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NE555를 이용한 LED 제작
1. NE555
2. LED
3. 저항, 전류, 전압
4. SMPS로 Ground잡는 방법 및 Ground의미
1. NE555
2. LED
3. 저항, 전류, 전압
4. SMPS로 Ground잡는 방법 및 Ground의미
본문내용
흐르게 되며 이를 초전도체라고 한다. 저항의 역수, 즉 1/R을 전도도라고 하며 (모)라고 하는 Ω의 역철자로 표시된다.
(2) 전류 : 전류 (電流, electric current))는 전위차에 의해 하전입자(전자, 정공, 이온 등)의 이동에 따른 전하의 흐름을 일컫는다. 전자는 음의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방향과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A)이다.
전류의 방향이 바뀌지 않고 계속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을 직류전류(直流電流), 전류의 방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는 것을 교류전류(交流電流)라 부른다. 교류전류의 크기는 보통 최대값의 배인 실효치가 쓰인다.
직류의 경우엔 (전압) = (전류) x (전기저항) 라는 옴의 법칙이 성립한다.
경우에 따라 저항이 없이 따라서 열로 손실이 없이 흐르는 전류를 초전도 전류라고 한다.
(3) 전압 : 전압(電壓) 또는 전위차(電位差)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에 있는 두 지점 간 전위의 차이로, 전기가 흐르게 하는 원인이다. 기전력(起電力)이라고도 한다. 단위는 볼트(V)이다.
전압은 두 지점이 갖는 전위에 대해 상대적인 물리량이기 때문에 하나의 지점만으로 전압을 측정할 수는 없다. 실제 측정에서 전압은 전기 회로 안의 두 지점을 측정하는 방식과 하나의 지점 만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쓰인다. 하나의 지점 만으로 전압을 측정할 때의 비교 지점은 접지(영어: ground)이며 이는 지구의 전위를 비교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전기의 전압 표시는 지구의 전위를 0 으로 보았을 때 전달되는 전기의 전위차를 표시한 것이다.
4. SMPS로 Ground잡는 방법 및 Ground의미
(1) SMPS로 Ground잡는 방법
우선 두 개의 smps를 준비한다. 하나의 smps에서 +단자에 전선을 연결한 후 나머지 다른 smps의 단자에 전선을 연결한다.
그 다음 처음의 smps의 나머지 단자를 전선을 연결한 후 접지를 한다.
그래서 하나의 smps는 +전원을 나머지 다른 smps는 전원으로 사용하여 두 개의 smps를 이용한 것이 smps를 사용하여ground를 잡는 방법이다.
(2) Ground의 의미
Ground(접지) : 전기학에서 거의 일정한 전위(電位)를 갖는 지표와 연결하는 것.
피뢰침(避雷針)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선은 대기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전하를 지표로 직접 이동시켜 전하들이 다른 경로로 이동해 건물이나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람 자신이 접지되어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습기 찬 바닥 위에 서 있거나 금속 배관에 접촉하고 있을 때) 가옥의 배선에서는 전선 1개를 접지하여 번개의 발생, 변압기의 고장, 전선의 절연 등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피해, 화재를 최소화하고 있다. 금속성 케이스와 다른 도선 밀폐함은 접지가 되어 있어서 만일 내부 부품 중 어떤 것의 절연이 파괴되어 케이스와 접촉하게 되더라도 외부에는 전기충격을 주지 않게 된다. 휴대용 전기기구는 전기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접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2) 전류 : 전류 (電流, electric current))는 전위차에 의해 하전입자(전자, 정공, 이온 등)의 이동에 따른 전하의 흐름을 일컫는다. 전자는 음의 전하를 띠고 있기 때문에, 전자의 이동방향과 전류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전류의 단위는 암페어(A)이다.
전류의 방향이 바뀌지 않고 계속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을 직류전류(直流電流), 전류의 방향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바뀌는 것을 교류전류(交流電流)라 부른다. 교류전류의 크기는 보통 최대값의 배인 실효치가 쓰인다.
직류의 경우엔 (전압) = (전류) x (전기저항) 라는 옴의 법칙이 성립한다.
경우에 따라 저항이 없이 따라서 열로 손실이 없이 흐르는 전류를 초전도 전류라고 한다.
(3) 전압 : 전압(電壓) 또는 전위차(電位差)는 전기 또는 전자 회로에 있는 두 지점 간 전위의 차이로, 전기가 흐르게 하는 원인이다. 기전력(起電力)이라고도 한다. 단위는 볼트(V)이다.
전압은 두 지점이 갖는 전위에 대해 상대적인 물리량이기 때문에 하나의 지점만으로 전압을 측정할 수는 없다. 실제 측정에서 전압은 전기 회로 안의 두 지점을 측정하는 방식과 하나의 지점 만으로 측정하는 방식이 쓰인다. 하나의 지점 만으로 전압을 측정할 때의 비교 지점은 접지(영어: ground)이며 이는 지구의 전위를 비교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일상 생활에서 쓰이는 전기의 전압 표시는 지구의 전위를 0 으로 보았을 때 전달되는 전기의 전위차를 표시한 것이다.
4. SMPS로 Ground잡는 방법 및 Ground의미
(1) SMPS로 Ground잡는 방법
우선 두 개의 smps를 준비한다. 하나의 smps에서 +단자에 전선을 연결한 후 나머지 다른 smps의 단자에 전선을 연결한다.
그 다음 처음의 smps의 나머지 단자를 전선을 연결한 후 접지를 한다.
그래서 하나의 smps는 +전원을 나머지 다른 smps는 전원으로 사용하여 두 개의 smps를 이용한 것이 smps를 사용하여ground를 잡는 방법이다.
(2) Ground의 의미
Ground(접지) : 전기학에서 거의 일정한 전위(電位)를 갖는 지표와 연결하는 것.
피뢰침(避雷針)에 연결되어 있는 접지선은 대기에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전하를 지표로 직접 이동시켜 전하들이 다른 경로로 이동해 건물이나 인간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람 자신이 접지되어 있을 경우가 있으므로(습기 찬 바닥 위에 서 있거나 금속 배관에 접촉하고 있을 때) 가옥의 배선에서는 전선 1개를 접지하여 번개의 발생, 변압기의 고장, 전선의 절연 등의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인명피해, 화재를 최소화하고 있다. 금속성 케이스와 다른 도선 밀폐함은 접지가 되어 있어서 만일 내부 부품 중 어떤 것의 절연이 파괴되어 케이스와 접촉하게 되더라도 외부에는 전기충격을 주지 않게 된다. 휴대용 전기기구는 전기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대부분 접지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