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년위기상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중년기란?
2. 중년기 위기상황
3. 중년기 위기증상
4. 중년기의 위기와 상담
III. 결론

본문내용

구충족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두 번째로 중년기는 내적으로 영적인 문이 열려있는 상태여서 예술 활동이나 감상을 하는 기회가 주어지면 좋다. 좋은 그림이나 좋은 음악은 영혼의 언어이기 때문에 중년기의 사람에게 특별한 생명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다. 아름다운 찬양을 부를 때나 감상을 할 때 마음속에 깊은 감동이 느껴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셋째는 자연과의 만남이다. 자연은 인간의 영을 살찌우는 모태와도 같다. 자연 속에서 인간은 영적으로 순수해진다. 역적으로 성숙한 사람만이 참 역사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고 할 때 자연과의 만남은 큰 의미가 있다. 자연과 친해질 수 있는 기회를 자주 갖으면서 사랑의 대화를 나누다 보면 중년의 마음에 얼마나 놀라운 생명력이 생기는지 경험하게 된다.
② 노동의 의미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실 때 노동을 하면서 살아가도록 만드셨기 때문에 인간의 육체와 정신과 영은 노동을 해야 성숙해질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정신적 노동이든 육체적 노동이든 노동을 할 수 없을 때 인간은 퇴화되는 것이다. 즐거운 노동은 우리에게 신비한 생명력을 가져다 주기 때문에 중년이나 노년에 있어서도 이 생명력은 건강의 기본이다.
③ 고통의 의미 (죽음의 훈련)
중년기는 지나온 삶에 비교해 볼때 훨씬 짧은 미래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에 언제 자기에게 찾아올지 모르는 죽음을 준비해야 한다. 그러나 인간은 죽음을 두려워해서 죽음을 의식적으로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아무리 발버둥 쳐도 인간이 죽음이라는 불안의 존재를 밀쳐내 버릴 수는 없다. 그러므로 중년은 끊임없이 자신을 따라붙는 죽음을 만나는 훈련을 해야 한다. 나는 어쩔 수 없이 죽을 수밖에 없는 존재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죽음과 친구처럼 친해질 수 있는 훈련을 해야한다.
자신의 묘비쓰기, 관속의 명상등과 같은 좋은 프로그램이 있다. 인간은 자신의 죽음을 만날 수 없을 때 비굴해 진다. 반면 자신의 죽음을 수용할 수 있을 때 나는 이제 죽어도 좋다라는 고백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고백할 수 있는 사람은 영적으로 육신적으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사람이다.
IV. 결 론
지금까지 중년기의 위기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상담에 대해 살펴보면서 중년기 사람들은 쉴 새 없이 달려온 나머지 자신만의 문화를 찾지 못해 결국 공허감을 느끼게 되는데, ‘인생의 반이 지났는데, 그동안 나는 무엇을 했나? 무엇 때문에 바쁘게 달려왔는가?’라는 공허감이 중년기의 사람들을 결국 위기로 몰아가는 것을 느꼈다.
중년기의 위기는 강 하게든, 약 하게든, 빠르든 늦든 누구에게나 찾아올 수 있다. 따라서 위기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무엇인가가 요청된다. 중년기 위기는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부부간의 대화와 이해로 갈등과 고통을 나누며, 위기에 건설적으로 대처하면서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일에 자신을 투자할 때, 오히려 희망적이고 전인적인 성장의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바로 여기서 교회의 역할이 필요하다. 영적으로 위기에 처해있는 중년기의 사람들이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6.02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5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