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월령에 맞는 이유식
본문내용
수 있다. 쌀이나 옥수수 이외의 곡류는 생후 4개월 이후에 주며 계란흰자나 땅콩, 호두, 잣 등의 견과류, 깨 종류, 선식류 등은 알레르기 유발 가능성이 있는 식품들이므로 돌이 지나면서부터 주는 것이 좋다.
- 선식은 주지 않는다
선식에 사용하는 많은 식품들이 섬유소 함량은 높고 열량 밀도는 낮으므로 유아의 영양공급원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선식에 들어 있는 섬유소 또한 단백질 소화를 어렵게 하고 칼슘, 인, 아연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 D의 흡수율을 감소시킨다.
선식에 사용되는 땅콩, 참깨, 잣, 호두 등은 알레르기성 식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유식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수일간 공기 중에 방치해 두면 지방산패가 일어난다.
이유 중기(6~9개월)
= 이유식 방법
이 시기 이유의 주목적은 영양보충이다. 이제 수분이 많은 모유나 조제분유만으로 아기는 필요한 영양소와 칼로리를 충당할 수 없다. 모유나 조제분유의 영양조성이 일정한 반면, 아기는 성장과 함께 더 많은 양의 영양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이유중기 체크포인트
1. 규칙적으로 분유나 이유식을 준다.
2. 새로운 맛(과즙, 야채국, 쌀미음 등)과 숟가락에 길들여지면 본격적으로 이유를 시작한 다.
3. 이유식의 종류와 양을 점차적으로 늘이고, 다양한 식품섭취를 통해 적절하게 영양을 공 급하다. 가능하면 주식(죽류)과 부식(반찬)의 식단을 마련하여 고른 영양섭취를 유도한다.
4. 아기의 기분이나 변의 상태를 살피면서 진행한다.
- 하루의 식사량
이유식(1/3공기, 끈적끈적 갈아 으깬 죽)으로 적어도 1끼의 식사를 대신할 수 있다.
곡류군
1선택
밥 1/6공기, 고구마(중) 1/4개, 감자(중) 1/2개, 식빵 1/2쪽, 모닝1/2개
어육류군
1선택
소고기(등심, 안심) 탁구공 크기의 1/2개, 이면수(작은 것) 1/2토막,
두부 1/12모, 순두부 1/2컵
채소군
1선택
무 익혀서 1/6컵, 당근 1/6개, 콩나물 익혀서 1/5컵, 오이 1/6개
과일군
1선택
사과(중) 1/3개, 배(중) 1/4개, 귤(중) 1개, 딸기(중) 5개
지방군
1선택
들기름 1작은스푼, 옥수수기름 1작은스푼, 식용유 1작은스푼,
참기름 1작은스푼
우유군
4~5회
분유 하루에 800ml
= 이유 중기의 식품
- 에너지 공급과 체온 유지를 위한 식품
1. 쌀죽: 쌀 1:물 10의 배합으로 2~3시간 불린 쌀을 연한 불에 끓여 으깬다.
2. 빵죽: 잘게 썰어서 볶은 빵을 우유나 스프로 끓인다.
- 피를 만들고 뼈와 살이 되는 음식
1. 난황: 달걀 노른자 2분의 1을 삶아서 으깬 다음 약간의 우유나 국물로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2. 두부: 세 숟가락 정도의 두부로 맛을 순하게 하여 물에 삶아 으깨주거나 국물과 섞어 준 다.
3. 흰살 생선: 3숟가락 분량의 생선을 끓인 다음 잘게 부수어 죽에 섞어 먹인다.
4. 치즈와 요구르트: 50g 을 조금씩 나누어 준다.
- 건강유지와 신진대사 촉진을 위한 음식
1. 야채: 당근, 무, 호박, 감자, 토마토 등을 삶고 그 삶은 물에 잘 으깨어 준다. 영양소 손실을 줄이기 위해 증기 압력솥을 이용하여 찐 후 으깨어 우유 등에 섞어주어도 좋다. 으깬 것 3숟가락 정도가 아기가 먹기에는 적당한 분량이다.
2. 과일: 과즙과 과육을 함께 갈아서 줍니다. 50ml가 적당하다.
= 아기 발달에 따른 이유식
개월
발달정도
섭취방법
조리형태
행동제시
6~9개월
*손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균형을 잡고 앉아 있을 수 있다.
*숟가락을 좀 더
잘 잡게 된다.
*혀와 입천장으로 으깨는 시기.
*혀가 아래 음식을 아래 위로도 잘 움 직여 혀를 입천장 쪽으로 밀어넣으며 음식을 으깰수 있다.
*턱 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부술 수 있다.
*음식을 옆으로 또 는 회전하면서 씹 는다.
*부드러운 알갱 이 상태.
(혀로 으깰 수 있는 두부 정도 의 단단함)
*시판 이유식
*자가 이유식
*묽은죽/ 죽밥류
*죽 종류를 먹을 수 있다.
*숟가락과 그릇을 사 용할 수 있다.
8죽은 어른공기의
1/3 ~ 2/3 정도까지 먹을 수 있다.
*작은 알갱이가 있는 죽을 더 좋아한다.
*발을 받쳐주는 높은 의자에 앉혀 이유식 먹게 한다.
*컵 사용이 가능
- 이유식을 시작하여 생후 6개월이 되면 아기는 음식 맛을 구분하게 되고, 음식을 씹고 삼키 는 데 익숙해져 본격적인 이유기가 시작된다.
- 생후 7~8개월이 되면 소화기능도 많이 발달되어 여러 가지 식품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아기가 때때로 내용물이 일정한 죽보다는 작고 부드러운 음식 덩어리가 느껴지는 것을 좋 아 할 수 있으므로 국수나 마카로니를 잘게 썰어서 주거나 빵 조각을 완전히 으깨지 말고 약간의 덩어리째로 주어본다.
- 아기는 여러 가지 맛에 관심을 갖게 되지만 새로운 맛에 대해서는 경계할 수 있다. 처음주 는 음식은 우선 혀끝에서 맛보게 한 다음 계속 먹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기 스스로가 결 정하게 한다.
- 2,3일간 계속 아기가 싫어하는 음식은 한동안 중지하였다가 맛을 조금 바꾸어 다시 주어본 다.
- 이유식을 손수 만들 때는 각 식품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식품의 종류를 가능한 최소화한다.
- 이유식을 하루에 여러 번 주더라도 새로운 음식을 자주 주지는 않다. 이미 아기가 알고 있는 음식을 번갈아주면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한두 가지의 새로운 음식을 주어본다.
- 아기가 막 잠에서 깨어났을 때는 이유식을 주지 않는다.
이유 중기 영양관리
= 이유식과 영양
- 이유식을 주식으로
생후 6개월 이전까지의 이유식이 먹는 양에 관계없는 훈련식의 개념이었다면 이제부터의 이유식은 본격적인 주식이 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제부터 엄마는 아기가 먹는 이유식의 양과 질 모두에 신경을 써야만 한다.
- 열량 보충이 필요
아기는 성장과 함께 열량 필요량이 급속하게 늘어나는 반면 음식을 먹는 양(부피)은 그 만큼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모유나 조제분유처럼 수분이 많은 음식만으로는 더 이상 아기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열량 섭취가 불가능해지며 이를 보충할 수 있는 별도의 식품(보충식)이 필요하다.
- 수분이 적은 반고형식, 고
- 선식은 주지 않는다
선식에 사용하는 많은 식품들이 섬유소 함량은 높고 열량 밀도는 낮으므로 유아의 영양공급원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선식에 들어 있는 섬유소 또한 단백질 소화를 어렵게 하고 칼슘, 인, 아연과 같은 무기질과 비타민 D의 흡수율을 감소시킨다.
선식에 사용되는 땅콩, 참깨, 잣, 호두 등은 알레르기성 식품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유식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수일간 공기 중에 방치해 두면 지방산패가 일어난다.
이유 중기(6~9개월)
= 이유식 방법
이 시기 이유의 주목적은 영양보충이다. 이제 수분이 많은 모유나 조제분유만으로 아기는 필요한 영양소와 칼로리를 충당할 수 없다. 모유나 조제분유의 영양조성이 일정한 반면, 아기는 성장과 함께 더 많은 양의 영양소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 이유중기 체크포인트
1. 규칙적으로 분유나 이유식을 준다.
2. 새로운 맛(과즙, 야채국, 쌀미음 등)과 숟가락에 길들여지면 본격적으로 이유를 시작한 다.
3. 이유식의 종류와 양을 점차적으로 늘이고, 다양한 식품섭취를 통해 적절하게 영양을 공 급하다. 가능하면 주식(죽류)과 부식(반찬)의 식단을 마련하여 고른 영양섭취를 유도한다.
4. 아기의 기분이나 변의 상태를 살피면서 진행한다.
- 하루의 식사량
이유식(1/3공기, 끈적끈적 갈아 으깬 죽)으로 적어도 1끼의 식사를 대신할 수 있다.
곡류군
1선택
밥 1/6공기, 고구마(중) 1/4개, 감자(중) 1/2개, 식빵 1/2쪽, 모닝1/2개
어육류군
1선택
소고기(등심, 안심) 탁구공 크기의 1/2개, 이면수(작은 것) 1/2토막,
두부 1/12모, 순두부 1/2컵
채소군
1선택
무 익혀서 1/6컵, 당근 1/6개, 콩나물 익혀서 1/5컵, 오이 1/6개
과일군
1선택
사과(중) 1/3개, 배(중) 1/4개, 귤(중) 1개, 딸기(중) 5개
지방군
1선택
들기름 1작은스푼, 옥수수기름 1작은스푼, 식용유 1작은스푼,
참기름 1작은스푼
우유군
4~5회
분유 하루에 800ml
= 이유 중기의 식품
- 에너지 공급과 체온 유지를 위한 식품
1. 쌀죽: 쌀 1:물 10의 배합으로 2~3시간 불린 쌀을 연한 불에 끓여 으깬다.
2. 빵죽: 잘게 썰어서 볶은 빵을 우유나 스프로 끓인다.
- 피를 만들고 뼈와 살이 되는 음식
1. 난황: 달걀 노른자 2분의 1을 삶아서 으깬 다음 약간의 우유나 국물로 부드럽게 만들어 준다.
2. 두부: 세 숟가락 정도의 두부로 맛을 순하게 하여 물에 삶아 으깨주거나 국물과 섞어 준 다.
3. 흰살 생선: 3숟가락 분량의 생선을 끓인 다음 잘게 부수어 죽에 섞어 먹인다.
4. 치즈와 요구르트: 50g 을 조금씩 나누어 준다.
- 건강유지와 신진대사 촉진을 위한 음식
1. 야채: 당근, 무, 호박, 감자, 토마토 등을 삶고 그 삶은 물에 잘 으깨어 준다. 영양소 손실을 줄이기 위해 증기 압력솥을 이용하여 찐 후 으깨어 우유 등에 섞어주어도 좋다. 으깬 것 3숟가락 정도가 아기가 먹기에는 적당한 분량이다.
2. 과일: 과즙과 과육을 함께 갈아서 줍니다. 50ml가 적당하다.
= 아기 발달에 따른 이유식
개월
발달정도
섭취방법
조리형태
행동제시
6~9개월
*손을 사용하는 동안에도 균형을 잡고 앉아 있을 수 있다.
*숟가락을 좀 더
잘 잡게 된다.
*혀와 입천장으로 으깨는 시기.
*혀가 아래 음식을 아래 위로도 잘 움 직여 혀를 입천장 쪽으로 밀어넣으며 음식을 으깰수 있다.
*턱 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부술 수 있다.
*음식을 옆으로 또 는 회전하면서 씹 는다.
*부드러운 알갱 이 상태.
(혀로 으깰 수 있는 두부 정도 의 단단함)
*시판 이유식
*자가 이유식
*묽은죽/ 죽밥류
*죽 종류를 먹을 수 있다.
*숟가락과 그릇을 사 용할 수 있다.
8죽은 어른공기의
1/3 ~ 2/3 정도까지 먹을 수 있다.
*작은 알갱이가 있는 죽을 더 좋아한다.
*발을 받쳐주는 높은 의자에 앉혀 이유식 먹게 한다.
*컵 사용이 가능
- 이유식을 시작하여 생후 6개월이 되면 아기는 음식 맛을 구분하게 되고, 음식을 씹고 삼키 는 데 익숙해져 본격적인 이유기가 시작된다.
- 생후 7~8개월이 되면 소화기능도 많이 발달되어 여러 가지 식품을 먹을 수 있게 된다. 아기가 때때로 내용물이 일정한 죽보다는 작고 부드러운 음식 덩어리가 느껴지는 것을 좋 아 할 수 있으므로 국수나 마카로니를 잘게 썰어서 주거나 빵 조각을 완전히 으깨지 말고 약간의 덩어리째로 주어본다.
- 아기는 여러 가지 맛에 관심을 갖게 되지만 새로운 맛에 대해서는 경계할 수 있다. 처음주 는 음식은 우선 혀끝에서 맛보게 한 다음 계속 먹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기 스스로가 결 정하게 한다.
- 2,3일간 계속 아기가 싫어하는 음식은 한동안 중지하였다가 맛을 조금 바꾸어 다시 주어본 다.
- 이유식을 손수 만들 때는 각 식품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사용식품의 종류를 가능한 최소화한다.
- 이유식을 하루에 여러 번 주더라도 새로운 음식을 자주 주지는 않다. 이미 아기가 알고 있는 음식을 번갈아주면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한두 가지의 새로운 음식을 주어본다.
- 아기가 막 잠에서 깨어났을 때는 이유식을 주지 않는다.
이유 중기 영양관리
= 이유식과 영양
- 이유식을 주식으로
생후 6개월 이전까지의 이유식이 먹는 양에 관계없는 훈련식의 개념이었다면 이제부터의 이유식은 본격적인 주식이 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이제부터 엄마는 아기가 먹는 이유식의 양과 질 모두에 신경을 써야만 한다.
- 열량 보충이 필요
아기는 성장과 함께 열량 필요량이 급속하게 늘어나는 반면 음식을 먹는 양(부피)은 그 만큼 늘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모유나 조제분유처럼 수분이 많은 음식만으로는 더 이상 아기가 필요로 하는 만큼의 열량 섭취가 불가능해지며 이를 보충할 수 있는 별도의 식품(보충식)이 필요하다.
- 수분이 적은 반고형식, 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