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듬이란 무엇인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리듬이란 무엇인가
Ⅰ. 리듬의 이해
1. 리듬의 의미

2. 리듬 분석법
(1) 국소적 리듬 분석법
① 움직이는 리듬․정지된 리듬
② 단순진행․반복진행
(2) 형식적 리듬 분석법
(3) 실용적 리듬 분석법

3. 리듬의 보편성
(1) 리듬의 계층구조
(2) 리듬의 기본단위

4. 리듬의 구조
(1) 리듬의 규칙적 반복성

본문내용

위치로 혹은 하나의 화성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옮아가는 멜로디의 진행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선율적 혹은 선율적·화성적 공간 구조가 동시에 리듬 구조, 다시 말해서 지속의 구조가 되는 것은, 우리의 심적 실존의 시간화라는 것이 지속 가운데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음악이 이용하는 것은, 현실 세계의 우연성이 배제된 '그의 순수한 본질로서의' 정서 활동인 것이고, 바로 그렇기 때문에 이 정서 활동은 그 자신에게 고유한 실존의 지평(地坪), 우리의 인생이 흘러가는 지평처럼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것이지만, 음악적 소리가 그 구조를 세우게 해주는 상상의 세계인 지평을 창조해야 했던 것이다.
(1) 리듬의 규칙적 반복성
우리의 내적 지속, 다시 말하면 우리의 심적(心的) 지속(그리고 이것과 우리의 정서 활동)은 베르그송이 믿는 대로 '연속된' 흐름이거나 무형적이지도 않고 또 시간성의 구조를 지니지 못하는 것도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우리 내부에서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에 기초한 형태를 취하고,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은 맥박에 기초하여 그 형태를 얻기 때문이다. 맥박 또한 심장의 규칙적 반복성, 즉 수축과 팽창에 의해 결정된다. 이처럼 외적 시간이, 주기적인 기원을 갖는 것이라면, 우리의 신체적·심리적 시간은 규칙적 반복성의 기원을 갖는 것이 된다. 이 말은 심리적 시간의 모든 단위가, 선험적으로 기초적인 이원적 혹은 삼원적인 규칙적 반복성 위에 세워진 상부 구조하는 뜻이다. 실제로 2와 3이라는 숫자는 더하거나 곱함으로써 다른 모든 숫자를 얻을 수 있는(그리고 곱하기란 간략화 된 더하기이다) 진정한 소수(素數)들이다. '하나' 는 언제나 추상적인 요소이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숫자' 들과 연관되는 함축적 요소이다. 그리고, 이원적 혹은 삼원적 규칙적 반복성은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의 최초 두 요소이다. 우리가 계속적이고 규칙적인 어떤 활동을 할 때 걷거나, 글을 쓰거나, 일반적으로 일을 할 때에는 우리의 호흡 박자는 저절로, 들이마시고 내뿜는 것이 동일한 지속을 갖는 이원적 형태를 취한다. 이것이 강박(强拍)-약박(弱拍), '아르시스(arsis)-테시스(thesis)' 의 형태, 마티스 뤼씨(Mathis Lussy) 가 말한 대로 규칙적인 이원적 반복성이 생겨 나오는 '보정적(補整的)' 형태인 것이다. 반대로 쉬거나 수면을 취할 때의 호흡 박자는 저절로 세 박자의 형태, 다시 억음부(약박)가 양음부(강박) 보다 두 배의 지속을 갖는 보정적 형태를 얻는 것으로, 삼원적 규칙적 반복성의 근원이 된다.
독일어에서는 리듬의 규칙적 반복성이라는 표현을 쓰는 일이 절대로 없다. 다만 박자(Takt)라는 표현을 쓸 뿐인데 이 단어는 '정적' 인 박자를 나타내는 말이다. 반면에 규칙적 반복성이라는 표현은 '동적' 인 박자를 나타내는 것이다. 독일어에서 이 표현을 쓰는 것은 언제나 으뜸-딸림-으뜸, 혹은 으뜸- 버금딸림-으뜸과 같은 화성의 진행 경우나, 악곡이나 악절의 피날레 부분에서의 화성적인 종지를 장식하려고 '협주곡' 의 독주자가 연주하는 즉흥곡에 관해서일 뿐이다. 혹은 독일어로 병사들이 보조(步調)를 이야기할 때 쓰이지만, 이때의 규칙적 반복성이란 '강박' 과 '약박' 의 결과라는 사실은 무시한다. 마찬가지로 화성적인 규칙적 반복성이란, 이것이 동시에 리듬적이며 시간성의 규칙적 반복성이 아니라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요컨대 음악 가운데에는 리듬적인 규칙적 반복성임과 동시에 조성적인 규칙적 반복성이 아닌 것과,조성적인 규칙적 반복성임과 동시에 리듬적인 규칙적 반복성이 아닌 것은 하나도 없는 것이다. 물론 리듬적인 그것이 조성적 우연성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고, 단지 타악기에 의해서만 생길 수도 있지만, 그렇다면 이것은 더 이상 음악이 아니라 리듬일 뿐이다. 따라서 리듬의 규칙적 반복성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은 완전해야 합법적인 것이 된다 .또 한번 음악적 리듬의 규칙적 반복성이라는 본질이 이 리듬으로부터 모든 기계적 성격을 제거해 버린다는 점을 주목해야한다. 물론 선율적 표현이 리듬이 구조에 기인하고, 음악적 진행의 동력학적(cinetique) 특성이 하나의 악구나 악절을 통해 계속 유지되어야 하는 한, 규칙적 반복성은 엄격하게 지켜져야만 한다. 그러나 '규칙적 반복성의 구조가 정적이고 일관적인 것이 되기 위해서는' 템포의 약간의 변동은 가능한 것이다. 비엔나의 왈츠의 경우, 반주 부분의 엇박(contretemps) 은 약하게 당겨진(syncope)것이 된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왈츠의 삼원적인 규칙적 반복성의 특수한 성격을 강조하는 것뿐이다. 그러니까 선율적 반복성 그 자체는 왈츠의 규칙적 반복성이 그 구조에 있어 아무런 변화를 갖지 않아도, 맥이 풀려 버리거나 혹은 활기를 띨 수가 있는 것이다.
♠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
우리의 모든 심적 활동(우리의 정서 활동)이 형태를 얻게 되는 것은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 즉 심적 활동을 측정해 낼 수 있는 시간의 단위를 제공하는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인 것이다. 모든 외부적인 영향과 우리 의지의 개입이 없다면, 호흡의 규칙적 반복성은 저절로 일정하고 정돈된 두 가지 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우리가 '이 세상 내에서 활동중' 일 때에는 이원적 형태를 취한다.
또 쉬거나 잘 때, 다시 말하면 이 세상과 대면해서 우리 스스로가 자신을 돌아볼 때에는 삼원적 형태를 취한다.
기본적인 이 두 가지 규칙적 반복성은 우리에게 음악적 시간이 근거로 삼을 수 있는 두 가지 시간의 단위를 제공한다. 그 하나는 2가의 지속(8분 음표, 4분 음표, 2분 음표, 온음표)이 되고 다른 하나는 3가의 지속( 점 8분, 점 4분, 점 2분, 점 온음표)이 된다. 이 지속들이 이미 기초적인 규칙적 반복성의 상부 구조가 되고 있다는 사실은 우리로 하여금 기본적인 시간 단위들이 세분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이해하게 해주고, 내가 이 시간 단위의 기원에 관해 이야기한 이원성과 삼원성에 의한 시간의 음악적 사용이라는 것이 전혀 임의적인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것은 의미를 갖는 것이고 잘 정의된 감성적 상황들에 대응하는 것이다.

키워드

리듬,   박자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6.16
  • 저작시기200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9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