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캐릭터의 기능과 효용성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Sports Character의 기능과 효율성
1. 문화산업에 관한 일반적 고찰
1) 현대사회와 문화산업
2) 현대사회와 문화상품의 이해
2. 캐릭터의 상품화 배경 및 효용성
1) 캐릭터의 상품화 배경
2) 캐릭터 상품의 특성
3) 스포츠 캐릭터의 효용성
3. 스포츠 캐릭터의 기능

Ⅲ. 스포츠 캐릭터현황
1. 시각매체와 스포츠 캐릭터
2. 스포츠 팬시사업
3. 스포츠 테마파크 산업

Ⅳ. 분석결과에 따른 문제점 및 향후방향
1) 스포츠 디자인 분야
2) 제도 및 사회적 분야

Ⅴ. 결 론

본문내용

해 전문인을 양성한다.
3 저변인가 잠재력 개발
권위 있는 공모전을 개최하여 인재를 발굴하고 공모작품에 대한 후속력 강화로 캐릭터개발의 질적 향상을 높여야 한다.
4 마케팅의 차별화 전략
유통전문업체 육성하고 이벤트 등을 통하여 단기간의 봄을 조성한다. 국내·외의 시장상황 분석으로 소비자의 니즈(needs)를 분석하여 전략적 포지셔닝을 구축하고 국제화 전략에 대응할 상품성 있는 캐릭터를 개발해야 한다.
Ⅴ. 결 론
2000년대의 문화는 영상정보산업, 소프트웨어산업 등 많은 관련 산업에 파급하여 수많은 창의성을 본질로 하는 문화의 생산성이 크게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터넷, 정보화 등의 멀티미디어 문화의 시대로 문자, 음향, 영상이 결합한 멀티미디어형 문화산업이 등장하고, 영화와 방송, 신문, 통신 등의 매체들의 경계가 사라지고 융합하게 되면서 문화산업의 각 분야가 상호 밀접한 관계가 된다. 따라서 다양한 문화 산업분야가 상호 촉진을 기하면서 성장해가야 하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
특히 스포츠 캐릭터산업은 각 나라의 고유의 문화와 정서가 담겨지고 문화를 전파하는 문화사업으로서 의미가 있는 미래산업이며 고부가가치산업이다.
이러한 스포츠 캐릭터의 거부감 없는 친화력은 상품화가 되어 일상에 구체적인 모습으로 대중에게 모습을 드러내는, 그 같은 대중성 때문에 생명력을 갖게 된다. 다양한 매체들을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스포츠 캐릭터를 개발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면 이는 스포츠만이 지니는 다양성과 매체가 만나 상품화가치를 가지게 되고 단순한 경제적 효과만이 아니라 문화적 자산까지 지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문화산업의 일련의 변화를 감지하고 동시에 각 분야간의 시너지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 동안 저급한 대중문화로 치부되는 편견 속에 낙후된 국내 스포츠 캐릭터산업은 구조적 조정과 만화의 시각적인 재조정이 필요하며 독창적인 스포츠 캐릭터의 개발은 더욱 시급한 문제이다. 더욱이 국내에서 자체 개발한 캐릭터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치밀하게 계획된 프로그램이 뒷받침되어 관련연계산업으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많은 미래학자들이 예고하듯이 2000년대는 "문화의 세기"가 될 것이며 미래의 도약을 위한 설계와 준비작업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상황에서 스포츠 캐릭터산업은 문화산업의 주역으로 발전시켜야할 산업이며, 캐릭터산업은 문화산업으로서 대중에게 사랑과 꿈을 심어주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스포츠 캐릭터는 시각적 이미지로서 그 나라의 문화를 투영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를 창조해내는 분야에서 특히 캐릭터산업과 관련된 시각 디자이너 같은 전문인력의 다각도의 순발력 있는 역할이 요구된다.
끝으로 스포츠 캐릭터가 가지는 무한한 가능성을 인식하고 창조적이고 문화적 마인드를 가진 디자이너들의 관심과 연구를 기대해 보면서 본 논문을 마친다. Y
참고문헌
김광일(1985). 캐릭터와 기업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미현(1994). Brand Identity 전개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미(1993). 팬시상품에 미치는 캐릭터의 표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상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성호(1997). 한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인철(1993). 기업이미지관리에 있어서 캐릭터의 활용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조형논총 12집.
김충원(1996). 캐릭터 중심의 아동 출판물 제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맥루한, 박유봉 역(1976). 미디어의 이해, 세계의 대사상.
박성호(1997). 뉴미디어 광고, 책과 길.
박완선(1990).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TV광고에 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정배(1995). 세계를 감동시킨 애니메이션 이야기, 초록배.
박태견(1997). 저패니메이션이 세상을 지배하는 이유, 길벗.
산업디자인 연구(1995). 한양대학교 산업미술연구소, 제4호.
서울국제만화페스티벌(1995). 서울문화사.
스튜어트 유웬, 백지숙 역(1996). 이미지는 모든 것을 삼킨다, 시각과 언어.
월간 디자인, 디자인하우스, 1996. 4.
월간 디자인, 디자인하우스, 1997. 2.
월간 코스마, (주)지도코스마디자인연구소, 1993. 7.
이영철 역/박한울 외 옮김(1996). 2세기 문화보기, 시각과 언어.
이원복(1996). 세계의 만화 만화의 세계, 미진사.
이정화·김준기(1996). 테마의 시대, 세진사.
이현정(1994). 캐릭터를 이용한 식품 포장디자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혜미(1988). 팬시상품에 있어서 캐릭터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청산(1991). 만화 캐릭터의 시각적 이미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준영(1994). 만화 보기와 만화 읽기, 한나래.
조성근(1997). 산업디자인론, 조형교육.
최영진(1996). 캐릭터의 기호적 분석과 그 표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희정(1997). 국내 템파트의 캐릭터 개발 및 활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한국문예진흥원(1990). 문화산업.
한국미술연구소 펴냄(1997). 영상디자인, 시공사.
한창완(1995). 한국만화산업연구, 글논그림밭.
환경 비즈니스, 1996. 9.
황선길(1996). 애니메이션의 이해, 디자인하우스.
Han Don (1996). Disney's Animation Magic. Disney Press. NY.
Elizabeth Bell, lynda Hass, and laura Sells. Form Mouse To Mermaid, 1995 by Indiana University Press.
Young Kyun Baek(1988). Using Color, Graphics, and Animation in a Computer Assisted Learning Tutorial Lesson, PH.D. Dissertation, Georgia State University Atlanta, Georgia.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0.05.26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48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