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균과 소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멸균과 소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멸균

① 습윤멸균(Moist Heat Sterilization)

② 건열멸균(Dry Heat Sterilization)

③여과법(Filtration)

④ 가스 멸균법(Gas Sterilzation)

⑤ 빛 처리법(Radiation)

⑥ 화염멸균

2) 소독(또는 살균)(Disinfection)

① 직접연소법

② 대기압의 수증기나 끓는 물 처리 법

③ 화학적 살균법

참고자료

본문내용

담궈 두었다가 세척하고 멸균하여 재사용한다. 이때 쓰이는 살균제는 세척시 사용하는 세제나, 세척방법에 따라 적절할 것을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세균을 다룬 경우, 가용성 페놀류나 sodium hypochorite가 적절하다. 페놀류는 1~2%용액을, sodium hypochorite는 염소의 농도가 1,000ppm 정도되게 희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바이러스를 다룬 경우에는 hypochorite를 10,000ppm정도 되게 희석하여 사용한다.
다. 실험대의 소독
일반적인 영양세포의 살균에는 페놀류를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나, 포자류를 제거할 필요가 있을 때는 formaldehyde나 glutaraldehyde를 사용하는데, 특히 glutaraldehyde는 2%(w/s)용액에 sodium bicarbinate를 0.3%(w/s)수준으로 첨가하여 알칼리화 시킨 후 사용한다. 또한 aldehyde류를 처리한 후에는 실험실 공기를 꼭 환기시키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참고자료
미생물학실험 - 아카데미서적 -
인터넷(http://my.dreamwis.com/kingsudo/report)참조
인터넷(http://www.reportworld.co.kr/)자료 참고

키워드

멸균,   소독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0.06.11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6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