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도 감염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기도 감염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상기도 감염의 개요

2. 편도선염(Tonsilitis)
1) 편도선염의 정의, 원인
2) 편도선염의 증상 및 진단
3) 편도선염의 치료방법
4) 처방전

3. 인두염(pharyngitis)
1) 인두염의 원인
2) 인두염의 증상 및 진단
3) 인두염의 치료방법
4) 인두염의 처방전

4. 부비강염(Sinusitis); 축농증
1) 부비강염의 개요, 원인, 병태생리
2) 부비강염의 증상 및 진단
3) 부비강염의 치료방법

5. 후두개염(epiglottitis)
1) 후두개염의 개요, 원인 및 병태생리
2) 후두개염의 증상 및 진단
3) 후두개염의 치료 방법

7. 최신 약물과 치료
1) 서론
2) 특이적 항생제 요법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상기도 감염의 개요
상기도 시스템(upper respiratory system)은 간단히 말해서 목 위로의 호흡기 부분을 일컫는 것이다. 자세히 말하면 코, 인두(pharynx), 후두(larynx), 후두개(epiglottis), 편도(tonsils), 중이(middle ear), 공동(sinus) 등을 포함하는 모든 부분이다.
상기도 시스템은 공기를 통하여 오는 병원균에 대한 몇 가지 방어체계를 가지고 있다. 코에 있는 coarse hair는 공기 중의 커다란 입자를 걸러주고 코와 목구멍의 상부에 있는 점막(mucous membrane)에는 cilia와 점액분비세포가 있다.
점막은 상부기도로 들어온 공기를 습하게 하고, 직경이 4 -5μm 이상의 먼지와 미생물을 잡아서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 cilia를 이용해 입 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코와 목의 연접부위에는 특정 감염에 대한 면역을 담당하는 lymphoid 조직과 편도선과 인두편도(adenoids)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어체계에도 불구하고 상기도 부분은 감염되기 쉬우며, 코와 목구멍은 sinus, nosolacrimal apparatus, 중이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감염은 대개 한곳에서 여러 곳으로 퍼진다. 따라서 어느 한곳에 감염이 되어 염증이 생길 경우 신속히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부분으로 균이 전염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목 내부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거나 목이 욱신욱신 아픈 것은 인두염(pharyngitis), 후두에 감염되어 말하기가 어려울 때 후두염(laryngitis)이라 한다. 비강(nasal sinus)에 S. pneumoniae나 Hemophilus에 의해 감염되어 코점막에 염증이 생기고 이상이 생겼을 때는 sinusitis(축농증)이라 하는데 염증에 의해 비강이 막혀서 내압으로 인해 통증과 두통이 생긴다.
상기도 감염 중 가장 치명적인 것은 바로 후두개염(epiglottitis)으로 응급처치를 하지 않을 경우 수 시간 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2. 편도선염(Tonsilitis)
1) 편도선염의 정의, 원인
편도선은 입의 뒷부분에 있는 림프절이다. 이것은 체내에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박테리아나 그 외의 미생물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상기도를 침범하는 미생물에 대항하는 방어벽이다). 세균이 이곳에 침입하여 부어오르고 염증을 일으킬 때 편도선염이라고 한다. 구개편도와 설편도가 침범 받을 수 있으나 설편도의 감염은 흔하지 않다. 급성편도선염은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이거나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의 이차감염으로 발생하는데, 원인이 되는 세균은 흔히 β-용혈성구균(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us)이며 그 외에 연쇄상구균, 포도상구균, 폐렴쌍구균 등이 있다. 주로 환절기나 지나친 노작으로 인한 과로, 수면 부족일 때 발생한다. 만성 편도선염은 급성염증 뒤에 나타나며 편도선 뒤에 남아있던 농양이 재발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6.18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6201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