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 프로그램 개발) 농아인(청각 장애인) 자녀들을 위한 사회성 증대 프로그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애인복지 프로그램 개발) 농아인(청각 장애인) 자녀들을 위한 사회성 증대 프로그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대상을 결정하였다.
다 음 계 획
전체적인 프로그램 틀 구상
농아인에 대한 자료 수집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2
일 시
2009년 3월 25일 금요일
장 소
동악관 뒤 벤치
참 석 자
목 표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틀 구상
대상자에 대한 자료정리
지난주 회의
프로그램 대상자 : 농아인들의 자녀
프로그램 필요성 : 농아가정의 자녀들은 대체적으로 사회성에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언어사용에 대한 문제는 가정뿐아니라 학교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동기에 나타나는 이런 문제는 나중에 청소년기 때에는 더 큰 사회문제로 발전될 수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이런 문제 접근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려 한다.
내 용
농아인들에 대한 자료를 검색하여 내용을 정리하면서 농아라는 것이 어떤것인지에 대해 정확한 의미정리를 하였다. 그리고 농아인들의 자녀에 대해 왜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어떻게 개입을 해야하는 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 음 계 획
목적, 목표 설정
프로그램을 짜기위한 자료 수집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3
일 시
2009년 4월 4일 월요일
장 소
동악관 빈 강의실
참 석 자
목 표
목적, 목표설정
자료 정리
지난 회의
농아란? 원래 벙어리는 귀먹은 것이 원인이 되므로 보통 농아라 하면 벙어리를 가리킨다. 일반적으로 귀가 잘 들리지 않는 것을 난청(難聽)이라고 하는데, 난청의 정도는 다양해서 가벼운 것은 감기가 들었을 때 귀가 약간 먹먹한 정도에서부터 귀 밑에서 큰소리를 쳐야 알아 듣는 정도까지가 있다. 좀 더 심할 경우, 말을 전혀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난청을 농자(聾者), 즉 귀머거리라고 한다. 난청의 정도를 숫자로 나타낼 때 데시벨(db)이라는 단위를 사용한다. 정상인은 0 db이며 난청의 정도가 커질수록 숫자가 높아져, 귀머거리는 80 db 이상이 된다. 청력검사에서 90 db 이상의 소리도 들리지 않는 고도의 난청을 농(聾)이라고 한다. 농아는 그 모체가 임신 중에 풍진(風疹)을 앓거나 극약 등을 복용하여 생기는 선천적 농아와 3∼4세 때 뇌막염 ·성홍열 등의 병을 앓아 말을 배울 때 귀가 먹어 벙어리가 되는 후천적인 것이 있다.
내 용
목적과 목표설정을 구체화하고 프로그램을 짜기위한 자료들의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일정과 몇 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할지 정하였다.
다 음 계 획
세부 내용 설정(프로그램 회기별 내용설정)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4
일 시
2009년 4월 8일 금요일 ~ 4월 14일 목요일
장 소
학교 내 로즈버드
참 석 자
목 표
세부 내용 설정(프로그램 회기별 내용설정 1회기~2회기)
지난 회의
목적1 : 아이들의 사회성 증대
목표 : 1. 농아인 자녀의 사회 부적응 현상과 학교 생활 부적응 현상을 감소
2. 사회적 지지를 통한 그들의 자존감과 정체성 강화
목적2 : 농아자녀의 언어활동 증대
목표 : 1. 가정에서의 언어활동
2. 언어활동의 중요성교육
내 용
총 12회기의 프로그램 설정을 하였고 농아인 자녀에 대한 case work개입, 가정에 대한 개입, 비슷한 상황을 지닌 아이들의 모임을 통한 group work개입을 하기로 정하였다.
1~2회기는 가정에 대한 개입으로 구체적인 프로그램 설정을 하였다.
다 음 계 획
3~8회기에 대한 프로그램 계획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5
일 시
2009년 4월 18일 월요일 ~ 4월 22일 금요일
장 소
학교 내 벤치, 학술정보원
참 석 자
목 표
세부 내용 설정(프로그램 회기별 내용설정 3회기~ 8회기)
지난 회의
1회기 : 가정방문을 통한 가족들과의 Rapport형성
2회기 : 문제파악, 가정에서 개인의 역할파악
내 용
5회기~ 8회기는 비슷한 상황을 가진 아이들의 Group work으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설정하였다.
다 음 계 획
9~12회기에 대한 프로그램 계획
총 회기에 대한 수정과 보안작업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6
일 시
2009년 4월 25일 월요일 ~ 5월 4일 수요일
장 소
학술정보원, 조원의 자취방
참 석 자
목 표
세부 내용 설정(프로그램 회기별 내용설정 9회기~12회기)
총 회기에 대한 수정과 보안
지난 회의
3회기 : 공동레크레이션
4회기 : 감정표현
5회기 : 수화로 대화하기, 말로만 대화하기
6회기 : 비디오감상
7회기 : 상황극
8회기 : 강연회
내 용
9~12회기는 문제행동을 나타내고 있는 농아인 자녀 (또는, 문제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농아인자녀)에 대한 case work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마무리작업 및 결과물에 대한 계획을 하였다.
총 1회기에서 12회기의 설정된 프로그램을 보면서 수정 보안해야 할 부분을 찾아 재구성하였다.
다 음 계 획
프로그램 실시에 필요한 인력구성과 준비물, 장소설정 등의 자원활용에 대한 내용 설정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7
일 시
2009년 5월 9일 월요일 ~ 5월 10일 화요일
장 소
조원의 자취방
참 석 자
목 표
프로그램에 필요한 인력구성
물적 자원확보 등에 관한 세부내용
회기내용 정리 및 타이핑
지난 회의
9회기 : 맘껏놀기
10회기 : 운동회, 시상식
11회기 : 총결과물
12회기 : 마무리 (가족모임)
내 용
각 프로그램에 필요한 인적 물적자원등의 세부내용에 대해 다시 토의를 하였다. 그리고 어떻게 이러한 자원들을 확보할 것인지도 논의하였다.
다 음 계 획
예산설정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8
일 시
2009년 5월 16일 월요일 ~ 5월 30일 월요일
장 소
학교 내 로즈버드
참 석 자
목 표
프로그램 예산 설정
지난 회의
필요한 인력: 수화통역사, 가족치료사, 청소년 전문가,
성공한 농아인자녀, 자원봉사들
내 용
프로그램에 필요한 자원에 대한 예산을 짜고 수정 보안하였다.
다 음 계 획
총 정리 및 결과물 작성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회의록9
일 시
2009년 6월 1일 월요일 ~ 6월 2일 월요일
장 소
학교 내 로즈버드
참 석 자
목 표
총 정리 및 결과물 작성
지난 회의

내 용
총 정리와 결과물 작성
발표준비
다 음 계 획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6.07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74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