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료사회사업
1) 의료사회사업의 의의
2)의료사회사업의 기능
3)의료사회사업의 기술
(1)스크린과 사례발견
(2)위기개입
(3)사회심리적 사정과 개입계획
(4)상담
(5)퇴원계획
(6)퇴원 후 사후관리
(7)집단활동
(8)문서와 기록
2. 정신의료 사회사업
1)정신의료 사회사업의 의의
2)정신의료 사회사업의 발달
3)정신의료 사회사업의 역할
3. 지역사회 정신건강
1)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의의
2)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1) 의료사회사업의 의의
2)의료사회사업의 기능
3)의료사회사업의 기술
(1)스크린과 사례발견
(2)위기개입
(3)사회심리적 사정과 개입계획
(4)상담
(5)퇴원계획
(6)퇴원 후 사후관리
(7)집단활동
(8)문서와 기록
2. 정신의료 사회사업
1)정신의료 사회사업의 의의
2)정신의료 사회사업의 발달
3)정신의료 사회사업의 역할
3. 지역사회 정신건강
1)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의의
2)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본문내용
점은 환자와의 관계형성에 있다. 이를 위해 환자의 가족이나 주변인물들과의 관계형성도 이루어야 한다.
또 질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대책을 받아들이게 하며, 치료를 방해하거나 적절한 사회적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을 발견하여 해결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3. 지역사회 정신건강
1)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의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모델의 기본적 성격은
①프로그램의 다양성
②보호의 연속성
③예방에 대한 강조
④지역지향성
환자에게는 필요로 하는 시간에 그의 거주지역에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신적.정서적 문제를 가진 사람에 대한 예방활동 및 지역사회의 모든 시민의 자아실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지역사회의 환경을 변화시켜 정신적으로 건전한 것이 되게 하는 사회활동을 전개한다.
즉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절절한 치료, 재활, 예방 및 나아가 전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2)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위한 법률체계로서 정신보건법이 1995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법은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법의 기본이념은
①모든 정신질환자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받는다
②모든 정신질환자는 최적의 치료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는다
③모든 정신질환자는 정신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부당한 차별대우를 받지 아니한다
④입원중인 정신질환자는 가능한 자유로운 환경이 보장되어야 하며 다른사람들과 자유로이 의견교환을 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등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권리와 보장을 하고 있다.
정신보건시설의 종류는
①정신의료기관
②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③정신요양시설
정신의료기관은 정신병원,정신과의원 및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 설치된 정신과이다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은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로서, 정신질환자 생활훈련시설, 정신질환자 작업훈련시설 등이 있다.
정신요양시설은 정신의료기관에서 의뢰한 정신질환자와 만성 정신질환자를 입소시켜 요양과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이다
복지.의료 새해 이렇게 달라진다 (뉴스동영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01&aid=0003039243
또 질병에 대한 이해와 치료적 대책을 받아들이게 하며, 치료를 방해하거나 적절한 사회적 기능을 저해하는 요인을 발견하여 해결하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3. 지역사회 정신건강
1)지역사회 정신건강의 의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의 모델의 기본적 성격은
①프로그램의 다양성
②보호의 연속성
③예방에 대한 강조
④지역지향성
환자에게는 필요로 하는 시간에 그의 거주지역에서 정신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며, 정신적.정서적 문제를 가진 사람에 대한 예방활동 및 지역사회의 모든 시민의 자아실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지역사회의 환경을 변화시켜 정신적으로 건전한 것이 되게 하는 사회활동을 전개한다.
즉 정신건강 프로그램은 절절한 치료, 재활, 예방 및 나아가 전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다.
2)우리나라의 지역사회 정신건강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사회 정신건강을 위한 법률체계로서 정신보건법이 1995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이법은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법의 기본이념은
①모든 정신질환자는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보장받는다
②모든 정신질환자는 최적의 치료를 받을 권리를 보장받는다
③모든 정신질환자는 정신질환이 있다는 이유로 부당한 차별대우를 받지 아니한다
④입원중인 정신질환자는 가능한 자유로운 환경이 보장되어야 하며 다른사람들과 자유로이 의견교환을 할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등 정신질환자에 대한 인간으로서의 권리와 보장을 하고 있다.
정신보건시설의 종류는
①정신의료기관
②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
③정신요양시설
정신의료기관은 정신병원,정신과의원 및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에 설치된 정신과이다
정신질환자 사회복귀시설은 정신질환자를 정신의료기관에 입원시키거나 정신요양시설에 입소시키지 아니하고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로서, 정신질환자 생활훈련시설, 정신질환자 작업훈련시설 등이 있다.
정신요양시설은 정신의료기관에서 의뢰한 정신질환자와 만성 정신질환자를 입소시켜 요양과 사회복귀 촉진을 위한 훈련을 행하는 시설이다
복지.의료 새해 이렇게 달라진다 (뉴스동영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01&aid=0003039243
추천자료
[사회복지]장기 매매에 관한 의료사회복지사의 윤리적 딜레마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과 의료사회복지사
지역복지 향상을 위한 의료기관의 역할(의료사회복지)
사회복지실천론- 의료사회복지편
의료사회복지의 정의와 기능 및 역할, 의료사회복지사의 기본 지식과 직무 표준화
[의료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사 개입사례 요약 및 요건 설명
의료사회복지[1]
지역복지 향상을 위한 의료기관의 역할(의료사회복지)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 의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하여
의료사회복지(개념, 역사, 대상, 의료사회복지사, 역할, 과제) 보고서
의료사회복지 (개념, 역사, 대상, 의료사회복지사, 역할, 과제).PPT자료
[아동복지론] 아동학대[아동학대의 개념을 정립하고 그 유형과 원인 등, 학대받은 아동을 위...
소아암, 소아암의이해, 소아암개념, 소아암종류, 소아암증상, 소아암치료방법, 심리사회적문...
[의료사회복지] 내과계에서의 의료사회복지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