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1. Venturi tube를 지나는 유동
1. 계산식
2. 실험과정
3. 실험결과
4. 검토 및 고찰
실험2. 유동가시화
1. 계산식
2. 실험과정
3. 실험결과
4. 검토 및 고찰
1. 계산식
2. 실험과정
3. 실험결과
4. 검토 및 고찰
실험2. 유동가시화
1. 계산식
2. 실험과정
3. 실험결과
4. 검토 및 고찰
본문내용
에서는 층류구간과 난류구간의 NRe는 1600과 9846으로 각각의 조건이 층류와 난류구간에서의 조건에 상응하므로 올바른 결과가 나왔다고 볼 수 있으나, 천이구간에서는 2100<NRe4000의 조건 밖에 위치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실험 시 난류구간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지 않았으나, 층류와 천이구간의 유동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 상당히 어려웠다. 이것은 장비의 노화라는 측면도 있겠지만, 측정 하는 사람마다 유동형성오차와 잉크의 양 조절에 있어서도 약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도 있음을 전적으로 보여주는 예라고 볼 수 도 있다. 또, 메스실린더의 담긴 물의 양과 시간의 측정이 기계로 하는 것이 아니라 순수 개개인의 능력으로 측정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것을 증명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예로서는 바로 1번째 실험과 2번째 실험과의 물의 양과 시간 측정이 다소 다름을 보고 알 수 있다. 2번째 실험에서도 각각의 구간별로 조금씩 벗어나기는 했지만, 여러 가지 오차 등의 상황을 종합해 보면 비교적 양호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잉크의 유동상황을 관찰, 즉 유동가시화 실험을 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는 것이 좋은 경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