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기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옹기의 역사

2) 옹기의 종류

3) 지역에 따른 옹기의 특징

4) 옹기의 제작 방법

본문내용

분이 더 불룩해 모양이 매우 당당해 보인다. 어깨가 각 진 것과 전체적으로 둥근 형, 두 가지가 있다.
전라도
둥그스름하고 밑바닥이 주둥이 너비보다 좁고 배 부분은 항아리 높이보다 더 넓다. 그래서 전라도 지역의 항아리는 굉장히 뚱뚱해 보인다. 옹기 뚜껑은 속이 깊고 양쪽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데 입지름이 넓고 속이 깊은 소래기라고 불리는 자배기 형태의 그릇을 뒤집어 항아리 뚜껑으로 많이 사용한다.
제주도
주로 전라도 해안 지방에서 공급되는 옹기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10년전만에도 옹기를 생산할 수 있는 이설을 갖추어 있지 못하여 주로 전라도에서 공급되어왔다고 한다. 그러므로 제주도는 기후와 환경에 맞는 기형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호남 해안 지방에 맞는 모양새를 갖고 있는 것이다. 김장과 같은 저장 식품이 필요없는 제주도에서는 육지에서 필요로 하는 규모의 큰 독과 같은 옹기는 필요하지 않았던 것 같다.
4) 옹기의 제작 방법
옹기를 만드는 과정은, 먼저 흙을 반죽해서 응달에 약간 말린 뒤 떡매로 쳐서 벽돌 모양으로 만들고, 바닥에 쳐서 판자 모양의 타래미로 만든다. 이를 ‘판장질’이라고 한다. 그 다음 타래미를 물레 위에 올려 놓고 방망이로 타림질(다듬는 일)을 한다. 옹기의 모양은 물레의 속도, 손놀림에 따라 결정된다. 이렇게 만드는 옹기가 플라스틱 ·스테인리스 그릇의 등장으로 1960년대 말부터 점점 쇠퇴하여 질그릇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문화부에서는 옹기보호책으로 1989년 5월 옹기인간문화재를 지정하였고, 1990년 옹기장(옹기 만드는 기술자)을 중요무형문화재 제96호로 지정하였다.

키워드

옹기,   암각화,   디자인,   미술,   미술,   미술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6.03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