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빙글리의 생애와 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츠빙글리의 생애와 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실적으로 힘재할 수 없다고 하였다. 쯔빙글리의 생각은 그리스도는 재림하기까지는 하나님의 우편에 계시는데 어떻게 성찬에서 육적으로 먹어질 수 있는가? 였다. 김기련,『종교개혁사』(대전 : 목원대학교 출판부, 2001), 229
쯔빙글리가 육체적인 먹음을 격렬하게 반대한 것은 사람들의 구원의 문제가 달려 있었기 때문이다. 성례 안에 구원이 있다면 우리가 성례를 집례하고 받을 때 우리는 구원을 중재하는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구원은 우리 손에 달린 것이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 구원에서 하나님의 주권을 부인하는 것이다 더욱이 그리스도인의 인성과 구속 사역도 부정될 것이다. 왜냐하면 성례에서의 그리스도의 육체적 임재는 그리스도의 몸은 우리의 몸과는 달리 한 번에 한곳 이상의 장소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게 될 것이고, 육체적인 먹음은 구원을 위한 그리스도의 죽음의 필연성에 이의를 제기할 것이기 때문이다. 성령의 역할 또한 부인될 것이다. 왜냐하면 인류를 상대로 그리스도의 육체적 임재를 대신하도록 보내진 분은 성령이지 성례가 아니며, 믿음을 주는 분도 성령이지 성례가 아니기 때문이다. W.P.스티븐슨,『츠빙글리의 생애와 사상』,박경수 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7), 176-177
Ⅲ. 영향
쯔빙글리 신학의 특징은 그의 신학이 성서적이고 하나님 중심적이라는 사실이다. 그 둘은 분리되지 않고 긴밀히 연관되어 있다. 취리히 바서 옆에 있는 쯔빙글리 동상의 왼손에는 검이, 오른손에는 성서가 들려있는데 성서를 든 손이 좀 더 위에 있다. 쯔빙글리의 개혁사역에서 성서가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는 것을 올바로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쯔빙글리의 성서관은 무엇보다 성서의 일부분이 아니라 전체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는데, 이러한 특징은 그리스도교 신앙에 대한 그의 이해에 설득력과 포용성을 더해주었다. 쯔빙글리는 모든 진리와 마찬가지로 모든 선도 하나님에게서 온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그리스도인이 아닌 선한 사람들의 경우를 매우 진지하게 다루었다. 성서에 대한 강조는 본질적으로 쯔빙글리의 하나님중심 신학의 한 부분이자 그 증거이다. 하나님 중심성에 대한 강조는 쯔빙글리의 신학의 전체를 규정짓는 하나님의 주권에서도 볼 수 있다. 이것은 하나님에 대한 이해, 구원에 대한 이해, 교회와 목회에 대한 이해, 말씀과 성례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또한 사회에 대한 그의 신정정치적인 견해에서도 나타난다.

키워드

츠빙글리,   생애,   사상,   영향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10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