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Introduction .................... 3
2.Objectives ...................... 3
3.Materials ....................... 3
4.Methods ....................... 3
5.Results ........................ 6
6.Discussion ..................... 7
2.Objectives ...................... 3
3.Materials ....................... 3
4.Methods ....................... 3
5.Results ........................ 6
6.Discussion ..................... 7
본문내용
4
0
4
4
2
2
4
2
2
9
2
7
1. 정자의 농도
정자농도= 한 칸의 정자수(n)×칸 수(5)×10000×희석배율(10배)
(희석배수는 10으로 한다.)
한 칸의 정자수= 5
칸 수= 5
▶농도=26×5×5×10⁴×10= 65,000,000
2. 정자의 운동성(활력)
직선적 직진 운동, 선회운동, 진자운동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정자의 운동성(%)= 직선운동 정자수/ 총 정자수 Ⅹ 100
총 정자수= 26
직선운동 정자수= 8
▶활력= 8/26 = 0.3077Ⅹ100 = 30%
6.Discussion
▶실험준비: 포장되어있는 정액과 실험도구(핀셋, 수술용 가위, petri dish, 혈구 계산판, 커버글라스, 슬라이드 글라스, 주사기, 광학현미경 등)가 준비되어 있었고, 박사님의 사전 실험을 통해 조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생식세포관찰: 저번 시간에 했던 실험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는 돼지의 정자와 난자의 세포를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정자는 염색과정을 통해 관찰하기 쉬웠다. 슬라이드 글라스가 깨끗하지 않아 염색약을 골고루 묻히기가 힘들었다. 실험이 끝난 후 사용한 실험 도구들을 깨끗이 씻고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해 뚜렷하게 제대로 관찰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웠다.
▶정액성상검사: 시간이 갈수록 움직이지 않고 죽는 정자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살아있는 정자도 눈금을 옮겨 가서 칸마다 정자의 수를 세는 것이 힘들었다. 이 전에 죽어있는 돼지 정자들을 보고 살아있는 정액을 보니 염색되어있는 정자들보다 관찰하기 힘들었지만 신기하고 신비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험후: 실험 후 난소와 정액, 티슈등을 모아 버리고 정리했다.
이번 실험은 동물 번식 생리학의 세 번째 실험이였다. 난포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것도 두 번째라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항상 현미경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어려워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 같다. 이번 실험은 직접 쥐를 죽이거나 돼지의 생식기관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추출되어 준비되어 있던 정자와 난소로 실험을 하는 것이라 깔끔했고 생명을 죽인다는 부담감이 없었다. 실험을 할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광학현미경 400배로 혈구계산판 눈금 맞추는 것이 가장 어렵다. 빨리 숙달되어 현미경을 다루는데 익숙해졌으면 좋겠다.
참고자료
동물번식생리학(실험) Animal Reproductive Physiology - 박영식 교수님
0
4
4
2
2
4
2
2
9
2
7
1. 정자의 농도
정자농도= 한 칸의 정자수(n)×칸 수(5)×10000×희석배율(10배)
(희석배수는 10으로 한다.)
한 칸의 정자수= 5
칸 수= 5
▶농도=26×5×5×10⁴×10= 65,000,000
2. 정자의 운동성(활력)
직선적 직진 운동, 선회운동, 진자운동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정자의 운동성(%)= 직선운동 정자수/ 총 정자수 Ⅹ 100
총 정자수= 26
직선운동 정자수= 8
▶활력= 8/26 = 0.3077Ⅹ100 = 30%
6.Discussion
▶실험준비: 포장되어있는 정액과 실험도구(핀셋, 수술용 가위, petri dish, 혈구 계산판, 커버글라스, 슬라이드 글라스, 주사기, 광학현미경 등)가 준비되어 있었고, 박사님의 사전 실험을 통해 조 실험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잘 이해할 수 있었다.
▶생식세포관찰: 저번 시간에 했던 실험의 연장선이라고 할 수 있는 돼지의 정자와 난자의 세포를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정자는 염색과정을 통해 관찰하기 쉬웠다. 슬라이드 글라스가 깨끗하지 않아 염색약을 골고루 묻히기가 힘들었다. 실험이 끝난 후 사용한 실험 도구들을 깨끗이 씻고 정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느꼈다.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해 뚜렷하게 제대로 관찰되지 않은 것 같아 아쉬웠다.
▶정액성상검사: 시간이 갈수록 움직이지 않고 죽는 정자수가 빠르게 증가했다. 살아있는 정자도 눈금을 옮겨 가서 칸마다 정자의 수를 세는 것이 힘들었다. 이 전에 죽어있는 돼지 정자들을 보고 살아있는 정액을 보니 염색되어있는 정자들보다 관찰하기 힘들었지만 신기하고 신비롭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험후: 실험 후 난소와 정액, 티슈등을 모아 버리고 정리했다.
이번 실험은 동물 번식 생리학의 세 번째 실험이였다. 난포에서 난자를 채취하는 것도 두 번째라 어렵지 않았다. 하지만 항상 현미경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추는 것이 어려워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 같다. 이번 실험은 직접 쥐를 죽이거나 돼지의 생식기관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추출되어 준비되어 있던 정자와 난소로 실험을 하는 것이라 깔끔했고 생명을 죽인다는 부담감이 없었다. 실험을 할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광학현미경 400배로 혈구계산판 눈금 맞추는 것이 가장 어렵다. 빨리 숙달되어 현미경을 다루는데 익숙해졌으면 좋겠다.
참고자료
동물번식생리학(실험) Animal Reproductive Physiology - 박영식 교수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