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뿌리
1.. 머리말
2.. 미국 흑인노예의 생활
3.. 『뿌리』
4.. 맺음말
■ 참고문헌
1.. 머리말
2.. 미국 흑인노예의 생활
3.. 『뿌리』
4..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 그 생활에 적응해 나가려고 하는 과정에서 생각해 낸 그의 아버지인 오모로의 말이다. 이것은 폐쇄된 방식으로 철저히 고립되어 지내기 보다는 현실에 적응함으로써 무언가를 얻으려고 마음을 바꾼 그의 인식의 변화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구절이다. 그는 어쩌면 이 흑인노예로서의 현실을 더 많이 알려고 함으로써 그로부터 그의 자존심을 지킬 수 있었고 그 안에서 그와 그의 자손들이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깨달을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현실을 알게 되면서 그는 다른 흑인노예들처럼 되지 않으리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그는 철저히 노예로서 살아가면서도 그의 이름과 혈통을 지킬 수 있었던 것이다. 그것으로 인하여 그는 그의 후손들 안에서 살아 숨쉬는 그들의 뿌리가 될 수 있었다.
■ 참고문헌 가이 그릭 주니어 외, 채영창 역,『교양 미국사』, 유림 1992.
아리스테어 쿠크, 장백일 역,『아메리카 上』, 신녀원, 1980.
알렉스 헤일리, 안정효 역,『뿌리』, 문학사상사, 1996.(초판인쇄 1977)
하워드 진, 조선혜 역,『미국민중저항사 1』, 일월서각, 1982.
■ 참고 사이트 http://my.netian.com/~babyblue/main.html
■ 참고문헌 가이 그릭 주니어 외, 채영창 역,『교양 미국사』, 유림 1992.
아리스테어 쿠크, 장백일 역,『아메리카 上』, 신녀원, 1980.
알렉스 헤일리, 안정효 역,『뿌리』, 문학사상사, 1996.(초판인쇄 1977)
하워드 진, 조선혜 역,『미국민중저항사 1』, 일월서각, 1982.
■ 참고 사이트 http://my.netian.com/~babyblue/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