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ABP(Intra Aortic ballon Pump)
1. 기본원리
1) IABP catheter의 특성 및 위치
2) Principles of counterpulsatio
3) IABP 시기와 EKG,동맥압 파형에 미치는 영향
4) Element of timing of IABP
2. Indication & Contraindication
3. Complication
4. Managemant
1) Anticoagulation
2) Sedation & Pain
3) Arrhythmias
4) Oxygenation & metabolic problems
5) Cardiovascular drug managemant
(2) Vasoactive drug therapy
① Inotropics
ⓐ Dobutamine
ⓑ Dopamine
ⓒ Epi, Norepinephrine & Isoproterenol
② Phosphodiesterase inhibators
③ Vasodilators
④ Vasoconstrictors
5. Weaning
1) 기준
2) 방법
① Frequency ratio weaning
② Volume weaning
6. IABP catheter remove
1) 과정
2) 제거 후 간호
1. 기본원리
1) IABP catheter의 특성 및 위치
2) Principles of counterpulsatio
3) IABP 시기와 EKG,동맥압 파형에 미치는 영향
4) Element of timing of IABP
2. Indication & Contraindication
3. Complication
4. Managemant
1) Anticoagulation
2) Sedation & Pain
3) Arrhythmias
4) Oxygenation & metabolic problems
5) Cardiovascular drug managemant
(2) Vasoactive drug therapy
① Inotropics
ⓐ Dobutamine
ⓑ Dopamine
ⓒ Epi, Norepinephrine & Isoproterenol
② Phosphodiesterase inhibators
③ Vasodilators
④ Vasoconstrictors
5. Weaning
1) 기준
2) 방법
① Frequency ratio weaning
② Volume weaning
6. IABP catheter remove
1) 과정
2) 제거 후 간호
본문내용
관계 약물을 병용한다.
① Inotropics
ⓐ Dobutamine
Beta receptor agonist로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혈관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높은 용량에서만 심박동수가 증가한다. IABP의 효과를 증가시키 기 위하여 많이 사용하나 장기 사용시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Dopamine
용량에 따라 효과가 다르지만 높은 용량에서는 심박동수룰 증가시키고 심근의 산소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IABP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 Epi, Norepinephrine & Isoproterenol
심근의 산소소모량을 증가시켜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므로 사용시 신중히 사용 해야한다.
② Phosphodiesterase inhibators
Beta receptor agonist에 비해 혈관확장효과와 심근수축력이 많이 증가한다. 이 약물은 심근의 산소활용도를 증가키켜서 심근 수축력을 향상시킨다. 이 약물은 심 박동수와 심근 산소소모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혈역학 상태를 향상시키므로 IABP 적용시 가장 높은 효과를 낼 수 있으나 대게 Dobutamine이나 Dopamine이 효과가 없을때 사용한다.
③ Vasodilators
SVR과 LVEDP가 증가되어 있으면서 수축기 동맥압이 유지 될 때 사용한다. 이때 nitroprusside는 동맥과 정맥을 모두 확장시키는 약물로 혈관저항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을 증가키킨다. Nytroglycerin은 관상동맥을 적절히 확장시키면서 정맥을 확장시키므로 심장의 전부하를 감소시킨다. 대게 혈관확장제는 혈압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inotropics와 함께 사용한다.
④ Vasoconstrictors
혈압이 Inotropics, Vasodilators, IABP의 사용으로도 적절히 유지되지 않을때 혈 관수축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심근 산소소모량을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대동 맥 직경도 감소하므로 IABP에 의해 대동맥의 90%이상 막힐 수 있으며 이는 대동 맥의 손상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적절히 관찰해야 한다.
5. Weaning
1) 기준
① Systoric arterial pressure >90mmHg
② Mean arterial pressure > 70mmHg
③ HR < baseline, PCWP < 18mmHg
④ No arrhythmias
⑤ CI > 2L/min/m²
⑥ SVR <2100
⑦ Urine outout >30cc/hr이상 유지될 때
2) 방법
① Frequency ratio weaning
보조 심박수에 대한 심박수를 1:1, 1:2, 1:3, 1:4로 낮추는 방법
② Volume weaning
풍선의 박출량을 20%씩 줄인다. 30분관찰 후에도 안정되면 volume을 더 줄이고 환 자상태를 관찰한다.
6. IABP catheter remove
제거 4시간 전에 Heparine 중단.
1) 과정
① 환자에게 제거 절차와 예측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② 연결된 tie와 sutsre를 제거한다.
③ Console에서 balloon을 제거한다.
④ Shesth위, 아래 부분의 대퇴동맥에 강한 압력을 준다.
⑤ Balloon과 sheath를 동시에 제거한다.
⑥ 출혈이 멎을 때가지 압박을 가한 후 압박 드레싱을 한다. (30분간)
⑦ 모래주머니를 6시간 정도대어주고 24시간 정도 침상안정을 한다.
2) 제거 후 간호
① Catheter를 삽입했던 다리의 순환상태를 계속 사정한다. 말초맥박과 순환상태를 제거 후 24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사정한다
② 24시간 동안 30도 이상의 hip flexion을 피한다.
③ 24시간 동안 valsalva maneuver를 피한다.
① Inotropics
ⓐ Dobutamine
Beta receptor agonist로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키고 혈관저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높은 용량에서만 심박동수가 증가한다. IABP의 효과를 증가시키 기 위하여 많이 사용하나 장기 사용시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 Dopamine
용량에 따라 효과가 다르지만 높은 용량에서는 심박동수룰 증가시키고 심근의 산소소모량을 증가시키므로 IABP의 효과를 감소시킨다.
ⓒ Epi, Norepinephrine & Isoproterenol
심근의 산소소모량을 증가시켜 부정적인 효과를 유발하므로 사용시 신중히 사용 해야한다.
② Phosphodiesterase inhibators
Beta receptor agonist에 비해 혈관확장효과와 심근수축력이 많이 증가한다. 이 약물은 심근의 산소활용도를 증가키켜서 심근 수축력을 향상시킨다. 이 약물은 심 박동수와 심근 산소소모량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혈역학 상태를 향상시키므로 IABP 적용시 가장 높은 효과를 낼 수 있으나 대게 Dobutamine이나 Dopamine이 효과가 없을때 사용한다.
③ Vasodilators
SVR과 LVEDP가 증가되어 있으면서 수축기 동맥압이 유지 될 때 사용한다. 이때 nitroprusside는 동맥과 정맥을 모두 확장시키는 약물로 혈관저항을 감소시키고 심박출량을 증가키킨다. Nytroglycerin은 관상동맥을 적절히 확장시키면서 정맥을 확장시키므로 심장의 전부하를 감소시킨다. 대게 혈관확장제는 혈압저하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inotropics와 함께 사용한다.
④ Vasoconstrictors
혈압이 Inotropics, Vasodilators, IABP의 사용으로도 적절히 유지되지 않을때 혈 관수축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는 심근 산소소모량을 모니터링하여야 하며 대동 맥 직경도 감소하므로 IABP에 의해 대동맥의 90%이상 막힐 수 있으며 이는 대동 맥의 손상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적절히 관찰해야 한다.
5. Weaning
1) 기준
① Systoric arterial pressure >90mmHg
② Mean arterial pressure > 70mmHg
③ HR < baseline, PCWP < 18mmHg
④ No arrhythmias
⑤ CI > 2L/min/m²
⑥ SVR <2100
⑦ Urine outout >30cc/hr이상 유지될 때
2) 방법
① Frequency ratio weaning
보조 심박수에 대한 심박수를 1:1, 1:2, 1:3, 1:4로 낮추는 방법
② Volume weaning
풍선의 박출량을 20%씩 줄인다. 30분관찰 후에도 안정되면 volume을 더 줄이고 환 자상태를 관찰한다.
6. IABP catheter remove
제거 4시간 전에 Heparine 중단.
1) 과정
① 환자에게 제거 절차와 예측되는 상황을 설명한다.
② 연결된 tie와 sutsre를 제거한다.
③ Console에서 balloon을 제거한다.
④ Shesth위, 아래 부분의 대퇴동맥에 강한 압력을 준다.
⑤ Balloon과 sheath를 동시에 제거한다.
⑥ 출혈이 멎을 때가지 압박을 가한 후 압박 드레싱을 한다. (30분간)
⑦ 모래주머니를 6시간 정도대어주고 24시간 정도 침상안정을 한다.
2) 제거 후 간호
① Catheter를 삽입했던 다리의 순환상태를 계속 사정한다. 말초맥박과 순환상태를 제거 후 24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사정한다
② 24시간 동안 30도 이상의 hip flexion을 피한다.
③ 24시간 동안 valsalva maneuver를 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