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논술형 평가 방식의 특성
III. 논술 능력 평가 기준 설정 원리
IV. 논술 능력 평가 기준 시안
V. 논술 교육의 방향
II. 논술형 평가 방식의 특성
III. 논술 능력 평가 기준 설정 원리
IV. 논술 능력 평가 기준 시안
V. 논술 교육의 방향
본문내용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 대회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김민애(1993).「쓰기 지도를 위한 과제 진술 방법 연구」. 서울대 석사 학위 논문.
김정자(1992). 「쓰기 평가 방법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봉순(1997).\"쓰기 영역 교육과정 평가의 체제.\" 97 국어교육연구소 학술 발표회 자료집.
노명완(1990).\"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학술 세미나 국어 교육 개선 방안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도순.장석우(1993). 「새 대학입학 시험제도」. 중앙교육진흥연구소.
박영목(1987). \"작문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제약.\"「국어교육」61·6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영목.이인제.남미영(1991).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교육 평가 체제 연구(II) -국어과
평가체제 모형 개발 및 도구 예시-」. 한국 교육개발원.
박영목(1994).\"논술 지도의 원리와 절차.\" 「논술 지도의 실제」.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박인기(1997). \"평가 전략 및 평가 도구로서의 논술.\"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 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배향란(1994). 「쓰기의 총체적 평가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 학위 논문.
백순근 외(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국립교육평가원.
백순근(1997). \"논술 능력에 대한 경험적 분석-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를 중심으 로-.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 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우한용 외(1996). 「제2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 대회 연구 보고서 96-1」.
서울대 국어교육 연구소.
원진숙(1995). 「논술 교육론」. 박이정.
원진숙(1997). \"논술 능력 평가 기준과 평가 방법 연구.\"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 회 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원진숙·황정현(1998). 글쓰기의 문제해결적 전략. 동문선.
이삼형(1994). \"논술의 평가\". 「논술 지도의 실제」. 서울시 교육위원회.
이성영(1997). \"논술 능력의 개념과 평가 요소.\"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 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강식(1996). \"논술의 평가\", 「한국초등국어교육」1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철학회(1996). 「논술 지도 교사 및 출제자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한철우·이인제(1990).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교육 평가 체제의 연구(1):국어과 교육의
역할 및 평가 방향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허경철(1988).\"객관식 일변도 평가 방식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敎育科程硏究」7.
한국교육학회 교육과정 연구회.
黃禎奎(1984). 「學敎學習과 敎育評價」. 敎育科學社.
Davis B. G., Schriven M., Thomas S.(1987). The Evaluation of Composition Instruction.
Teachers College Press.
Gorman, T.P., Purves, A.C. & Degenhart, R.E.(ed) The IEA Study of Written Composition 1 :
The International Writing Task and Scoring Scale. Pergamon Press.
Gronlund, N.E. & Linn, R.L(1990).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6th ed.
N.Y.: Coller Macmillan Publishing Co.
Faigley, L., Cherry, R.D., Jolliffe D, A. Skinner, A. M.(1985). Assessing Writer\'s Knowledge
and Processes of Composing. Ablex.
Higgs, T. V.(ed) Teaching for Proficiency, the Organizing Principle. National Textbook
Compony.
Hirsch, E.D., Jr(1977) The Philosopy of Compos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uff R., Kline C. R., Jr(1987). The Contemporary Writing Curriculum-Rehearing, Composing,
and Valuing. Teachers College Press.
Odell. L.(1993). \"Writing Assessment and Learning to Write: A Classroom Perspective\". in
Theory and Practice in the Teaching of Writing: Rethinking the Disciplin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ark, Young-Mok(1986). The Influence of the Task:Upon Writing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Purves A. C, Gorman T.P and Takala S(1988).\"The Development of the Scoring Scheme
and Scales.\" The IEA Study of Written Composition 1: The International Writing
Tasks and Scoring Scales. Pergamon Press.
Purves A. C.(1992). \"Reflections on Research and Assessment in Written Composition\".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vol.26. No.1.
White E. M.(1988). Teaching and Assessing Writing. Jossey-Bass Publishers.
김민애(1993).「쓰기 지도를 위한 과제 진술 방법 연구」. 서울대 석사 학위 논문.
김정자(1992). 「쓰기 평가 방법 연구」 서울대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김봉순(1997).\"쓰기 영역 교육과정 평가의 체제.\" 97 국어교육연구소 학술 발표회 자료집.
노명완(1990).\"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학술 세미나 국어 교육 개선 방안 연구」.
서울대 국어교육과
박도순.장석우(1993). 「새 대학입학 시험제도」. 중앙교육진흥연구소.
박영목(1987). \"작문의 인지적 과정에 대한 제약.\"「국어교육」61·6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영목.이인제.남미영(1991).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교육 평가 체제 연구(II) -국어과
평가체제 모형 개발 및 도구 예시-」. 한국 교육개발원.
박영목(1994).\"논술 지도의 원리와 절차.\" 「논술 지도의 실제」.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박인기(1997). \"평가 전략 및 평가 도구로서의 논술.\"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 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배향란(1994). 「쓰기의 총체적 평가 방법 연구」. 한국교원대 석사 학위 논문.
백순근 외(1996).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국립교육평가원.
백순근(1997). \"논술 능력에 대한 경험적 분석-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를 중심으 로-.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 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우한용 외(1996). 「제2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 대회 연구 보고서 96-1」.
서울대 국어교육 연구소.
원진숙(1995). 「논술 교육론」. 박이정.
원진숙(1997). \"논술 능력 평가 기준과 평가 방법 연구.\"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 회 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원진숙·황정현(1998). 글쓰기의 문제해결적 전략. 동문선.
이삼형(1994). \"논술의 평가\". 「논술 지도의 실제」. 서울시 교육위원회.
이성영(1997). \"논술 능력의 개념과 평가 요소.\" 「제3회 전국 중·고등학생 논술 경시대회 논술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주강식(1996). \"논술의 평가\", 「한국초등국어교육」12.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한국철학회(1996). 「논술 지도 교사 및 출제자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한철우·이인제(1990).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교육 평가 체제의 연구(1):국어과 교육의
역할 및 평가 방향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허경철(1988).\"객관식 일변도 평가 방식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敎育科程硏究」7.
한국교육학회 교육과정 연구회.
黃禎奎(1984). 「學敎學習과 敎育評價」. 敎育科學社.
Davis B. G., Schriven M., Thomas S.(1987). The Evaluation of Composition Instruction.
Teachers College Press.
Gorman, T.P., Purves, A.C. & Degenhart, R.E.(ed) The IEA Study of Written Composition 1 :
The International Writing Task and Scoring Scale. Pergamon Press.
Gronlund, N.E. & Linn, R.L(1990).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Teaching. 6th ed.
N.Y.: Coller Macmillan Publishing Co.
Faigley, L., Cherry, R.D., Jolliffe D, A. Skinner, A. M.(1985). Assessing Writer\'s Knowledge
and Processes of Composing. Ablex.
Higgs, T. V.(ed) Teaching for Proficiency, the Organizing Principle. National Textbook
Compony.
Hirsch, E.D., Jr(1977) The Philosopy of Composit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uff R., Kline C. R., Jr(1987). The Contemporary Writing Curriculum-Rehearing, Composing,
and Valuing. Teachers College Press.
Odell. L.(1993). \"Writing Assessment and Learning to Write: A Classroom Perspective\". in
Theory and Practice in the Teaching of Writing: Rethinking the Disciplin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Park, Young-Mok(1986). The Influence of the Task:Upon Writing Performanc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Purves A. C, Gorman T.P and Takala S(1988).\"The Development of the Scoring Scheme
and Scales.\" The IEA Study of Written Composition 1: The International Writing
Tasks and Scoring Scales. Pergamon Press.
Purves A. C.(1992). \"Reflections on Research and Assessment in Written Composition\".
Research in the Teaching of English. vol.26. No.1.
White E. M.(1988). Teaching and Assessing Writing. Jossey-Bass Publishers.
추천자료
우리나라 대학입학전형제도
[대학입시제도][대입제도]대학입시제도(대입제도) 발전과정, 대학입시제도(대입제도) 특성, ...
수학교육론13
주장하는 글(논설문)의 개념, 주장하는 글(논설문)의 목적, 주장하는 글(논설문)의 쓰는 순서...
2008년 2학기 교육문제연구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교육의 주체관련 문헌비판)
[논설문][논설문 예문][논설문 사례]산불조심 관련 논설문 예문, 에너지 관련 논설문 예문, ...
독서지도 계획서
공지영의 도가니를 읽고 책의 주제가 어떤 면에서 여성복지론과 관련 있는지에 대해 자신의 ...
프랑스의 대입 입시제도 - 바깔로레아(Baccalauréat)
상담사례보고서
[대한민국사교육문제]입시제도,입시전쟁,대학수학능력시험,한국 교육열,사교육열풍 레포트
유아기는 왜 중요한지 신체, 언어, 사회성, 인지, 창의성 발달 부분으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
아동기(7~12세) 단체놀이에서 실패경험이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복지 실천방안에 ...
법률의 취지에 어긋나는 위임명령이 발견되는 경우, 국회의 정부에 대한 시정요구는 헌법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