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갈필과 적묵의 분위기로 돌아가 중첩된 묵색에서 우러나오는 경쾌한 청량감과 소조한 분위기를 절충시켜 청전 특유의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다. 수묵의 농도와 무수한 필선의 변화에 의한 묵색의 묘미는, 후경에 끝없이 펼쳐지는 야산과 그 굴곡을 따라 흐르는 저녁안개로 이어져 화면에 깊이감과 공간감을 더해주고 있으며 갈필로 표현된 마른잡초와 앙상한 가지의 나무는 더욱 더 황량한 겨울 풍경을 느끼게 한다. 특히, 전경의 암산 가장자리를 진한 먹색으로 마무리하는 기법은 화면에 활력을 주고 있는데 1950년 초반까지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화면 오른쪽 중앙에 보이는 소를 몰고 가는 촌부의 왜소한 모습은 평범하게 살아가는 서민상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후 청전 작품의 핵심적 도상으로 자리 잡음을 볼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화교에 관한 종합적 이해
화교의 역사와 분포 및 문제점, 점망
조선 전기의 회화
[과외]중학 미술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2
[과외]중학 미술 2-1학기 중간 예상문제 06
까르푸 글로벌 국제 경영 분석
국내 화교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단위학교 자율경영제
화법(말하는 방법)의 개념, 화법(말하는 방법)의 특성, 화법(말하는 방법)의 요소, 화법(말하...
MBR을 이용한 정수처리시설 설계
카페베네,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
보쌈을 이용한 창업성공사례 성공적인 경영전략 및 마케팅전략과 성공배경, 운영현황, 조직...
유래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 <별주부전 토끼전> 연구
유래와 해석을 중심으로 한 <별주부전 토끼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