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악안면영역의 낭종과 종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 복잡치아종은 섬유낭으로 쌓여 있으며 부분적으 로 액체가 분리될 수도 있다.
③ 간엽성 치성 종양
- 치성 섬유종 : 악골에 발생되는 드문 종양으로서 혼합종과 비슷한 임상소견을 보인 다. 10대에서 주로 많고 남,녀 비슷하게 나타난다. 하악에서 빈발하며 지치와 소구 치부위에서도 호발된다. 무통성이며 병소의 성장에 따라 악골의 팽창을 가져온다. 방사선적으로 함치성 낭종과 같은 단방형의 방사선 투과성을 가진다. 병소 자체는 낭종형보다 고형 형태가 많으며 병소를 절단하여 보았을 때 하얀 분홍색을 띈다.
- 백악질종 : 치근막에서 유래되는 중배엽성 치성종양으로 백악질이 형성되는 진성종양이다. 백악질종은 법랑기 및 치배가 형성된 후 발생되므로 치아 맹출 후에 치아 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30세 이상의 여자에서 주로로 많이 발생된다. 하악의 전치부에서 호발한다. 대부분 무통성이며,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초기에는 경계가 뚜 렷한 단방형의 방사선 투과성으로 보이나, <불규칙한석회화상, 골소주에둘러싸인 백악아세포>
석회화가 진행되면서 병소는 방사선 불투과성으로 변한다. 병리조직학적으로 세포 성 섬유기질이 있다.
3. 결론
낭종과 종양, 특히 구강악안면영역의 낭종과 종양만 해도 이렇게 종류가 다양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다. 레포트를 쓰면서 교과서 내용 중심으로만 조사 했는데 레포트에 쓰지 않은 낭종과 종양이 너무나도 많았다.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왜 ‘이건 적은 양이야’라고 하셨는지 알 것 같다.
공부를 하면서 헷갈리기도 하는 낭종과 종양이 많았다. 자칫 겉핥기식으로 공부했다가는 환자들에게 잘못된 진단을 내려 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더욱더 정확하게 공부해야겠다고 다짐했다. 지금은 이정도의 낭종과 종양이 있지만 10년 후, 20년 후에는 또 어떤 새로운 질병이 발생하여 책에 쓰여 질지 모른다. 정말이지 학문의 길은 무궁무진하고, 질병의 세계는 미지의 세계 인 것 같다. 하지만 사람들은 완벽하게 질병을 치유하여 안락한 삶을 살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실험할 것이다. 지난해에 암환자수가 49.3 만 명으로 7년 새에 2.26배 증가 되었다고 한다. 지금도 늘어만 가는 암 환자들과 하루하루 희망을 가지고 완쾌를 바라는 암 환자들을 위하여 치료법이 빨리 개발되면 좋겠다.
- 참고문헌
구강악안면종양학, 지성출판사, 이상철 외
구강암, 지성출판사, 김명진 외
구강악안면병리학, 대한나래출판사,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6.13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8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