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사태]천안함 사태 완벽정리 및 합조단의 사건발표를 바라보는 신뢰와 부정입장 정리, 나의 견해 서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안함 사태]천안함 사태 완벽정리 및 합조단의 사건발표를 바라보는 신뢰와 부정입장 정리, 나의 견해 서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 천안함 사태로 대한민국이 분열되다.
2. 천안함 사태 주요일지
3. 합동조사단의 결과발표 내용
4. 합동조사단 발표의 신뢰입장
5. 합동조사단 발표의 반박입장
6. 나의 견해 : 천안함 사태가 남긴 것과 잃은 것

본문내용

속 거론되어 왔다. 최종 발표전에도 각종 추측들과 유언비어들이 쏟아졌다. 어쨌거나 천안함 침몰원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발표가 났고 민간전문가나 국회차원에서 진상규명이 제기되어 전면재조사에 들어가지 않는 이상 민-군 합동조사단의 결과가 가장 정확한 결론이라고 판명된 것이다.
- 천안함 침몰로 우리는 많은 것을 잃었다. 첫째로 국가 안보에 치명적인 구멍이 뚫렸다. 그로인해 군에 대한 불신과 안보에 관한 불안감이 증폭되어 국민들의 불신을 키웠다. 둘째는 천안함 침몰로 목숨을 잃은 장병들이다. 소중한 46인의 목숨은 무엇으로도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천안함 사건을 지켜보면서 국가 안보 위기 대응 매뉴얼이 정말 존재하는가 라는 의문이 들었다. 합조단의 발표처럼 1차 원인이 북한의 어뢰였다면 2차 원인은 군당국의 미숙한 대처능력이란 생각이 든다. 그리고 국민과 호흡하지 못한 ‘정보의 공유’가 세 번째로 잃은 것이다. 각종 억측과 추측이 난무할 때 정상적으로 대응하고 감추려는 듯한 행동을 보이지 않았어야 했다. 정부가 판단했을 때 사건 원인의 방향이 어떻게 잡혔는지 그리고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도록 설득했어야했다. 그렇게 새나가는 정보의 위험보다 국민분열로 일어나는 국력손실이 더 크다는 것을 촛불시위 같은 것으로 이미 경험해놓고 또 이런 일을 야기시켰다는 것은 분명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미 언론을 통해 나온 이야기지만 국민들이 사건진상에 대해 알기 전에 정부와 일부 언론은 북한 어뢰 공격이라는 것을 단정 지었기 때문이다. 그것이 어느정도 정립된 의견이었다면 국민들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알려서 힘을 하나로 모았어야 했다.
- 원인 규명도 문제이지만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상처받았다. 이미 발표된 결과처럼 직접적인 침몬 사유가 ‘북한 어뢰 공격’이면 정부의 책임도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명박 정부는 국가안보시스템을 강화시키겠다고 약속한 마당에 이를 부정하면 돌이킬 수없는 분열을 일으킬 것이다. 추측이 남발하게 된 배경의 진원지도 정부의 미숙한 사건대처능력과 검증되지 않은 수만가지 추측을 내세우고 그를 사실인양 앞 다투어 보도했던 언론의 책임도 크다.
- 북한이 어뢰 공격을 감행했다면 그에 대한 댓가를 치르고 책임을 져야한다. 왜 그들이 어뢰공격을 감행하게 되었는지 정확한 경위를 파악해서 그에 합당한 책임을 묻고 남북관계 정상화에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이제 천안함 사태에 대해 주요 의문점들은 많이 해소가 되었다. 그래도 아직 발표 결과가 미흡하다는 지적에 대해 분명하게 답해주어야 한다. 아울러 북한에 대한 대응도 국제사회의 이해와 도움을 요청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 스스로가 긴 안목에서 이 문제를 바라보고 풀어내야 한다. 이명박 정부들어 대북관계는 완전히 냉각되었고 2010년 5월 26일, 북한은 모든 남한과의 연락망을 끊겠다고 일방통보한 후 실행에 옮기고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더는 북을 자극하지 않고 군사적 충돌 상황은 피해가면서 이성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정부는 노력해야 한다. 이것이 국제사회 공조보다 먼저이며 남북한의 문제는 한민족은 우리 스스로가 풀어야할 과제이다.
< 출 처 >
* 한국어 위키백과 - 天安艦沈沒事件 : 2010년 5월 26일자 업데이트
* 국방일보
* KPI칼럼 : 김흥규 KPI 연구위원, 외교안보안구원 교수
* 천안함 침몰의 원인과 대응과제 CFE Viewpoint 재성호 : 일부 발췌
* http://www.navy.mil.kr/memorial772/index.html 천안함 사건 홈페이지
* 군사칼럼 : 한국 군사학회(군사논단)
* 군사정책 연구소 http://www.defencepolicy.com/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6.01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1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