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도시험의 목적
2. 경도 시험의 개요 및 이론
Ⅱ 경도시험기의 종류 및 측정방법
1. 브리넬 경도기
2. 로크웰 경도기
Ⅲ 시험결과
Ⅳ 분석 및 고찰
2. 경도 시험의 개요 및 이론
Ⅱ 경도시험기의 종류 및 측정방법
1. 브리넬 경도기
2. 로크웰 경도기
Ⅲ 시험결과
Ⅳ 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차 가 있을수 있으므로 기준 시험편을 측정해서 개인오차를 사전에 구하고 오목부 대각선 길이의 측정치를 보정해주는 것이 좋다. 이렇게 측정된 오목부 두방향의 대각선 길이의 평균치를 이용하여 식에 의거 산출하거나 환산표에 의해 경도를 결정한다.
4. 쇼어 경도기
쇼어 경도기는 해머 등을 충돌시켰을 때의 반발력을 측정하는 충격경도 시험기이다. 이 쇼아 경도 시험기는 압정 롤에 의해 길이가 큰 질량이 크기 때문에 이동이 곤란한 것이나 최종 마무리면의 경도의 측정에 최적인 시험기이다. 쇼아 경도기는 대표적인 반발경도 시험으로 브리넬경도 시험이 불가능한 매우 단단한 강철재의 경도 측정에 쓰이며, 압흔이 매우 작아 완제품의 경도시험으로 이용되고 있다.
조작이 간단하기 때문에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고, 홈의 깊이가 미소하기 때문에 제품검사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시료에서 큰 시료까지 광범위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Ⅲ 시험결과
경도기
재료면
브리넬경도기
(하중 3000kg
타이머 10s)
로크웰경도기 (Rb)-130start
로크웰경도기
(Rc)-100start
비고
알루미늄2계열
1: 85.5
3: 85.5
1: 57 2: 60
3: 61 4: 60
1: -13
특수알루미늄 7계열
1: 137
1: 94 2: 94
3: 93 4: 94
-
황 동
1: 95.5
2: 93.7
1: 68 2: 67
3: 66
1: -15
연 강
1: 109
1: 74 2: 66
1: -19
SM45C(열처리)
1: 179
1:99
2:99
3:100
1: 19.5
2: 20
3: 20
SKD-61
1: 201
1: 96 2: 96
1: 15 2: 15
NAK-100
1: 363
1: 114
2: 112
3: 115
1: 42.5
2: 43
SKD-61 (고열처리)
-
-
1: 62.5
2: 65
3: 66
초경합금
-
-
1: 77
2: 77.5
SKD-61(고열처리) 초 경 합 금
Ⅳ 분석 및 고찰
다른용어에 비해 비교적 생소한 단어였던 경도를 여러 가지 실험기구와 시편을 통해 직접 측정함으로써 개념을 알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또한 이번 실험으로 인해 알게 된 사실은 경도가 재료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수치라는 것이다. 그리고 실험기구의 원리만 안다면 경도를 측정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을 것임을 알았고, 측정값을 정확히 읽음으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번 실험의 중요한 오차요인은 다음 두 가지가 있었는데,
첫째 : 시편자체의 제작오차 - 같은 시편이라도 제조회사. 누르는 위치, 주변환경에 따라 조금씩의 오차가 발생
둘째 : 강구를 누르는 위치를 직전 압흔과 너무 가깝게 했을 때 발생하는 오차 - 압입자에 터치하는 순간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오차발생(로크웰경우는 더욱 뚜렷히 발생)
위 두 가지가 이번 실험에 있어 가장 뚜렷한 오차발생의 원인이 아닌가 싶다.
만약 다음에도 이런 실험의 기회가 생긴다면 좀 더 많은 시간을 두어 위 오차발생원인을 최대한 줄여 좀 더 정확한 경도값을 측정하고자 한다.
4. 쇼어 경도기
쇼어 경도기는 해머 등을 충돌시켰을 때의 반발력을 측정하는 충격경도 시험기이다. 이 쇼아 경도 시험기는 압정 롤에 의해 길이가 큰 질량이 크기 때문에 이동이 곤란한 것이나 최종 마무리면의 경도의 측정에 최적인 시험기이다. 쇼아 경도기는 대표적인 반발경도 시험으로 브리넬경도 시험이 불가능한 매우 단단한 강철재의 경도 측정에 쓰이며, 압흔이 매우 작아 완제품의 경도시험으로 이용되고 있다.
조작이 간단하기 때문에 신속한 측정이 가능하고, 홈의 깊이가 미소하기 때문에 제품검사에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작은 시료에서 큰 시료까지 광범위하게 측정이 가능하다.
Ⅲ 시험결과
경도기
재료면
브리넬경도기
(하중 3000kg
타이머 10s)
로크웰경도기 (Rb)-130start
로크웰경도기
(Rc)-100start
비고
알루미늄2계열
1: 85.5
3: 85.5
1: 57 2: 60
3: 61 4: 60
1: -13
특수알루미늄 7계열
1: 137
1: 94 2: 94
3: 93 4: 94
-
황 동
1: 95.5
2: 93.7
1: 68 2: 67
3: 66
1: -15
연 강
1: 109
1: 74 2: 66
1: -19
SM45C(열처리)
1: 179
1:99
2:99
3:100
1: 19.5
2: 20
3: 20
SKD-61
1: 201
1: 96 2: 96
1: 15 2: 15
NAK-100
1: 363
1: 114
2: 112
3: 115
1: 42.5
2: 43
SKD-61 (고열처리)
-
-
1: 62.5
2: 65
3: 66
초경합금
-
-
1: 77
2: 77.5
SKD-61(고열처리) 초 경 합 금
Ⅳ 분석 및 고찰
다른용어에 비해 비교적 생소한 단어였던 경도를 여러 가지 실험기구와 시편을 통해 직접 측정함으로써 개념을 알 수 있었던 실험이었다. 또한 이번 실험으로 인해 알게 된 사실은 경도가 재료의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수치라는 것이다. 그리고 실험기구의 원리만 안다면 경도를 측정하는 것이 생각보다 어렵지 않을 것임을 알았고, 측정값을 정확히 읽음으로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이번 실험의 중요한 오차요인은 다음 두 가지가 있었는데,
첫째 : 시편자체의 제작오차 - 같은 시편이라도 제조회사. 누르는 위치, 주변환경에 따라 조금씩의 오차가 발생
둘째 : 강구를 누르는 위치를 직전 압흔과 너무 가깝게 했을 때 발생하는 오차 - 압입자에 터치하는 순간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오차발생(로크웰경우는 더욱 뚜렷히 발생)
위 두 가지가 이번 실험에 있어 가장 뚜렷한 오차발생의 원인이 아닌가 싶다.
만약 다음에도 이런 실험의 기회가 생긴다면 좀 더 많은 시간을 두어 위 오차발생원인을 최대한 줄여 좀 더 정확한 경도값을 측정하고자 한다.
소개글