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기기억 중심으로 감정양식
2.심리성적발달
3.구조이론
4.자기방어기제
2.심리성적발달
3.구조이론
4.자기방어기제
본문내용
identification) 닮지 말아야 할 사람, 닮지 않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을 닮는 것을 말한다.
2) identification with aggressor 두려운 대상의 특징을 닮아 자기 것으로 함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하는 것. 예를 들어, 어린아이가 도깨비흉내를 냄으로써 도깨비의 공포로부터 벗어나는 것. 어머니로부터 학대당한 환자가 치료자를 괴롭히는 것은 자신의 공격자였던 어머니와 동일화함으로써 불안을 방어하는 것. 호된 시집살이를 한 며느리가 나중에 호된 시어머니가 되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
3) "as if" personality, pathological identification 마치 누구인양 행동하는 동일화. 강한 사람의 행동을 흉내냄으로써 자신도 그렇게 되었다고 믿고 현실적응을 하는 것으로서 진정한 의미의 identity를 형성했다고 볼 수 없고, 따라서 진정으로 우러나오는 감정도 없다. 말 그대로 마치 무엇인 것처럼 행동하므로, 대상이 쉽게 변화될 수도 있다. 주관 없는 기회주의자의 태도. 독재자에게 아부하는 해바라기 정치 꾼, 남의 작품을 모방하는 예술인, 신흥종교의 광신도들.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이 많이 사용.
(3) 동생과 놀다가 화가 나서 때렸는데 때릴 때는 화가 나서 때렸지만 그러고 나니 미안한 맘이 들기도 해서 때린 부위를 입김을 불어주면 위로했던 기억이 난다.
→ 취소(undoing)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일으키는 행동, 사고, 감정을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무효화시키는 것. 예를 들어 아이가 동생에게 화가나 때린 다음에 곧바로 끌어안고 미안하다고 하며 입맞추는 것.
2) identification with aggressor 두려운 대상의 특징을 닮아 자기 것으로 함으로써 두려움을 극복하는 것. 예를 들어, 어린아이가 도깨비흉내를 냄으로써 도깨비의 공포로부터 벗어나는 것. 어머니로부터 학대당한 환자가 치료자를 괴롭히는 것은 자신의 공격자였던 어머니와 동일화함으로써 불안을 방어하는 것. 호된 시집살이를 한 며느리가 나중에 호된 시어머니가 되는 것도 이것 때문이다.
3) "as if" personality, pathological identification 마치 누구인양 행동하는 동일화. 강한 사람의 행동을 흉내냄으로써 자신도 그렇게 되었다고 믿고 현실적응을 하는 것으로서 진정한 의미의 identity를 형성했다고 볼 수 없고, 따라서 진정으로 우러나오는 감정도 없다. 말 그대로 마치 무엇인 것처럼 행동하므로, 대상이 쉽게 변화될 수도 있다. 주관 없는 기회주의자의 태도. 독재자에게 아부하는 해바라기 정치 꾼, 남의 작품을 모방하는 예술인, 신흥종교의 광신도들.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들이 많이 사용.
(3) 동생과 놀다가 화가 나서 때렸는데 때릴 때는 화가 나서 때렸지만 그러고 나니 미안한 맘이 들기도 해서 때린 부위를 입김을 불어주면 위로했던 기억이 난다.
→ 취소(undoing)
용납할 수 없거나 죄책감을 일으키는 행동, 사고, 감정을 상징적인 방법을 통해 무효화시키는 것. 예를 들어 아이가 동생에게 화가나 때린 다음에 곧바로 끌어안고 미안하다고 하며 입맞추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