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알게 되었다.
이번 실험에서 가변저항기를 실제로 보게 되었는데 그림이나 회로도상에서 보는것과는 많이 달랐다. 정말 책에서만 보고 읽었던 기구에 대한 설명을 실제로 이렇게 실험을 통해서 해보니 확실하게 이해가 되며, 이 사용용도에 대해서도 정확한 개념이 잡혔다. 여러 가지 실험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하였고 앞으로도 이러한 실험 도구를 많이 접하게 되었으면 한다.
마찬가지로 이번 실험에서도 동료들 모두 멀티 미터나 전운공급기 브레드보드등의 사용에 있어서 아주 익숙하였고 실험 진행도 아주 체계적으로 이루어 졌다. 하지만 실험 초기에 전원공급기의 오른쪽 공급장치가 고장이 났던 것을 모르고 실험하여 간단한 직렬로 연결된 저항의 합을 측정하는데 전혀 다른 값이 나와 많이 어리둥절 했다. 그래서 실험 시간을 줄이면서 정확한 실험의 측정치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중에 실험기기들의 오작동이나 고장 여부를 판별할줄아는 능력이 꼭 필요 할 것 같다. 그리고 실험중 한가지 의문점이 있었는데 분류기와 분압기를 이용하면 Rm/Rs값만 커진다면 어떤 값이든지 모두 다 측정할 수 있는지 의문점이 생겼다. 만약에 그렇다면 우리 생활상에 여러모로 많이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분류기나 분압기를 사용할경우는 마지막에 꼭 계산을 통해서 전류와 전압값을 구해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또 쉽게 측정할수 있는 방법이나 기기가 따로 있는지 알고 싶다. 또한 전류계나 전압계 내부 자체에 분류기나 분압기를 달아 놓아 측정한계 없이 측정할 수 있는 그런 측정기기가 있었으면 실제의 측정에 있어서 아주 유용하고 편리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다.
이번 실험에서 가변저항기를 실제로 보게 되었는데 그림이나 회로도상에서 보는것과는 많이 달랐다. 정말 책에서만 보고 읽었던 기구에 대한 설명을 실제로 이렇게 실험을 통해서 해보니 확실하게 이해가 되며, 이 사용용도에 대해서도 정확한 개념이 잡혔다. 여러 가지 실험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하였고 앞으로도 이러한 실험 도구를 많이 접하게 되었으면 한다.
마찬가지로 이번 실험에서도 동료들 모두 멀티 미터나 전운공급기 브레드보드등의 사용에 있어서 아주 익숙하였고 실험 진행도 아주 체계적으로 이루어 졌다. 하지만 실험 초기에 전원공급기의 오른쪽 공급장치가 고장이 났던 것을 모르고 실험하여 간단한 직렬로 연결된 저항의 합을 측정하는데 전혀 다른 값이 나와 많이 어리둥절 했다. 그래서 실험 시간을 줄이면서 정확한 실험의 측정치를 얻기 위해서는 실험중에 실험기기들의 오작동이나 고장 여부를 판별할줄아는 능력이 꼭 필요 할 것 같다. 그리고 실험중 한가지 의문점이 있었는데 분류기와 분압기를 이용하면 Rm/Rs값만 커진다면 어떤 값이든지 모두 다 측정할 수 있는지 의문점이 생겼다. 만약에 그렇다면 우리 생활상에 여러모로 많이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분류기나 분압기를 사용할경우는 마지막에 꼭 계산을 통해서 전류와 전압값을 구해야 하는데 이러한 것을 또 쉽게 측정할수 있는 방법이나 기기가 따로 있는지 알고 싶다. 또한 전류계나 전압계 내부 자체에 분류기나 분압기를 달아 놓아 측정한계 없이 측정할 수 있는 그런 측정기기가 있었으면 실제의 측정에 있어서 아주 유용하고 편리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