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최재형은 어떤 인물이었나.
2. 최재형의 과거
3. 동의회 발족
4. 최재형과 동의회의 활약
5. 안중근과 거사를 도모
6. 최재형의 최후
7. 후기
8. 참고자료
2. 최재형의 과거
3. 동의회 발족
4. 최재형과 동의회의 활약
5. 안중근과 거사를 도모
6. 최재형의 최후
7. 후기
8. 참고자료
본문내용
포되었다. 제포된 최재형은 취조도 재판도 없이 곧 바로 총살형에 처해졌다.
7. 후기
최재형은 러시아 국적을 가진 자산가로서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면서 편히 여생을 누릴 수 있었으나, 최재형은 그의 재산과 목숨을 항일독립운동에 바쳤다. 그러나 후대에 최재형을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더 나아가, 독립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전사자들의 이름을 밝히려고 애썼는가? 일제·친일파의 잔재들을 청산했는가? 아니다. 우리들 중 대다수는 최재형을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기억한다고 해도, 그저 권업회의 초대 회장 정도로만 기억을 할 것이다. 그리고 독립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전사자들의 이름을 밝히려고 애쓰지도 않았으며, 친일파와 일제의 잔재들도 청산하지 못했다. 물론, 945년 8월 15일 이후 미군정이 현상유지를 위해 친일파 관료·경찰들의 지위를 유지시켜주었다는 이유와 이념 갈등이라는 이유가 있었지만, 우리의 노력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다. 또, 친일파와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려면 아직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최재형 외에 이름 모를 독립투사들을 기억하기에 너무 늦었을까? 《한국사傳》에 '기억하고 보존하기에 이미 늦어버린 역사란 아무것도 없다.'라는 구절이 있다. 그렇다. 우리가 그들을 기억하려고 조금이라도 애쓴다면, 그것은 늦은 것이 아닐 것이다.
8. 참고자료
1) KBS한국사傳제작팀 《한국사傳 5권》,〈한겨레출판, 2008년〉
2) KBS 《한국사傳 33회 잊혀진 기록,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2008년 3월 1일]》,
7. 후기
최재형은 러시아 국적을 가진 자산가로서 남부럽지 않은 삶을 살면서 편히 여생을 누릴 수 있었으나, 최재형은 그의 재산과 목숨을 항일독립운동에 바쳤다. 그러나 후대에 최재형을 기억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더 나아가, 독립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전사자들의 이름을 밝히려고 애썼는가? 일제·친일파의 잔재들을 청산했는가? 아니다. 우리들 중 대다수는 최재형을 기억하지 못할 것이다. 기억한다고 해도, 그저 권업회의 초대 회장 정도로만 기억을 할 것이다. 그리고 독립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전사자들의 이름을 밝히려고 애쓰지도 않았으며, 친일파와 일제의 잔재들도 청산하지 못했다. 물론, 945년 8월 15일 이후 미군정이 현상유지를 위해 친일파 관료·경찰들의 지위를 유지시켜주었다는 이유와 이념 갈등이라는 이유가 있었지만, 우리의 노력이 부족했던 것은 사실이다. 또, 친일파와 일제의 잔재를 청산하려면 아직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하지만, 최재형 외에 이름 모를 독립투사들을 기억하기에 너무 늦었을까? 《한국사傳》에 '기억하고 보존하기에 이미 늦어버린 역사란 아무것도 없다.'라는 구절이 있다. 그렇다. 우리가 그들을 기억하려고 조금이라도 애쓴다면, 그것은 늦은 것이 아닐 것이다.
8. 참고자료
1) KBS한국사傳제작팀 《한국사傳 5권》,〈한겨레출판, 2008년〉
2) KBS 《한국사傳 33회 잊혀진 기록,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2008년 3월 1일]》,
추천자료
[A+]미국,영국,한국의 사회복지 역사에 관한 종합적인 고찰에 관한 보고서
마술적 사실주의의 역사적 맥락과 한국문학에서의 마술적 사실주의
한국과 영국의 사회복지 역사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에 관하여 - 근현대사 부분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 왜곡배경, 대응방안, 한국의 대응, 역사와 진실
한국 근현대사 인식의 쟁점
[1960년대 미술][1960년대 한국화][1960년대 역사][문학][시인][국립극장]1960년대의 미술, 1...
[1960년대][미국역사][노동운동][한국경제성장][근대화][음악감상실]1960년대의 미국역사, 19...
[한국광복군, 한국광복군 역사, 한국광복군 배경, 한국광복군 창군, 한국광복군 연구, 영국공...
현행『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수정 파동과 <교과서 포럼>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문제에 대해서 - 역사가의 책임과 소양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왜...
『한국 근현대사』 독후감입니다. 제가 직접 작성하였습니다.
근현대사 - 일본의 역사왜곡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