트레스도 풀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에도 너무 멋있고 이상적이지 않을 수 없다. 스킨스쿠버는 레저스포츠 측면에서 말고도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너무나 매력적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스킨스쿠버를 하는 곳은 바다이다. 바다는 지구 표면의 70.8%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 바다의 70.8% 중 인간이 직접 가 본 곳은 절반도 안 된다고 한다. 이점을 돌려 생각해 보면 바다는 아직 개척되지 않은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가진 제 2의 대륙인 것이다. 따라서 스쿠버들에 의한 제2의 대륙 즉 바다의 발전이 너무나도 기대된다. 혹시 아는가? 몇 년 아니 몇 십년 후에는 영화에서 보듯이 해저도시에 살아야할지? 정말 스킨스쿠버의 비젼은 아주 밝은 것 같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0.05.20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26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