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박수
1.1 심박수란
1.2 심박수의 의미
1.3 심박수 측정법
1.4 심박수의 이용
2. 근전도(EMG)
2.1 근전도란
2.2 근전도의 의미
2.3 근전도 측정법
2.4 근전도의 이용
3. 실험설계
1.1 심박수란
1.2 심박수의 의미
1.3 심박수 측정법
1.4 심박수의 이용
2. 근전도(EMG)
2.1 근전도란
2.2 근전도의 의미
2.3 근전도 측정법
2.4 근전도의 이용
3. 실험설계
본문내용
1. 심박수
1.1 심박수란
심장이 혈액을 전신에 보낼 때에 고동치는 속도, 즉 매 분당 박동수를 말하며 이는 활동근의 산소 요구량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노동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상승함
<네이버 용어사전>
심장은 심실의 수축, 이완활동을 지속한다. 심실의 수축, 이완활동을 한번의 박동수로 정하고 1분 동안의 박동수를 측정한 것이 심장의 심박수 이다. 일반적으로 심실의 수축은 약 0.3초 이완은 약 0.5초간 지속되어 약 0.8초의 주기를 가지어 1분에 약 70주기가 반복된다.
1.2 심박수의 의미
심박수는 특정한 상황에서의 심장에 걸린 부하의 정도와 심장의 1회박출량(심장이 1회 박동시 뿜어내는 혈액의 량)을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심박수는 노동부담이 증감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으로 심박수가 높게 측정될 경우 노동부담이 증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심장의 1회박출량에 대해 생각해보자.
Q = HR x SV
Q: Cardiac output (심박출량)
1분 동안에 심장의 좌심실에서 뿜어내는 혈액의 양.
HR: Heart rate (분당 심박수)
1분 동안에 심장의 좌심실이 수축하는 횟수.
SV: Stroke volume (1회 박출량)
심장의 좌심실이 1회 수축할 때 뿜어내는 혈액의 양.
왼쪽의 표를 참고하며 노동부담이 일정한 상황에서 A라는 사람은 90의 심장박동수, B는 180의 심장박동수를 나타냈다고 생각해보자. HR 값이 A=90, B=180을 나타낼 것이다. 특정한 노동이기 때문에 1분 동안에 필요한 혈액의 량 Q는 일정하다고 생각하면 일정한 Q를 만들기위해 1회 박출량 SV는 A가 B보다 2배 클 것이다. 높은 SV는 일반적으로 좋은 심장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된다.
1.3 심박수 측정법
분당 심박수 측정 방법
심박수는 경동맥이나 요골동맥에 인지와 검지를 살짝 대고 박동을 느끼면서 측정한다.
안정시에는 15초간 측정하여 4를 곱하고, 운동 직후에는 6초간 측정하여 10을 곱하는데 운동 직후에는 심박수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운동 동작이 끝난 후 5초 내에 초침이 있는 시계를 보면서 측정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정시 심박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30분 정도 안정을 취하고 측정하는데,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난 직후 측정하는 것을 권한다.
출처: http://dragon.dju.ac.kr/~bwkim/hr.html
위와 같은 측정방법도 있지만 우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것이다.
1.1 심박수란
심장이 혈액을 전신에 보낼 때에 고동치는 속도, 즉 매 분당 박동수를 말하며 이는 활동근의 산소 요구량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므로 노동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상승함
<네이버 용어사전>
심장은 심실의 수축, 이완활동을 지속한다. 심실의 수축, 이완활동을 한번의 박동수로 정하고 1분 동안의 박동수를 측정한 것이 심장의 심박수 이다. 일반적으로 심실의 수축은 약 0.3초 이완은 약 0.5초간 지속되어 약 0.8초의 주기를 가지어 1분에 약 70주기가 반복된다.
1.2 심박수의 의미
심박수는 특정한 상황에서의 심장에 걸린 부하의 정도와 심장의 1회박출량(심장이 1회 박동시 뿜어내는 혈액의 량)을 나타내는 척도가 될 수 있다.
심박수는 노동부담이 증감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상승하는 경향이 있음으로 심박수가 높게 측정될 경우 노동부담이 증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심장의 1회박출량에 대해 생각해보자.
Q = HR x SV
Q: Cardiac output (심박출량)
1분 동안에 심장의 좌심실에서 뿜어내는 혈액의 양.
HR: Heart rate (분당 심박수)
1분 동안에 심장의 좌심실이 수축하는 횟수.
SV: Stroke volume (1회 박출량)
심장의 좌심실이 1회 수축할 때 뿜어내는 혈액의 양.
왼쪽의 표를 참고하며 노동부담이 일정한 상황에서 A라는 사람은 90의 심장박동수, B는 180의 심장박동수를 나타냈다고 생각해보자. HR 값이 A=90, B=180을 나타낼 것이다. 특정한 노동이기 때문에 1분 동안에 필요한 혈액의 량 Q는 일정하다고 생각하면 일정한 Q를 만들기위해 1회 박출량 SV는 A가 B보다 2배 클 것이다. 높은 SV는 일반적으로 좋은 심장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된다.
1.3 심박수 측정법
분당 심박수 측정 방법
심박수는 경동맥이나 요골동맥에 인지와 검지를 살짝 대고 박동을 느끼면서 측정한다.
안정시에는 15초간 측정하여 4를 곱하고, 운동 직후에는 6초간 측정하여 10을 곱하는데 운동 직후에는 심박수가 급격히 감소하므로 운동 동작이 끝난 후 5초 내에 초침이 있는 시계를 보면서 측정을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안정시 심박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30분 정도 안정을 취하고 측정하는데,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난 직후 측정하는 것을 권한다.
출처: http://dragon.dju.ac.kr/~bwkim/hr.html
위와 같은 측정방법도 있지만 우리는 기계를 이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