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문헌의 개요
1) 폐렴의 정의
2) 폐렴의 증상
3) 폐렴의 분류, 원인, 병태생리
4) 폐렴의 진단
5) 폐렴의 경과, 예후
6) 폐렴의 합병증
7) 폐렴의 치료
(8) 폐렴의 예방법
Ⅱ. 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검사소견(Laboratory & Special test)
의학적 치료 계획
2. 간호과정
Ⅲ. 결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관계문헌의 개요
1) 폐렴의 정의
2) 폐렴의 증상
3) 폐렴의 분류, 원인, 병태생리
4) 폐렴의 진단
5) 폐렴의 경과, 예후
6) 폐렴의 합병증
7) 폐렴의 치료
(8) 폐렴의 예방법
Ⅱ. 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검사소견(Laboratory & Special test)
의학적 치료 계획
2. 간호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관지염, 천식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의 급성발작, 조산아 및 신생아의 호흡곤란 증후군, 수술전후 혜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
-용법용량: 성인-: 1회 15mg 1일 2~3회 피하, 근주, 정주 또는 점적정주. 최대 1회 30mg
소아-: 1.2~1.6mg/kg/일을 정주 또는 근주
5세이상-: 1회 15mg 1일 2~3회
2~4세-: 1회 7.5mg 1일 3회
2세미만-: 1회 7.5mg 1일 2회.
조산아 및 신생아의 호흡곤란시-: 10mg/kg/일을 4회 분주
단독 투여시 최대 20mg/kg/일
-부작용: 식욕부진, 가슴쓰림, 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 화농성 비염, 팔의 마비감
-주의: 중증 신장애
② Ceftriaxone
-효능효과: 호흡기계 감염증(폐렴, 기관지염), 이비인후과 감염증, 생식기 감염증(신장 및 요로 감염증), 패혈증, 수술전후 감염예방, 골 및 관절 감염증, 피부상펴 및 연주직 감염증, 위장관감염증(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수막염
-용법용량: 12세 이상-: 1일 1회 1·2g을 정주 또는 근주. 1일 1회 4g까지 증량 가능
신생아(생후 14일 이내)-: 20·50mg/kg을 1일 1회 최대 50mg/kg
유아 및 소아(생후 15일-12세)-: 20~80mg/kg을 1일 1회
수막염-: 100mg/kg 1일 1l회
페니실린 감수성 균 및 내성균에 의한 임질 치료-: 250mg 1회, 근주
-부작용: shock, allergy, 백혈구.혈소판감소증, 호산구증다증, 오심구토, 두통, 현기, SGOT.SGPT상승
-주의: cephalosporin계 과민환자, 임부
③ fullgram (+ N/S 100cc mix)
-효능효과: 농흉 폐렴, 폐농양, 편도염, 인두염, 기관지염, 중이염, 부비동염, 성홍열, 복막염, 복강 내 농양, 자궁내막염, 비임균성 난관난소농양, 골반 연조직염, 질 커프 수술 후 감염증, 패혈증, 부스럼, 피부농양, 농가진, 농포성 여드름, 연조직염, 창상감염
-용법용량: 성인-: 중증시 600~1200mg/일, 심한 중증시 1200~2700mg/일 2~4회 분주.
소아-: 중증시 15~25mg/kg/일, 심한 중증시 25~40mg/kg/일 3~4회 분주.
신생아(생후 1개월 이하)-: 15~20mg/kg/일을 3~4회 분주.
-부작용: 혈변을 동반한 대장염, 설사, 묽은 변, 식욕부진, 전신홍조, 두드러기, 청색증, 호흡곤란,
-주의: 본제 및 린코마이신 과민증자에겐 투여 금기.
2. 간호과정
※ problem list
1. 폐렴으로 인한 기침, 객담이 있음
2. 왼쪽 다리의 운동장애가 있음
3. 오랜 침상안정으로 인해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있음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0-
01-25
<주관적 자료>
“다리가 아파”
“움직이지 못하겠어”
<객관적 자료>
-다리를 움직여 보라는 요구에 발목만 움직이심
-팔꿈치가 붉으스름하게 변하심
다리가 아픔으로써 오랜 침상안정과 관련된 잠재적 피부손상
단기목표:
대상자는
9월 26일
피부 발적이 생기지 않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9월 29일 피부 발적이 줄어든다.
<진단적>
◆발적의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등, 엉덩이 등의 욕창발생 위험부위의 마사지를 해준다
◆ 체위변경을 시켜준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스스로 체위를 바꿔야 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 욕창이 생겼을 경우의 불편함에 대해 교육해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의 밟적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에게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시켜주었다.
◆대상자에게 마사지를 해주었다.
◆대상자에게 체위변경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체위변경은 욕창의 위험을 줄인다.
◆ 마사지는 욕창의 위험을 줄인다.
◆대상자는 9월 26일 스스로 체위변경을 하였다.
◆ 대상자는 9월 29일 발적이 줄어들었다.(평가불가능)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0-
01-25
<주관적 자료>
“가래 뱉게 휴지 좀 줘”
<객관적 자료>
-주무실 때 쌕쌕 거리는 소리가 드림.
-기침할 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와 함께 가래를 뱉으심.
- 객담의 색은yellow
객담과 관련된 기도청결의 비효율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9월 26일
객담을 묽게 하고 잘 배약하는 방법을 시도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9월 29일 객담을 효율적으로 뱉는다.
<진단적>
◆객담의 양, 점도를 확인한다.
◆ V/S 중 호흡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객담 배액을 도와준다.
◆ 물을 많이 마시게 해 객담이 묽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육적>
◆물을 많이 마셔야 되는 이유에 대해 교육한다.
◆객담의 양, 점도를 확인했다.
◆V/S 중 호흡수를 사정했다.
◆대상자에게 폐 타진을 통한 물리요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에게 물을 많이 마시도록 격려했다.
◆흉부물리요법은 객담을 배출을 도와 청결한 기도유지에 도움을 준다.
◆ 물을 많이 마시면 객담의 점도가 옅어진다.
◆대상자는 9월 25일 물을 많이 마셨다.
◆대상자는 9월 29일 객담의 점도가 옅어졌다.
Ⅲ. 결론
폐렴은 말초 기관지와 폐 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으로써 발열, 오한 등의 전신 증상과 기침, 흉통, 호흡곤란,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고 원인은 균의 종류, 대상자의 나이, 건강의 정도에 따라 모두 다르다. 그에 따라 경과와 예후의 차이가 있으며 치료방법에도 차이를 보인다.
이번 폐렴 케이스는 대상자의 나이가 많고 오랜 기간 침상안정을 하였기 때문에 폐렴 이외에도 침상안정으로 인한 또 다른 위험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간호 수행해 볼수 있는 기회였다.
나는 활력징후 측정시 호흡수를 더욱 유심히 사정하였으며 대상자의 객담의 양, 색을 사정하였으며 대상자가 객담을 배출하기 쉽도록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하였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전시자외, 현문사 . (2005)
- 심화학습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황옥남외. 현문사 (2002)
- http://www.kimsonline.co.kr/
- http://healthcare.joins.com/
-용법용량: 성인-: 1회 15mg 1일 2~3회 피하, 근주, 정주 또는 점적정주. 최대 1회 30mg
소아-: 1.2~1.6mg/kg/일을 정주 또는 근주
5세이상-: 1회 15mg 1일 2~3회
2~4세-: 1회 7.5mg 1일 3회
2세미만-: 1회 7.5mg 1일 2회.
조산아 및 신생아의 호흡곤란시-: 10mg/kg/일을 4회 분주
단독 투여시 최대 20mg/kg/일
-부작용: 식욕부진, 가슴쓰림, 두드러기, 가려움, 호흡곤란, 화농성 비염, 팔의 마비감
-주의: 중증 신장애
② Ceftriaxone
-효능효과: 호흡기계 감염증(폐렴, 기관지염), 이비인후과 감염증, 생식기 감염증(신장 및 요로 감염증), 패혈증, 수술전후 감염예방, 골 및 관절 감염증, 피부상펴 및 연주직 감염증, 위장관감염증(복막염, 담낭염, 담관염) 수막염
-용법용량: 12세 이상-: 1일 1회 1·2g을 정주 또는 근주. 1일 1회 4g까지 증량 가능
신생아(생후 14일 이내)-: 20·50mg/kg을 1일 1회 최대 50mg/kg
유아 및 소아(생후 15일-12세)-: 20~80mg/kg을 1일 1회
수막염-: 100mg/kg 1일 1l회
페니실린 감수성 균 및 내성균에 의한 임질 치료-: 250mg 1회, 근주
-부작용: shock, allergy, 백혈구.혈소판감소증, 호산구증다증, 오심구토, 두통, 현기, SGOT.SGPT상승
-주의: cephalosporin계 과민환자, 임부
③ fullgram (+ N/S 100cc mix)
-효능효과: 농흉 폐렴, 폐농양, 편도염, 인두염, 기관지염, 중이염, 부비동염, 성홍열, 복막염, 복강 내 농양, 자궁내막염, 비임균성 난관난소농양, 골반 연조직염, 질 커프 수술 후 감염증, 패혈증, 부스럼, 피부농양, 농가진, 농포성 여드름, 연조직염, 창상감염
-용법용량: 성인-: 중증시 600~1200mg/일, 심한 중증시 1200~2700mg/일 2~4회 분주.
소아-: 중증시 15~25mg/kg/일, 심한 중증시 25~40mg/kg/일 3~4회 분주.
신생아(생후 1개월 이하)-: 15~20mg/kg/일을 3~4회 분주.
-부작용: 혈변을 동반한 대장염, 설사, 묽은 변, 식욕부진, 전신홍조, 두드러기, 청색증, 호흡곤란,
-주의: 본제 및 린코마이신 과민증자에겐 투여 금기.
2. 간호과정
※ problem list
1. 폐렴으로 인한 기침, 객담이 있음
2. 왼쪽 다리의 운동장애가 있음
3. 오랜 침상안정으로 인해 피부손상의 위험성이 있음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0-
01-25
<주관적 자료>
“다리가 아파”
“움직이지 못하겠어”
<객관적 자료>
-다리를 움직여 보라는 요구에 발목만 움직이심
-팔꿈치가 붉으스름하게 변하심
다리가 아픔으로써 오랜 침상안정과 관련된 잠재적 피부손상
단기목표:
대상자는
9월 26일
피부 발적이 생기지 않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9월 29일 피부 발적이 줄어든다.
<진단적>
◆발적의 정도를 사정한다.
<치료적>
◆등, 엉덩이 등의 욕창발생 위험부위의 마사지를 해준다
◆ 체위변경을 시켜준다
<교육적>
◆대상자에게 스스로 체위를 바꿔야 하는 이유를 교육한다.
◆ 욕창이 생겼을 경우의 불편함에 대해 교육해 욕창이 생기지 않도록 격려한다.
◆대상자의 밟적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에게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시켜주었다.
◆대상자에게 마사지를 해주었다.
◆대상자에게 체위변경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하였다.
◆체위변경은 욕창의 위험을 줄인다.
◆ 마사지는 욕창의 위험을 줄인다.
◆대상자는 9월 26일 스스로 체위변경을 하였다.
◆ 대상자는 9월 29일 발적이 줄어들었다.(평가불가능)
일시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및 재계획
2010-
01-25
<주관적 자료>
“가래 뱉게 휴지 좀 줘”
<객관적 자료>
-주무실 때 쌕쌕 거리는 소리가 드림.
-기침할 때 그르렁 거리는 소리와 함께 가래를 뱉으심.
- 객담의 색은yellow
객담과 관련된 기도청결의 비효율성
단기목표:
대상자는
9월 26일
객담을 묽게 하고 잘 배약하는 방법을 시도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9월 29일 객담을 효율적으로 뱉는다.
<진단적>
◆객담의 양, 점도를 확인한다.
◆ V/S 중 호흡수를 사정한다.
<치료적>
◆흉부물리요법을 통해 객담 배액을 도와준다.
◆ 물을 많이 마시게 해 객담이 묽어질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육적>
◆물을 많이 마셔야 되는 이유에 대해 교육한다.
◆객담의 양, 점도를 확인했다.
◆V/S 중 호흡수를 사정했다.
◆대상자에게 폐 타진을 통한 물리요법을 실시하였다.
◆대상자에게 물을 많이 마시도록 격려했다.
◆흉부물리요법은 객담을 배출을 도와 청결한 기도유지에 도움을 준다.
◆ 물을 많이 마시면 객담의 점도가 옅어진다.
◆대상자는 9월 25일 물을 많이 마셨다.
◆대상자는 9월 29일 객담의 점도가 옅어졌다.
Ⅲ. 결론
폐렴은 말초 기관지와 폐 실질에 발생하는 염증성 호흡기 질환으로써 발열, 오한 등의 전신 증상과 기침, 흉통, 호흡곤란,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고 원인은 균의 종류, 대상자의 나이, 건강의 정도에 따라 모두 다르다. 그에 따라 경과와 예후의 차이가 있으며 치료방법에도 차이를 보인다.
이번 폐렴 케이스는 대상자의 나이가 많고 오랜 기간 침상안정을 하였기 때문에 폐렴 이외에도 침상안정으로 인한 또 다른 위험에 대해 생각해 보고 간호 수행해 볼수 있는 기회였다.
나는 활력징후 측정시 호흡수를 더욱 유심히 사정하였으며 대상자의 객담의 양, 색을 사정하였으며 대상자가 객담을 배출하기 쉽도록 흉부 물리요법을 실시하였다.
※참고문헌
- 성인간호학, 전시자외, 현문사 . (2005)
- 심화학습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 황옥남외. 현문사 (2002)
- http://www.kimsonline.co.kr/
- http://healthcare.join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