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공공선택론의 기본 가정과 방법론상의 특징
(1) 합리성
(2) 방법론적 개인주의
(3) 합리적 인간과 비합리적 사회
3. 공공선택론의 발전과정 및 주요 저작과 성과
4. 한국 정치학계에서의 공공선택론 연구 현황
5. 결론
2. 공공선택론의 기본 가정과 방법론상의 특징
(1) 합리성
(2) 방법론적 개인주의
(3) 합리적 인간과 비합리적 사회
3. 공공선택론의 발전과정 및 주요 저작과 성과
4. 한국 정치학계에서의 공공선택론 연구 현황
5. 결론
본문내용
공공선택론의 가정이 갖는 현실적으로 강한 설명력과 무관하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대적으로 공공선택론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뒤쳐지는 한국 정치학계에서도 향후 공공선택론적 접근방식을 활용한 보다 큰 학문적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참 고 문 헌 -
강원택. 2003.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34집 2호,
pp. 51-67.
김욱. 2005. “한국 유권자의 투표 참여에 대한 통합적 연구방향의 모색: 일반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진영재 편. 『한국의 선거 IV: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푸른길, pp. 373-405.
김재한. 1995. 『게임이론과 남북한 관계: 갈등과 협상 및 예측』. 한울.
김재한. 1994. “한국 거대여당 체제의 등장과 쇠퇴”. 김재한 편. 『정당구도론』, 나남,
pp. 13-44.
김재한. 1994. “제도적 정치과정과 한국경제: 14대 대선을 중심으로“. 김우택 외 『시장경제와 한국의 자본주의』. 소화, pp. 447-472.
김종표, 박경산. 1992. “선거와 정치적 경기순환”. 『선거와 한국정치』. 한국정치학회.
김희민. 1994. " 한국 3당 합당의 원인과 결과“, 김재한 편 『정당구도론』, 나남,
pp. 45-84.
박찬욱. 2003. “다운즈의 선거정치에 관한 경제학적 이론”. 안청시, 정진영 편. 『현대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가들』. 아카넷, pp.253-294.
박효종. 1994. 『합리적 선택과 공공재 II』. 인간사랑.
안순철. 2005. “16대 총선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 분석”. 진영재 편. 『한국의 선거 IV: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푸른길, pp.61-100.
윤홍근, 유석진. 1995. “정치적 시장과 렌트추구행위: 이익집단 정치의 재조명”. 양운철 편. 『렌트추구행위의 사회적 비용』. 세종연구소, pp.187-251.
임혁백. 1994. 『시장, 국가, 민주주의: 한국 민주화와 정치경제이론』. 나남.
정진영. 1992. “경제와 선거 - 정치적 경기순환론과 6공화국의 정치경제”. 『선거와 한국정치』. 한국정치학회.
조기숙 1996. 『합리적 선택: 한국의 선거와 유권자』. 한울.
황수익. 2006. “공공선택이론의 방법론적 특징과 학제적 연구”. 한국공공선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황수익. 1989. “사회행위의 의도되지 않은 결과, 기능적 설명, 그리고 개인주의적 설명”. 『한국정치학회보』 23호, pp.372-384.
황수익. 1985. "정치학과 합리적 선택 접근법". 『한국정치학회보』 19호, pp.33-46.
Arrow, Kenneth. 1951. Social Choice and Individual Values. New York: John Wiley.
Barry, Brian. 1970. Sociologists, Economists and Democracy. London:
Collier-Macmillan.
Downs, Anthony. 1957.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New York: Harper and Low.
Black, Duncan. 1948. "On the rationale of group decision-making".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56, pp. 23-34.
Buchanan, James. 1949. "The pure theory of government finance: a suggested approac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57, pp.496-506.
Buchanan, James and Gordon Tullock. 1962. The Calculus of Consent: Logical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Democrac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Fiorina, Morris. 1989. "Is Negative Voting an Artifac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3, pp.423-39.
Green Donald and Ian Shapiro. 1994. Pathologies of Rational Choice Theory: A critique
of applications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Hotelling, Harold. 1929. "Stability in Competition". Economic Journal vol.39, pp.41-57.
Krueger, Anne. 1974. "The political economy of rent-seeking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4, pp. 291-303.
Mueller, Dennis. 2003. Public Choice 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Niskanen, William. 1971. Bureaucracy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Chicago: Aldine-Atherton.
Olson, Mancur.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Rowley, Charles. 2004. "Public choice and Constitutional Political Economy", in
Rowley and Schneider (eds). The Encyclopedia of Public Choice. vol.1.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Tullock, Gordon. 1967. "The welfare costs of tariffs, monopolies and theft". Western Economic Journal vol.5, pp.224-232.
- 참 고 문 헌 -
강원택. 2003.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학회보』 34집 2호,
pp. 51-67.
김욱. 2005. “한국 유권자의 투표 참여에 대한 통합적 연구방향의 모색: 일반이론의 효용성에 대한 방법론적 논의를 중심으로”. 진영재 편. 『한국의 선거 IV: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푸른길, pp. 373-405.
김재한. 1995. 『게임이론과 남북한 관계: 갈등과 협상 및 예측』. 한울.
김재한. 1994. “한국 거대여당 체제의 등장과 쇠퇴”. 김재한 편. 『정당구도론』, 나남,
pp. 13-44.
김재한. 1994. “제도적 정치과정과 한국경제: 14대 대선을 중심으로“. 김우택 외 『시장경제와 한국의 자본주의』. 소화, pp. 447-472.
김종표, 박경산. 1992. “선거와 정치적 경기순환”. 『선거와 한국정치』. 한국정치학회.
김희민. 1994. " 한국 3당 합당의 원인과 결과“, 김재한 편 『정당구도론』, 나남,
pp. 45-84.
박찬욱. 2003. “다운즈의 선거정치에 관한 경제학적 이론”. 안청시, 정진영 편. 『현대정치경제학의 주요 이론가들』. 아카넷, pp.253-294.
박효종. 1994. 『합리적 선택과 공공재 II』. 인간사랑.
안순철. 2005. “16대 총선의 이데올로기적 예측공간 분석”. 진영재 편. 『한국의 선거 IV: 16대 총선을 중심으로』. 푸른길, pp.61-100.
윤홍근, 유석진. 1995. “정치적 시장과 렌트추구행위: 이익집단 정치의 재조명”. 양운철 편. 『렌트추구행위의 사회적 비용』. 세종연구소, pp.187-251.
임혁백. 1994. 『시장, 국가, 민주주의: 한국 민주화와 정치경제이론』. 나남.
정진영. 1992. “경제와 선거 - 정치적 경기순환론과 6공화국의 정치경제”. 『선거와 한국정치』. 한국정치학회.
조기숙 1996. 『합리적 선택: 한국의 선거와 유권자』. 한울.
황수익. 2006. “공공선택이론의 방법론적 특징과 학제적 연구”. 한국공공선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황수익. 1989. “사회행위의 의도되지 않은 결과, 기능적 설명, 그리고 개인주의적 설명”. 『한국정치학회보』 23호, pp.372-384.
황수익. 1985. "정치학과 합리적 선택 접근법". 『한국정치학회보』 19호, pp.33-46.
Arrow, Kenneth. 1951. Social Choice and Individual Values. New York: John Wiley.
Barry, Brian. 1970. Sociologists, Economists and Democracy. London:
Collier-Macmillan.
Downs, Anthony. 1957. An Economic Theory of Democracy. New York: Harper and Low.
Black, Duncan. 1948. "On the rationale of group decision-making".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56, pp. 23-34.
Buchanan, James. 1949. "The pure theory of government finance: a suggested approach".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57, pp.496-506.
Buchanan, James and Gordon Tullock. 1962. The Calculus of Consent: Logical Foundation of Constitutional Democracy.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Fiorina, Morris. 1989. "Is Negative Voting an Artifac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3, pp.423-39.
Green Donald and Ian Shapiro. 1994. Pathologies of Rational Choice Theory: A critique
of applications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Hotelling, Harold. 1929. "Stability in Competition". Economic Journal vol.39, pp.41-57.
Krueger, Anne. 1974. "The political economy of rent-seeking society".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64, pp. 291-303.
Mueller, Dennis. 2003. Public Choice III, Cambridge University Press.
Niskanen, William. 1971. Bureaucracy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Chicago: Aldine-Atherton.
Olson, Mancur. 1965.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Rowley, Charles. 2004. "Public choice and Constitutional Political Economy", in
Rowley and Schneider (eds). The Encyclopedia of Public Choice. vol.1. Boston: Kluwer Academic Publisher.
Tullock, Gordon. 1967. "The welfare costs of tariffs, monopolies and theft". Western Economic Journal vol.5, pp.224-232.
추천자료
2007년 1학기 공공관리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전통적 관리와 TQM의 의미와 차이점)
2011년 2학기 공공관리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국가 경쟁력 강화와 기업 생존 전략을 위한 신공공관리론 입장에서 새로운 정책 패러다임의 ...
2013년 2학기 공공관리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2학기 공공관리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공공관리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2학기 공공관리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2학기 공공관리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공공관리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공공관리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공공관리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공공관리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공공관리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행정학과 공공관리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