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12장 1.근대도시로의 전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사12장 1.근대도시로의 전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건축사12장 1.근대도시로의 전환

본문내용

1.근대도시로의 전환
1910년 8월 한일병합이 선포되고 한국은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다. 대한제국의 순종 황제가 퇴위하면서 왕조시대는 종말을 고하였고 한반도의 통치권은 조선총독에게 넘어갔다. 조서총독은 무단통치라는 강압적인 방식으로 한반도의 제반 사회 경제질서를 일본의 식민지에 맞도록 재편하였다. 그 과정의 일환으로 도시가 크게 개조되고 도시 내에는 전에 볼 수 없었던 식민통치 시설이 속속 건립되어 도시 경관을 바꾸어 놓았다.
일본에 의한 내정 간섭과 도시의 개조는 그 보다 몇 년 앞서 시행되었다. 1905년 소위 을사늑약이 맺어지고 나서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상실하였다. 이듬해 1906년에 일본은 서울에 통감부를 설치하였다. 통감부는 외교뿐 아니라 내정까지 관장하였고 대한제국의 실질적인 통치권은 일본인 통감에게 넘어갔다. 대한제국 황제의 이름으로 내려지는 명령도 실제는 통감부가 일을 결정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정부의 모든 중요 기관에는 일본인 관리가 들어앉아 그들의 이익을 위한 새로운 조처들이 속속 수행되었다.
통감부가 들어서면서 나타난 두드러진 변화 중 하나는 대도시 외곽을 둘러싸고 있던 성벽의 철거였다. 서울은 물론 대구 전주 진주 등 전국 주요 대도시의 성벽이 삽시간에 사라졌다. 성벽의 철거는 도시의 틀을 결정적으로 바꾸어 놓는 큰 변화였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6.02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616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