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분류기 (shunt)
(2) 배율기 (multiplier)
(2) 배율기 (multiplier)
본문내용
결하는 작은 저항 R
병렬연결일 때,
전류계 양단의 전압과 분류기 양단의 전압이 같으므로
(2) 배율기 (multiplier)
주어진 전압계는 최대 측정 전압 Vm과 내부저항 rm을 갖는다. 전압계는 실제로는 전류계인데, 최대 측정 전류 Im과 내부저항 rm을 갖는 전류계를 전압계로 사용하면 Vm = Im x rm이 된다. 이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해 전압계와 직렬로 연결해 주는 저항을 배율기라 한다.
그림에서처럼 측정하려는 전압 Vo = nVm이 전압계의 최대 측정 전압보다 크면, 그 중 Vm은 전압계에 걸리고 나머지 (n-1)Vm은 배율저항에 걸리도록 하면 된다. 배율저항과 전압계에 공통으로 흐르는 전류는
이므로,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n배 넓히기 위해 연결해야 하는 배율기의 값은
가 된다.
그림. 배율기
여러 가지 배율 저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회로를 꾸미면, 그림과 같이 하나의 검류계로 여러 측정 범위를 갖는 전압계를 만들 수 있다. 한 예로서 최대 측정 범위가 50 μA이고 내부저항은 2000 Ω인 검류계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검류계만 사용했을 때 최대 측정 전압은 Vm = 50 x 2000 x 10-6 = 0.1 V이다. 이 검류계로 10 V = 100 x 0.1 V를 측정하려면, 식 (4)에 따라 (100-1) x 2000 = 198,000 Ω의 저항을 배율기로 연결해 주면 된다. 그림에서 이 198 kΩ은 150 kΩ과 이전 단자의 48 kΩ의 직렬연결로 만들어져 있다.
그림. 여러 측정 범위를 갖는 전압계
전압계의 측정 범위에서 배만큼 측정하기 위해서 의 값은...
병렬연결일 때,
전류계 양단의 전압과 분류기 양단의 전압이 같으므로
(2) 배율기 (multiplier)
주어진 전압계는 최대 측정 전압 Vm과 내부저항 rm을 갖는다. 전압계는 실제로는 전류계인데, 최대 측정 전류 Im과 내부저항 rm을 갖는 전류계를 전압계로 사용하면 Vm = Im x rm이 된다. 이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넓히기 위해 전압계와 직렬로 연결해 주는 저항을 배율기라 한다.
그림에서처럼 측정하려는 전압 Vo = nVm이 전압계의 최대 측정 전압보다 크면, 그 중 Vm은 전압계에 걸리고 나머지 (n-1)Vm은 배율저항에 걸리도록 하면 된다. 배율저항과 전압계에 공통으로 흐르는 전류는
이므로, 전압계의 측정범위를 n배 넓히기 위해 연결해야 하는 배율기의 값은
가 된다.
그림. 배율기
여러 가지 배율 저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회로를 꾸미면, 그림과 같이 하나의 검류계로 여러 측정 범위를 갖는 전압계를 만들 수 있다. 한 예로서 최대 측정 범위가 50 μA이고 내부저항은 2000 Ω인 검류계를 사용하는 경우를 생각해 보자. 이 검류계만 사용했을 때 최대 측정 전압은 Vm = 50 x 2000 x 10-6 = 0.1 V이다. 이 검류계로 10 V = 100 x 0.1 V를 측정하려면, 식 (4)에 따라 (100-1) x 2000 = 198,000 Ω의 저항을 배율기로 연결해 주면 된다. 그림에서 이 198 kΩ은 150 kΩ과 이전 단자의 48 kΩ의 직렬연결로 만들어져 있다.
그림. 여러 측정 범위를 갖는 전압계
전압계의 측정 범위에서 배만큼 측정하기 위해서 의 값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