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 개요
2. 실제의 공진회로
2-1 직렬회로
2-2 병렬회로
2-3 병렬공진회로
3. 실험기기
2. 실제의 공진회로
2-1 직렬회로
2-2 병렬회로
2-3 병렬공진회로
3. 실험기기
본문내용
I_C = V OVER X_C = V OVER {-j {1 OVER omegaC}}
2-13
가 된다. 전체전류
I_r
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의하여
I_R
과
I_C
의 합이 된다. 그림 11-13(b)는 이와 같은 관계를 페이저도로 표시한 것이다. 즉,
THEREFORE I_r = I_R + I_C = V OVER R + j omegaCV = ( 1 OVER R + j omegaC)V
2-14
이다. 따라서 전체전류
I_r
의 크기와 편각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_r = SQRT { I_R ^2 + I_C ^2} = V TIMES SQRT {( 1 OVER R )^2 + (omegaC)^2 }
[A]
2-15
theta = tan^-1 omegaC OVER 1/R = tan^-1 omegaRC
[rad]
2-16
식 2-15로부터 어드미턴스를 계산해보면
Y= I_R OVER V = 1 OVER Z = 1 OVER R + j omegaC = G + jB
3-17
으로 표시되고,
G
와
B
의 크기는
G = 1 OVER R
,
B = omegaC
2-18
가 된다. 따라서 어드미턴스의 크기와 편각은
Y = SQRT {G^2 + B^2 } = SQRT { ( 1 OVER R )^2 + (omegaC)^2}
2-19
theta = tan^1 B OVER G = tan^-1 (R omega C)
2-20
이 된다.
실험기기
테스터,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교류전압계, 교류전류계
만능기판, 만능기판용 전선, 스트리퍼
저항 220 , 470 , 1.5k
2-13
가 된다. 전체전류
I_r
는 키르히호프의 전류법칙에 의하여
I_R
과
I_C
의 합이 된다. 그림 11-13(b)는 이와 같은 관계를 페이저도로 표시한 것이다. 즉,
THEREFORE I_r = I_R + I_C = V OVER R + j omegaCV = ( 1 OVER R + j omegaC)V
2-14
이다. 따라서 전체전류
I_r
의 크기와 편각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I_r = SQRT { I_R ^2 + I_C ^2} = V TIMES SQRT {( 1 OVER R )^2 + (omegaC)^2 }
[A]
2-15
theta = tan^-1 omegaC OVER 1/R = tan^-1 omegaRC
[rad]
2-16
식 2-15로부터 어드미턴스를 계산해보면
Y= I_R OVER V = 1 OVER Z = 1 OVER R + j omegaC = G + jB
3-17
으로 표시되고,
G
와
B
의 크기는
G = 1 OVER R
,
B = omegaC
2-18
가 된다. 따라서 어드미턴스의 크기와 편각은
Y = SQRT {G^2 + B^2 } = SQRT { ( 1 OVER R )^2 + (omegaC)^2}
2-19
theta = tan^1 B OVER G = tan^-1 (R omega C)
2-20
이 된다.
실험기기
테스터, 오실로스코프, 함수발생기, 교류전압계, 교류전류계
만능기판, 만능기판용 전선, 스트리퍼
저항 220 , 470 , 1.5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